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WSOCK] 윈속 필수 어플리케이션 (1)

松巖 1996. 6. 26. 05:48
<> 게 시 일 : 96/04/29 <> 번 호 : 71 <> 게시자 : 허창영 (escargo)
<> 제 목 : 윈속 필수 어플리케이션(1)
<> 내 용 :

윈속을 이용한 slip/ppp 환경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요긴한 것들에 대한 설치법과 간략한 사용법들입니다.
작년 말의 글이라서 설명하는 것들이 구버젼들도
있습니다만, 혹 업그레이드 된 프로그램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 글을 참조하면 설치하고 사용하시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 필수 윈속어플리케이션<<

윈속을 쓴다면 이 정도는 갖추어야
- Ws_FTP, WinVN, WsArchie, Winterm, World Chat, Internet Phone -

인터넷이 이제 많이 대중화되어 가고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WWW
파도타기에 열중하고 있으며, 종래의 텍스트 모드의 인터넷 사용에서
벗어나 이제는 좀더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GUI 체제인 윈도우 하에서
윈속(Winsock)을 이용한 인터넷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본란에서는 수없이 많은 윈속 응용 풀그림 중 유용하고 널리 사용되는
것을 소개한다. 즉, 최고의 FTP 클라이언트인 Ws_FTP, 뉴스리더인
WinVN, 아키(Archie) 클라이언트 WsArchie, 텔넷(Telnet) 풀그림인
윈텀(Winterm), 3차원 대화 풀그림인 월드채트(Worlds Chat),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인터넷폰(Internet Phone) 등의 기능을 알아 보고,
이들 풀그림을 구하는 법, 설치방법,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한다.


>> FTP 클라이언트
Ws_FTP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BBS 상의 Zmodem, Kermit과 마찬가지로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파일전송 규약이다. 이 풀그림은 아마도 인터넷
사용자들이 매우 자주 사용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시카(CICA),
가르보(GARBO), 심텔(SIMTEL)과 같은 유명한 Anonymous FTP 사이트에는
최신의 윈도우 혹은 도스용 풀그림이 하루가 다르게 전세계로부터
올려지고 있으니, FTP를 안쓰면 최신 자료도 그림의 떡이기 때문이다.

종래에 인터넷 셸 계정을 신청해 쓰던 사용자가 FTP를 이용할 경우는
ncftp 등을 이용해 익명의 사이트에 접속해서 풀그림을 서버로 옮긴 다음
다시 sz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 자신의 PC로 옮기는 작업을 해야 했다.
그러나 이 Ws_FTP과 같은 윈속용 FT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마우스를 클릭함으로써 자신의 PC로 바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특히
Ws_FTP은 윈도우의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여 마우스로 완전히
사용가능하고, 초보자들도 다루기 쉽게 돼 있으며, 파워유저에게는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줄 정도다. Ws_FTP 외에도 이에 필적할 만한
윈속용 FTP 클라이언트로는 CuteFTP라는 것이 있다.

구할 수 있는 곳
필자가 사용한 Ws_FTP는 95년 8월 19일 버전인데, 사용자가 이 글을
읽을 시점에서 Ws_FTP의 최신 버전이 나온다면 FTP를 이용해
ftp.usma.edu라는 호스트에 접속해 받아 사용하면 된다. 이 호스트의
/pub/msdos/winsock.files라는 디렉토리 밑에 ws_ftp.zip이라는 파일로
존재한다.

만약 넷스케이프와 같은 웹브라우저를 사용한다면
ftp://ftp.usma.edu/pub/msdos/winsock.files/ws_ftp.zip 라고 하여
구할 수 있다.


설치하기
우선 다운로드한 압축파일을 풀면 ws_ftp.exe, ws_ftp.hlp,
ws_ftp.ini라는 파일이 생길 것이다. 여기서 ws_ftp.exe를 실행시키거나
아이콘으로 등록하면 설치 과정은 끝난다.

실행시킬 때 주의할 점은 윈속이 실행되어 있어야 이 풀그림이
실행된다는 것이다. 그것은 여기에 소개되는 모든 여섯개의 풀그림도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먼저 Twinsock, 트럼펫윈속(Trumpet Winsock)
등의 TCP/IP 관리자를 실행시킨다.

그 다음 Ws_FTP을 실행시키면 화면과 함께 Ws_FTP의 홈사이트의 FTP
세션 설명이 담겨 있는 창이 뜰 것이다.


사용하기
각각의 기능과 사용방법을 이제부터 설명하도록 한다.

[ws_ftp1.tif>> SSESION PROFILE

Profile Name : 이름은 붙이고 싶은 대로 붙이면 된다. Profile Name
옆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현재 ws_ftp.ini 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여러
FTP 사이트가 나온다. 이후에 사용자가 새로 등록하게 되는 것도 이
안에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이전에 사용했던 FTP 세션 화면이 다음에
나타나게 된다는 점도 알아 둘 것. 특히 아주 유명한 .FTP 사이트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Delete : 말 그대로 지금 이 FTP 세션의 정보를 삭제하라는 것이다.
Save : 새로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작성했거나 약간 고쳤다면
저장한다
New : 새로운 세션의 설명을 담고자 할 때 이 버튼을 누르면 모든
칸이 깨끗해진다.
Host Name : 접속하려는 셈틀, 즉 FTP 서버의 이름이나 혹은 IP 주소를
적어 준다. 예를 들어 yoyo.kaist.ac.kr이라는 이름을 가진 셈틀은
143.248.249.16이라는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
Host Type : 접속하려는 호스트 종류를 정해 주는 것이다. 보통
자동선택(Automatic Detect)으로 해 놓으면 문제가 없다.
User ID : Anonymous FTP 즉, 인터넷 상에 공개되어 있는 FTP 서버에
접속할 때는 anonymous 혹은 ftp라고 적어 주면 된다. 자기 자신의
홈디렉토리로 FTP할 때에는 자신의 ID가 될 것이다. Anonymous FTP일
경우에는 옆의 Check Box 중에 Anonymous Login을 선택해 준다.
Password : 익명의 FTP 서버에 접속할 때의 패스워드는 자신의
전자메일 주소가 된다. 전자메일 주소를 OPTION 부분에서 설정해 놓은
상태라면 옆의 Check Box에서 Anonymous Login을 선택해 주면 자동으로
해결된다. 만약에 anonymous login이 아니라면, 패스워드를 적어 주어야
하는데, 여기서 쓰이는 패스워드는 자신의 셸 계정의 패스워드가 된다.
이 패스워드를 저장해 놓고 싶으면 Save Password라는 Check Box에
표시해 준다.
Initial Directories : 처음에 접속할 때 이동할 디렉토리를 지정
Remote Host : 접속하는 호스트 지정
Local PC : 전송받을 자신의 PC의 디렉토리 지정
OK : 이 버튼을 누르면 현재의 FTP 세션으로 연결을 시도한다.
Help : 이 화면에 대한 도움말을 얻을 수 있다.


<< ws_ftp2.tif >> ADVANCED PROFILE PARAMETERS

Retry : 접속에 실패할 경우(너무 사용자가 많다든가 할 때) 재접속을
시도하는 횟수 지정



Timeout : 여기서 지정하는 숫자만큼의 초 동안 사용자가 접속한
호스트에서 반응이 오지 않으면 접속이 자동적으로 끊기게 된다. 처음에
호스트에 접속할 때 걸리는 시간은 개인이 사용하는 winsock.dll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므로, 이 숫자를 너무 작게 해 아 winsock.dll에서
소요되는 시간보다 짧게 해 놓으면 언제나 접속이 끊기게 된다.
Port : 호스트 셈틀에 접속되는 포트번호로 보통은 21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방화벽(Firewall) 뒤에 있는 셈틀의 경우는 다른
포트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Passive Transfers : 라우터 기반의 방화벽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필요하다.
Use Firewall : 보안 등의 문제로 한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들과
분리시키기 위해, 게이트웨이(gateway) 혹은 방화벽(Firewall)이라고
불리우는 것을 사용한다. 이것은 한 네트워크가 다른 나머지의
네트워크들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게이트웨이(gateway) 혹은
방화벽(Firewall)을 통과해야 가능하도록 해 놓은 것이다. 방화벽
호스트 뒤에서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아래의 정보를 상세히
기록하여야 한다.

이제 다 설정했으면 OK를 눌러 접속해 보자. 다음의 접속 화면을 보고
설명을 참조해 보도록 하기 바란다.

<> WS_FTP 접속 화면

ChgDir :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려 할 때 사용한다. 보통은 화면에서
직접 사용하는 것이 더 편하다.
MkDir :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 때
RmDir :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지울 때
View : 설정되어 있는 뷰어(notepad 등)로 여러 문서파일을 읽을 수
있게 해 준다.
Exec : 연결(Associate)되어 있는 확장자를 가진 풀그림의 경우
실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파일을 선택한 후 이 버튼을 눌러
준다.
Rename : 파일의 이름을 바꿀 때
Delete : 파일을 지울 때
Refresh : 파일의 전송이 이루어진 후 디렉토리 정보를 새로 갱신할 때
DirInfo : 설정되어 있는 뷰어를 이용하여 현재 자신의 PC 디렉토리
혹은 호스트 셈틀의 디렉토리의 정보를 볼 수 있다.
ASCII, BINARY 체크박스 : 전송하는 파일이 아스키(ASCII) 문서 파일일
때는 아스키를 선택해 주고, 바이너리 파일일 때는 바이너리를 선택해
준다. Auto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구분해 전송하는데, Option에서
아스키로 전송하는 파일의 확장자를 정해 주어야 한다.
Connect/Close : 현재 진행중인 FTP 세션을 끝낼 때 사용한다. 또한
새로운 FTP 사이트로 접속할 때도 이 버튼을 눌러 주면 FTP Session
Profile 화면이 다시 나타나게 된다.
Cancel : 현재 진행중인 작업 취소시
LogWnd : 접속중인 호스트에서 보내 오는 메시지를 볼 때 사용한다.
Help : 이 화면에 대한 도움말을 볼 수 있다.


<< ws_ftp4.tif 다운로드화면 >>
다운로드나 업로드는 마우스로 해당 파일을 선택하고(다중선택을 할
경우, 또는 와 함께 마우스버튼을 누른다) 아래의 버튼을
눌러 주면 된다.

<- : 다운로드시 사용



-> : 업로드시 사용

<< ws_ftp5.tif >> Options
---------------------------------------------------------
<< ws_ftp6.tif >> Program Options
여러 가지 풀그림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폰트 등 여러 가지를
설정한다. 중요한 것은 여기서 전자메일 주소를 적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Ws_FTP를 사용하면 ws_ftp.log라는 로그파일을 남게 할
수 있어 기록을 남길 수 있다.

그리고 Double Click 란에서는 파일을 선택하고 두번 클릭했을 때
Ws_FTP가 수행하는 동작을 지정해 준다. 즉, 그 파일을 전송하게 할
수도 있고 그 파일을 볼 수도 있다. 또한 Transfer Rate를 bits/s 또는
Bytes/s 단위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
---------------------------------------------------------
<< ws_ftp7.tif >>Session Options
Session Options : 호스트의 종류, 전송방식, 전송시의 효과음 등을
설정한다.
---------------------------------------------------------
Extensions : Auto 모드로 전송할 때 아스키 방식으로 전송할 파일의
확장자를 지정한다.
Associations : 주화면에서 Exec 버튼으로 파일을 수행할 때 확장자와
실행파일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 항해는 GO IUG 인터넷 유저 그룹에서 출발합니다!
GO IUG GO IUG GO IUG GO IUG GO IUG GO IUG GO IUG GO IUG
━━━━━━━━━━━━━━━━━━━━━━━━━━━━━━━━━━━━━━
E-Mail: LEESUN2@hitel.ko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