내발자국[동호회]
[기사] WWW 이 기가 막혀! (1)
松巖
1996. 3. 17. 08:12
□이 글은 go cpuse (C-프로그램의 세계)에서 퍼온 글입니다.
--------------------------------------------------------------------------
제 목 : [9510]www가 기가막혀(1)
--------------------------------------------------------------------------
인터네트를 편리하고 자유롭게 사용하는 WWW가 기가막혀
1995년의 화창한 가을 점심을 먹고 인터네트를 소개하기 전에
2년 전을 생각해 보았다. 2년 전엔 인터네트가 이렇게까지 보편
화될 줄은 생각 못했다. 그 때는 연구소나 몇몇 대학의 전산학과
에서만 인터네트를 이용하고 있었고 인터네트에서 정보를 검색하
는 명령어는 주로 ftp 사이트 리스트나 조금 나아져서 아치(archi
e) 그리고 좀 있다가 gopher나 veronica등을 이용했고 다분히 만
족했던 것 같다. 그런데 지금은 WWW(월드 와이드 웹이라고 읽
는다) 서비스가 나오고 다양한 search engine이 나와서 초보자도
정보검색이 무척 쉬어졌고 거의 누구나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사
항이 되었다. 본 특집에서는 인터네트 통합 서비스인 WWW에
대해서 3부에 걸쳐서 설명하는데 우선 WWW를 사용하는 브라우
저(browser)에서부터 자신의 WWW를 제공하기 위한 언어인 HT
ML, CGI 기법 등을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각 부분에서 독자들
이 배워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부: WWW 서비스, 역사, 브라우저 사용법
2부: WWW 문서 기술 언어 HTML의 설명과 예제
3부: WWW 문서를 강력하게 만드는 CGI 기법
글 \ 김성환(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박사과정)
WWW가 기가막혀 1부
WWW 서비스, 역사, 브라우저 사용법
WWW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과 가장 많이 쓰이는 브라우저의 하
나인 netscape에 대해서 사용법을 소개한다. 인터네트에서 추천
되고 있는 몇몇 아름다운 또는 풍부한 정보를 가진 곳들을 함
께 여행하자.
1. 나도 WWW를 사용하고 싶다.
그 말도 많은 WWW를 나도 한번 사용해 봤으면 하는 분들이
꽤 많을 것이고 매달 잡지에 나오는 멋있는 WWW 사이트들은
그저 그림의 떡인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는 WWW 서비스와 같은
인터네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할까 한다. 다만
모든 경우에 대한 설명은 원고 분량의 제한으로 실지 못하고 서
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연락처를 제공하는 것으로 마치고자 한다.
인터네트 서비스 이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 진다. 하나는
대학 또는 다른 기관에서 컴퓨터로 직접 인터네트를 접근하는 경
우이며 또 다른 하나는 하이텔이나 천리안을 통해서 인터네트 서
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와 마지막으로는 요즘 생겨나고 있는 인터
네트 서비스 제공 회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서 인터네트
를 이용하는 경우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나누면 인터네트 접속
형태는 <그림 1>과 같이 크게 4가지로 나뉜다.
그림 파일명 : park4.bmp 그림 파일명 : park3.bmp
(a) LAN 기반 접속 (b) UNIX Shell 접속
그림 파일명 : park2.bmp 그림 파일명 : park1.bmp
(c) SLIP/PPP 접속 (d) 온라인 서비스 접속
<그림 1> 인터네트 접속 형태
각각에 간단히 우선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LAN으로 접속하는 경우
현재 대부분의 국내 대학들은 연구망이나 교육망에 56 Kbps
또는 T1라인으로 연결된 상태이며, 학교 내의 모든 컴퓨터들은
학교 안의 모든 컴퓨터를 연결하는 LAN(Local area network)에
의해서 연결되고 있다. LAN의 형태로는 많이 쓰는 이더네트(eth
ernet)일 수도 있고, FDDI와 같은 광네트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제 컴퓨터에 계정을 가지고 있는 독자는 이 책에서 다루는 모든
명령들을 힘들이지 않고 그리고 돈도 하나도 안 들면서 쓸 수 있
다.
어떤 대학의 경우 전화선 접속도 허용하기 때문에 집에 가서
도 모뎀으로 학교의 컴퓨터로 전화를 걸어 학교의 컴퓨터를 거쳐
서 인터네트를 쓸 수 있다. 그럼 자체 LAN만 되어 있고 외부 인
터네트와 연결이 안 된 일반 회사의 경우는 한국통신이나 데이콤
과 같은 회사에 연락하여 전용선을 연결하면 인터네트에 접근이
가능하다. 단 약간의 비용을 감수하여야 할 것이다.
나. UNIX Shell 접속
난 학교나 연구소에 있지도 않고 내가 쓰고 싶어서 그런데 돈
도 그리 많지는 않다고 한다면 2번을 골라야 한다. 가장 싸면서
도 웬만한 정보는 거의 다 가져올 수 있다. 다만 WWW에서 화
려한 그림 같은 것들을 하나도 볼 수 없고 UNIX 명령어를 알아
야 한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싼 맛에 이용할 수 있다. 이야
기와 같은 접속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서비스 제공자의 컴퓨터
를 이용하면 된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인터네트의 거의 모든
서비스(아치, 고퍼, ftp, 전자우편 등)를 사용할 수 있다. 국제전화
안하고 전자 우편으로 보내기만 해도 본전은 뽑을 수 있을 것이다.
다. SLIP/PPP 접속
2번의 UNIX Shell 접속은 단순히 텍스트 정보만이 전송되므
로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WWW와 같은 그림이 들어 있는 정보
들이 왔다갔다하면 별도의 WWW 정보검색 도구(browser)가 필
요하며 이것들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프로그램들과 TCP/IP라는
프로토콜로 말을 하게 된다. 그렇다면 내가 전화선으로 접속을
하게 될 경우 전화선에서 TCP/IP 프로토콜을 제공하도록 해주어
야 하며 그렇게 해주는 것이 바로 SLIP(Serial Line IP)이고 SLI
P이 좀 느리기 때문에 보완한 것이 PPP이다. 14.4 Kbps 모뎀이
면 좋고 28.8Kbps 모뎀이면 1번의 LAN으로 접속과 별 차이가
없는 속도를 내게 된다. 2번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그림이 안 나
와서 쉽게 식상 하다면 돈을 좀더 주고 SLIP/PPP 서비스를 신청한다.
띵. 온라인 서비스 접속
흔히 메뉴접속이라고 하는데 왕 초보라고 자부하는 독자들에
게 알맞은 서비스이다. 천리안의 메뉴를 선택하듯이 인터네트의
서비스들을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메뉴를 고르면서 인터네트를
여행하는 편안한 여행이 될 것이다.
다만 혼자 고생하며 이곳 저곳을 다니면 더 많은 것을 경험하
듯이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만을 이용하게 되므로 약
간 경험이 쌓이면 3번 또는 2번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
면 서비스 제약도 있고 또 비싸니까. 위의 서비스 중에서 netscap
e과 같은 WWW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3번의 SLIP/PPP
접속 또는 2번을 사용하되 twinsock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되는데 기타 자세한 정보는 다음 <표 1>과 같은 인터네트 서비
스 제공회사로 문의를 하기 바란다. 참고로 최근 인터네트 카페
라는 것이 생겼다고 하는데 홍대앞 먹자골목에 생긴 넷스케이프
라는 카페에서 시간당 5000원 내고 음료수 한 잔 마시면서 인터
네트에 접근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듯하다. 물론 잿밥에 관심이
더 있을 수도 있겠지만.
----------------------------------------------------
한국통신 KORNET : 운영실 02-766-5900 UNIX Shell 제공
넥스텔 Nextel : 가입처 02-202-9300 UNIX Shell, SLIP/P
PP 제공
아이넷 Inet : 가입처 02-538-6941 UNIX Shell, SLIP/P
PP 제공
데이콤 천리안 : 가입처 02-220-6611 UNIX Shell, SLIP/P
PP 제공
P&B 무료 제공 : 문의처 02-261-0084 SLIP/PPP 제공
<표 1> 인터네트 접속방법과 관련 회사들
----------------------------------------------------
그럼 이젠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WWW 서비스를 제공받을
환경이 되었다고 가정하고 WWW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
선 WWW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WWW의 역사에 대해서 간단히
언급하기로 한다.
2. WWW 란 무엇인가 ?
WWW는 World Wide Web이고 이 세상의 컴퓨터들이 연결된
사이버 스페이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전세
계의 모든 정보를 그물과 같이 연결시켜 놓은 정보검색 서비스라
고 할 수 있는데 이를 W3 또는 W 큐브라고도 읽는다.
'Entering the World-Wide Web : A Guide to Cyberspace' 이
라는 책에서는 공식적으로 World Wide Web 을 "wide-area hyp
ermedia information retrieval initiative aiming to give universal
access to a large universe of documents"이라고 표현한다. 즉
WWW project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물려 있는 사용자들이 다양
한 미디어 또는 서비스(archie, gopher, news 등)에 간단하고 동
일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참고로 WWW 서
비스는 CERN(The European Laboratory for Particle Physisc)내
의 정보를 검색하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설계되었는데 실제로
이와 같은 표현방식으로 정보를 체계화하려는 노력은 1940년대부
터 있어 왔지만 실제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이퍼 텍스트와 하이퍼 미디어는 무엇인가 ?
하이퍼 텍스트(Hypertext)라는 것은 한가지 큰 차이점만을 제
외하면 정상적인 text 문서들 (흔히 우리가 plain text)라고
이야기하는 것과 동일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다른
문서에 대한 connection(pointer)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한 문서에게 다른 문서로 link를 만들어서 따라갈 수 있게 해 준
다. 브라우저(browser)는 이러한 pointer들을 사용자에게는
transparent하게 다루게 된다. 브라우저 내에서 사용자가 포인터
를 누르기면 하면 원하는 문서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하이퍼 텍스트 내에 있는 link(pointer,
connection)를 hyperlink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hyperlink를 사
용해서 사용자는 여러 가지 정보들 사이를 여행하며 다닐 수
있다. Hypermedia는 hypertext의 수퍼셋이다. Hypermedia는 다
른 문서들에 대한 link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 (다른 미디어 :
images, sounds, movies)에 대한 link도 가지고 있다. 물론
images 자체가 sounds 나 movies와 같은 것에 관한 link를 가지
고 있을 수도 있다. 현재의 브라우저(Mosaic 과 같은) 들은
이러한 images, sounds, movies와 같은 형태의 자료들을 보고/들
을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WWW라는 것이 대충 인터네트에서 하이퍼 미디어 정보를 검
색하기 위해 만들어진 서비스라고 이해하면된다. 다음은 지루한
독자를 위해 대표적인 브라우저로 소개한 netscape을 이용하여
인터네트를 탐험하는 예를 보이기로 한다.
3. netscape은 어떻게 사용하는지
Netscape는 미국의 Netscape Communications이란 회사에서
만든 WWW 이용도구인데 다른 브라우저인 xmosaic 보다 훨씬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브라우저이
다. 참고로 netscape을 만든 프로그래머는 최근 빌게이츠와 비슷
한 대우를 받고 있다. netscape을 사용하면 HP 워크스테이션과
MS-Windows 운영체제를 제외하고는 한글이 안된다는 단점이
있지만 빠른 속도와 멋진 인터페이스는 충분히 큰 장점이라고 생
각한다.
우선 netscape을 이용하여 한국과학기술원의 경영정보센터의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이다. MS-WIndows에서는 netscape 아이콘
을 클릭하고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입력
한다.
netscape http://camis.kaist.ac.kr:8080/
그림 파일명 : 12kreo~1.gif <그림 2> netscape의 예
아마 netscape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버튼을 눌러보면 금새
다른 나라의 WWW로 이동하게 되어 몇 분 안에 전세계를 이동
하는 셈이 될 것이다. 부디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서 계속 읽어
주시기를 바라는 바이다. 그런데 만약 netscape이 제대로 동작을
안하는 분들을 위하여 참고삼아 netscape이 잘 동작하는 사양을
아래 적어 놓는다.
netscape을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요구 사항
o Windows:
386sx 이상, 메모리는 4MB 이상(8MB 권장), 디스크 용량은 1 MB
이상(5MB 권장),
Windows 3.1 이상(NT에서 사용 가능). o Mac:
68030 이상, 4MB 이상(8MB 권장), 디스크 용량은 2MB 이상(5MB 권장),
Macintosh System 7 이상에서 사용 가능하다.
o UNIX:
메모리는 16MB 이상, 디스크 용량은 3MB (5MB 권장).
X Window System(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OSF/12.0),
Hewlett-Packard(HP-UX9.03), Silicon Graphics (IRIX 5.2), IBM(AIX3.2),
Sun(Solaris 1.0 \& 2.3, SunOS 4.1.3)에서 사용 가능하다.
물론 버튼을 눌러보면 쉽게 어떤 버튼이 무엇을 하는지 알겠지
만 확인을 위해서 netscape에서 나오는 버튼에 대해서 설명하기
로 한다. 먼저 netscape의 메뉴는 기본적인 열기와 닫기, 프린트
기능의 모임인 File 메뉴와 Edit 메뉴, 그리고 View 메뉴, Go 메
뉴, Bookmark 메뉴, Options 메뉴, Directory 메뉴로 나뉘는데 하
나씩 설명하기로 한다.
가. File 메뉴
File 메뉴는 정보를 여는 기능과 저장하는 기능, 그리고 프린트
와 끝내는 기능으로 나뉘는데 여기서 정보는 자신의 컴퓨터 내의
파일일 수도 있고 먼 곳의 컴퓨터에 있는 다른 정보 서비스로 제
공되는 파일 일수도 있는데 이 둘을 통합하기 위해서 하나의 개
념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즉
URL은 인터네트의 문서 또는 정보가 어느 곳에 있는지를 명시하
는 것으로 어떤 객체에 대한 pointer역할만을 함으로써 실제로 그
대상을 보지 않고 단지 그 대상에 대한 pointer만을 가짐으로써
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좀 추상적인데 URL의 예로 다음을 보
도록 하자.
- file:C:\WIN\itgfile.htm
- file://cair.kaist.ac.kr/usenet/news.answers/
- file://wuarchive.wustl.edu/mirrors/
- http://info.cern.ch:80/default.html
- http://ara.kaist.ac.kr/
- ftp://baram.kaist.ac.kr/pub/MiscDoc/
- ftp://ksh:*jsdfdsfj@adam.kaist.ac.kr/
- gopher://cair-archive.kaist.ac.kr:70/
- news:han.www-forum
- news:comp.infosystems.www
- telnet://ara.kaist.ac.kr
- telnet://bbs@ara.kaist.ac.kr/
첫 번째 file은 자신의 컴퓨터 내에 담긴 파일을 지정하는 예이
며 두 번째와 세 번째는 먼 곳(한국과 핀란드)에 있는 파일을 지
정한 예이다. 세 번째는 가져오는 정보가 단순히 파일이 아니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라는 방식을 이용하는 HTML
문서라는 것을 나타내게 되며 뒤의 예들은 인터네트에서 제공되
는 다른 서비스들 즉 ftp, gopher, news, telnet등도 WWW 서비
스를 이용해서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WWW는 결국 기존의 인
터네트를 통합한 서비스라고 볼 수 있으면 지금까지의 다른 서비
스들을 모르고도 엄청난 정보검색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URL
이 뭔가 라고 물어 보면 다음과 같이 대답하면 된다. "URL: net
work extended file name" 그림으로 URL이 동작하는 것을 보면
다음 <그림 3>과 같다.
park5.bmp
<그림 3> URL의 동작
-------------------------------------------------------------------------
--------------------------------------------------------------------------
제 목 : [9510]www가 기가막혀(1)
--------------------------------------------------------------------------
인터네트를 편리하고 자유롭게 사용하는 WWW가 기가막혀
1995년의 화창한 가을 점심을 먹고 인터네트를 소개하기 전에
2년 전을 생각해 보았다. 2년 전엔 인터네트가 이렇게까지 보편
화될 줄은 생각 못했다. 그 때는 연구소나 몇몇 대학의 전산학과
에서만 인터네트를 이용하고 있었고 인터네트에서 정보를 검색하
는 명령어는 주로 ftp 사이트 리스트나 조금 나아져서 아치(archi
e) 그리고 좀 있다가 gopher나 veronica등을 이용했고 다분히 만
족했던 것 같다. 그런데 지금은 WWW(월드 와이드 웹이라고 읽
는다) 서비스가 나오고 다양한 search engine이 나와서 초보자도
정보검색이 무척 쉬어졌고 거의 누구나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사
항이 되었다. 본 특집에서는 인터네트 통합 서비스인 WWW에
대해서 3부에 걸쳐서 설명하는데 우선 WWW를 사용하는 브라우
저(browser)에서부터 자신의 WWW를 제공하기 위한 언어인 HT
ML, CGI 기법 등을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각 부분에서 독자들
이 배워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부: WWW 서비스, 역사, 브라우저 사용법
2부: WWW 문서 기술 언어 HTML의 설명과 예제
3부: WWW 문서를 강력하게 만드는 CGI 기법
글 \ 김성환(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박사과정)
WWW가 기가막혀 1부
WWW 서비스, 역사, 브라우저 사용법
WWW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과 가장 많이 쓰이는 브라우저의 하
나인 netscape에 대해서 사용법을 소개한다. 인터네트에서 추천
되고 있는 몇몇 아름다운 또는 풍부한 정보를 가진 곳들을 함
께 여행하자.
1. 나도 WWW를 사용하고 싶다.
그 말도 많은 WWW를 나도 한번 사용해 봤으면 하는 분들이
꽤 많을 것이고 매달 잡지에 나오는 멋있는 WWW 사이트들은
그저 그림의 떡인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는 WWW 서비스와 같은
인터네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할까 한다. 다만
모든 경우에 대한 설명은 원고 분량의 제한으로 실지 못하고 서
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연락처를 제공하는 것으로 마치고자 한다.
인터네트 서비스 이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 진다. 하나는
대학 또는 다른 기관에서 컴퓨터로 직접 인터네트를 접근하는 경
우이며 또 다른 하나는 하이텔이나 천리안을 통해서 인터네트 서
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와 마지막으로는 요즘 생겨나고 있는 인터
네트 서비스 제공 회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서 인터네트
를 이용하는 경우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나누면 인터네트 접속
형태는 <그림 1>과 같이 크게 4가지로 나뉜다.
그림 파일명 : park4.bmp 그림 파일명 : park3.bmp
(a) LAN 기반 접속 (b) UNIX Shell 접속
그림 파일명 : park2.bmp 그림 파일명 : park1.bmp
(c) SLIP/PPP 접속 (d) 온라인 서비스 접속
<그림 1> 인터네트 접속 형태
각각에 간단히 우선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LAN으로 접속하는 경우
현재 대부분의 국내 대학들은 연구망이나 교육망에 56 Kbps
또는 T1라인으로 연결된 상태이며, 학교 내의 모든 컴퓨터들은
학교 안의 모든 컴퓨터를 연결하는 LAN(Local area network)에
의해서 연결되고 있다. LAN의 형태로는 많이 쓰는 이더네트(eth
ernet)일 수도 있고, FDDI와 같은 광네트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제 컴퓨터에 계정을 가지고 있는 독자는 이 책에서 다루는 모든
명령들을 힘들이지 않고 그리고 돈도 하나도 안 들면서 쓸 수 있
다.
어떤 대학의 경우 전화선 접속도 허용하기 때문에 집에 가서
도 모뎀으로 학교의 컴퓨터로 전화를 걸어 학교의 컴퓨터를 거쳐
서 인터네트를 쓸 수 있다. 그럼 자체 LAN만 되어 있고 외부 인
터네트와 연결이 안 된 일반 회사의 경우는 한국통신이나 데이콤
과 같은 회사에 연락하여 전용선을 연결하면 인터네트에 접근이
가능하다. 단 약간의 비용을 감수하여야 할 것이다.
나. UNIX Shell 접속
난 학교나 연구소에 있지도 않고 내가 쓰고 싶어서 그런데 돈
도 그리 많지는 않다고 한다면 2번을 골라야 한다. 가장 싸면서
도 웬만한 정보는 거의 다 가져올 수 있다. 다만 WWW에서 화
려한 그림 같은 것들을 하나도 볼 수 없고 UNIX 명령어를 알아
야 한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싼 맛에 이용할 수 있다. 이야
기와 같은 접속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서비스 제공자의 컴퓨터
를 이용하면 된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인터네트의 거의 모든
서비스(아치, 고퍼, ftp, 전자우편 등)를 사용할 수 있다. 국제전화
안하고 전자 우편으로 보내기만 해도 본전은 뽑을 수 있을 것이다.
다. SLIP/PPP 접속
2번의 UNIX Shell 접속은 단순히 텍스트 정보만이 전송되므
로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WWW와 같은 그림이 들어 있는 정보
들이 왔다갔다하면 별도의 WWW 정보검색 도구(browser)가 필
요하며 이것들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프로그램들과 TCP/IP라는
프로토콜로 말을 하게 된다. 그렇다면 내가 전화선으로 접속을
하게 될 경우 전화선에서 TCP/IP 프로토콜을 제공하도록 해주어
야 하며 그렇게 해주는 것이 바로 SLIP(Serial Line IP)이고 SLI
P이 좀 느리기 때문에 보완한 것이 PPP이다. 14.4 Kbps 모뎀이
면 좋고 28.8Kbps 모뎀이면 1번의 LAN으로 접속과 별 차이가
없는 속도를 내게 된다. 2번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그림이 안 나
와서 쉽게 식상 하다면 돈을 좀더 주고 SLIP/PPP 서비스를 신청한다.
띵. 온라인 서비스 접속
흔히 메뉴접속이라고 하는데 왕 초보라고 자부하는 독자들에
게 알맞은 서비스이다. 천리안의 메뉴를 선택하듯이 인터네트의
서비스들을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메뉴를 고르면서 인터네트를
여행하는 편안한 여행이 될 것이다.
다만 혼자 고생하며 이곳 저곳을 다니면 더 많은 것을 경험하
듯이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만을 이용하게 되므로 약
간 경험이 쌓이면 3번 또는 2번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
면 서비스 제약도 있고 또 비싸니까. 위의 서비스 중에서 netscap
e과 같은 WWW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3번의 SLIP/PPP
접속 또는 2번을 사용하되 twinsock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되는데 기타 자세한 정보는 다음 <표 1>과 같은 인터네트 서비
스 제공회사로 문의를 하기 바란다. 참고로 최근 인터네트 카페
라는 것이 생겼다고 하는데 홍대앞 먹자골목에 생긴 넷스케이프
라는 카페에서 시간당 5000원 내고 음료수 한 잔 마시면서 인터
네트에 접근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듯하다. 물론 잿밥에 관심이
더 있을 수도 있겠지만.
----------------------------------------------------
한국통신 KORNET : 운영실 02-766-5900 UNIX Shell 제공
넥스텔 Nextel : 가입처 02-202-9300 UNIX Shell, SLIP/P
PP 제공
아이넷 Inet : 가입처 02-538-6941 UNIX Shell, SLIP/P
PP 제공
데이콤 천리안 : 가입처 02-220-6611 UNIX Shell, SLIP/P
PP 제공
P&B 무료 제공 : 문의처 02-261-0084 SLIP/PPP 제공
<표 1> 인터네트 접속방법과 관련 회사들
----------------------------------------------------
그럼 이젠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WWW 서비스를 제공받을
환경이 되었다고 가정하고 WWW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
선 WWW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WWW의 역사에 대해서 간단히
언급하기로 한다.
2. WWW 란 무엇인가 ?
WWW는 World Wide Web이고 이 세상의 컴퓨터들이 연결된
사이버 스페이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전세
계의 모든 정보를 그물과 같이 연결시켜 놓은 정보검색 서비스라
고 할 수 있는데 이를 W3 또는 W 큐브라고도 읽는다.
'Entering the World-Wide Web : A Guide to Cyberspace' 이
라는 책에서는 공식적으로 World Wide Web 을 "wide-area hyp
ermedia information retrieval initiative aiming to give universal
access to a large universe of documents"이라고 표현한다. 즉
WWW project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물려 있는 사용자들이 다양
한 미디어 또는 서비스(archie, gopher, news 등)에 간단하고 동
일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참고로 WWW 서
비스는 CERN(The European Laboratory for Particle Physisc)내
의 정보를 검색하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설계되었는데 실제로
이와 같은 표현방식으로 정보를 체계화하려는 노력은 1940년대부
터 있어 왔지만 실제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이퍼 텍스트와 하이퍼 미디어는 무엇인가 ?
하이퍼 텍스트(Hypertext)라는 것은 한가지 큰 차이점만을 제
외하면 정상적인 text 문서들 (흔히 우리가 plain text)라고
이야기하는 것과 동일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다른
문서에 대한 connection(pointer)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한 문서에게 다른 문서로 link를 만들어서 따라갈 수 있게 해 준
다. 브라우저(browser)는 이러한 pointer들을 사용자에게는
transparent하게 다루게 된다. 브라우저 내에서 사용자가 포인터
를 누르기면 하면 원하는 문서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하이퍼 텍스트 내에 있는 link(pointer,
connection)를 hyperlink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hyperlink를 사
용해서 사용자는 여러 가지 정보들 사이를 여행하며 다닐 수
있다. Hypermedia는 hypertext의 수퍼셋이다. Hypermedia는 다
른 문서들에 대한 link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 (다른 미디어 :
images, sounds, movies)에 대한 link도 가지고 있다. 물론
images 자체가 sounds 나 movies와 같은 것에 관한 link를 가지
고 있을 수도 있다. 현재의 브라우저(Mosaic 과 같은) 들은
이러한 images, sounds, movies와 같은 형태의 자료들을 보고/들
을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WWW라는 것이 대충 인터네트에서 하이퍼 미디어 정보를 검
색하기 위해 만들어진 서비스라고 이해하면된다. 다음은 지루한
독자를 위해 대표적인 브라우저로 소개한 netscape을 이용하여
인터네트를 탐험하는 예를 보이기로 한다.
3. netscape은 어떻게 사용하는지
Netscape는 미국의 Netscape Communications이란 회사에서
만든 WWW 이용도구인데 다른 브라우저인 xmosaic 보다 훨씬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브라우저이
다. 참고로 netscape을 만든 프로그래머는 최근 빌게이츠와 비슷
한 대우를 받고 있다. netscape을 사용하면 HP 워크스테이션과
MS-Windows 운영체제를 제외하고는 한글이 안된다는 단점이
있지만 빠른 속도와 멋진 인터페이스는 충분히 큰 장점이라고 생
각한다.
우선 netscape을 이용하여 한국과학기술원의 경영정보센터의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이다. MS-WIndows에서는 netscape 아이콘
을 클릭하고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입력
한다.
netscape http://camis.kaist.ac.kr:8080/
그림 파일명 : 12kreo~1.gif <그림 2> netscape의 예
아마 netscape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버튼을 눌러보면 금새
다른 나라의 WWW로 이동하게 되어 몇 분 안에 전세계를 이동
하는 셈이 될 것이다. 부디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서 계속 읽어
주시기를 바라는 바이다. 그런데 만약 netscape이 제대로 동작을
안하는 분들을 위하여 참고삼아 netscape이 잘 동작하는 사양을
아래 적어 놓는다.
netscape을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요구 사항
o Windows:
386sx 이상, 메모리는 4MB 이상(8MB 권장), 디스크 용량은 1 MB
이상(5MB 권장),
Windows 3.1 이상(NT에서 사용 가능). o Mac:
68030 이상, 4MB 이상(8MB 권장), 디스크 용량은 2MB 이상(5MB 권장),
Macintosh System 7 이상에서 사용 가능하다.
o UNIX:
메모리는 16MB 이상, 디스크 용량은 3MB (5MB 권장).
X Window System(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OSF/12.0),
Hewlett-Packard(HP-UX9.03), Silicon Graphics (IRIX 5.2), IBM(AIX3.2),
Sun(Solaris 1.0 \& 2.3, SunOS 4.1.3)에서 사용 가능하다.
물론 버튼을 눌러보면 쉽게 어떤 버튼이 무엇을 하는지 알겠지
만 확인을 위해서 netscape에서 나오는 버튼에 대해서 설명하기
로 한다. 먼저 netscape의 메뉴는 기본적인 열기와 닫기, 프린트
기능의 모임인 File 메뉴와 Edit 메뉴, 그리고 View 메뉴, Go 메
뉴, Bookmark 메뉴, Options 메뉴, Directory 메뉴로 나뉘는데 하
나씩 설명하기로 한다.
가. File 메뉴
File 메뉴는 정보를 여는 기능과 저장하는 기능, 그리고 프린트
와 끝내는 기능으로 나뉘는데 여기서 정보는 자신의 컴퓨터 내의
파일일 수도 있고 먼 곳의 컴퓨터에 있는 다른 정보 서비스로 제
공되는 파일 일수도 있는데 이 둘을 통합하기 위해서 하나의 개
념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즉
URL은 인터네트의 문서 또는 정보가 어느 곳에 있는지를 명시하
는 것으로 어떤 객체에 대한 pointer역할만을 함으로써 실제로 그
대상을 보지 않고 단지 그 대상에 대한 pointer만을 가짐으로써
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좀 추상적인데 URL의 예로 다음을 보
도록 하자.
- file:C:\WIN\itgfile.htm
- file://cair.kaist.ac.kr/usenet/news.answers/
- file://wuarchive.wustl.edu/mirrors/
- http://info.cern.ch:80/default.html
- http://ara.kaist.ac.kr/
- ftp://baram.kaist.ac.kr/pub/MiscDoc/
- ftp://ksh:*jsdfdsfj@adam.kaist.ac.kr/
- gopher://cair-archive.kaist.ac.kr:70/
- news:han.www-forum
- news:comp.infosystems.www
- telnet://ara.kaist.ac.kr
- telnet://bbs@ara.kaist.ac.kr/
첫 번째 file은 자신의 컴퓨터 내에 담긴 파일을 지정하는 예이
며 두 번째와 세 번째는 먼 곳(한국과 핀란드)에 있는 파일을 지
정한 예이다. 세 번째는 가져오는 정보가 단순히 파일이 아니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라는 방식을 이용하는 HTML
문서라는 것을 나타내게 되며 뒤의 예들은 인터네트에서 제공되
는 다른 서비스들 즉 ftp, gopher, news, telnet등도 WWW 서비
스를 이용해서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WWW는 결국 기존의 인
터네트를 통합한 서비스라고 볼 수 있으면 지금까지의 다른 서비
스들을 모르고도 엄청난 정보검색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URL
이 뭔가 라고 물어 보면 다음과 같이 대답하면 된다. "URL: net
work extended file name" 그림으로 URL이 동작하는 것을 보면
다음 <그림 3>과 같다.
park5.bmp
<그림 3> URL의 동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