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강좌] LAN 이용 컴두대로 CO-LAN 접속
松巖
1997. 5. 10. 03:04
이 글은 나우누리 또는 하이텔 어디엔가 에서 역시 갈무리한 글입니다.
그러나 본인의 실수로 올린이의 정보를 분실하였습니다.
꼭 필요하신 분들이 계신 듯해서 올립니다만, 원저자께는 매우 죄송함
을 전합니다.
1.네트워킹을 이용 ppp접속을 한 후, LAN에 물려있는 각 PC에서
WWW Browser,telnet,ftp,mail등 internet에 직접 모뎀(CO-LAN)을
이용하여 접속한 것처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참고 : 이글은 WINGATE의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참고
하였다.)
2. 시스템의 상태
486======LAN======Pentium----CO-LAN
원래 486과 Pentium을 LAN으로 묶어서 사용하고 있었고
CO-LAN을 펜티엄에 설치하였다.
3. Gateway PC의 설정
여기서 Gateway PC란 CO-LAN이나 모뎀이 설치되어 있는 PC
즉, internet에 연결할 수 있는 PC를 가리키기로 한다.
3.1 wingate의 setup
자료실이나 internet에서 wingate를 down받는다. 임의의
디렉토리에 압축화일을 풀고서 wgsetup.exe를 실행시킨다.
POP3,DNS,SMTP 등을 설정해 준다.
를 누르면 그 내용들이 wingate.exe에 저장이 된다.
(참고 : wingate는 Gateway PC에 설치한다. 기타 연결하고자
하는 PC는 각각 네트워크 설정만 잘 해주면 된다.)
3.2 TCP/IP설정 (제어판-->네트워크 설정)
(참고 : 이미 LAN을 사용 중이라면 아래 내용중 필요한 것만을
고쳐주면 될 것이다.)
(참고 : 당연한 얘기지만 network의 기본 프로토콜을 TCP/IP로
해준다)
IP : 192.168.0.1
(참고 : 꼭 위처럼 해줄 필요는 없고 위의 address는 wingate.doc을
참고로 한 것이다.)
SUBNET MASK : 255.255.255.0
WINS구성 : WINS Resolution 사용 안함
게이트웨이 : 필요없다.
바인딩 : Microsoft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참고 : LAN상에서 프린터를 공유 하거나 화일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싶으면, Microsoft 네트워크 파일/프린터 공유도 설치한다.)
고급 : 기본 프로토콜로 지정
DNS 구성 : DNS 사용
호스트 : 아무이름
도메인 : soback.kornet.nm.kr
찾을 DNS 서버 주소 : 168.126.63.1
찾을 도메인 주소 :sback.kornet.nm.kr
여기까지 하고 저장하면 다시 부팅하게 된다.
4. LAN에 물려있는 각각의 PC의 설정
4.1 TCP/IP 설정
IP : 192.168.0.2
(참고 : 마찬가지로 꼭 위처럼 해줄 필요는 없지만 각각의
IP는 다 달라야 한다.192.168.xxx.xxx등 )
SUBNET MASK : 255.255.255.0
WINS구성 : WINS Resolution 사용 안함
게이트웨이 : 필요없다.
바인딩 : Microsoft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참고 : LAN상에서 프린터를 공유 하거나 화일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싶으면, Microsoft 네트워크 파일/프린터 공유도 설치한다.)
고급 : 기본 프로토콜로 지정
DNS 구성 : DNS 사용
호스트: 아무이름
도메인 : 비워둔다
찾을 DNS 서버 주소 : Gateway PC의 IP address
(예:192.168.0.1)
찾을 도메인 주소 : 필요없다
여기까지 하고 저장한 다음 중요한 절차 하나가 있다.
Gateway PC를 제외한 나머지 PC들의 윈도95가 설치된
디렉토리에 hosts라는 화일 하나를 만들어 준다. (확장명 없음)
일반 편집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hosts에 써준다.
192.168.0.1 gateway
여기까지 마치고 재 부팅하면 이제 사용할 준비가
끝난 것이다.
4.2 testing 1
ppp접속을 하기 전에 Gateway PC가 아닌 다른 PC에서도스창을 열고 다음과 같이
쳐본다
ping gateway
Bad IP어쩌구..혹은 시간초과...응답없음 등의 메세지가
나오면 잘못 설정된 것이므로 위과정을 다시 한번
체크하여야 한다.
4.3. testing 2
성공했으면 Gateway PC에서 wingate를 실피磯�ぁ<--run!!
wingate의 Dialing항목에 보면, Aut connect to에서
자기가 ppp접속용으로 만들어 놓은 전화접속 네트워킹의
이름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Dial Now를 선택하여 ppp접속을 한다.
접속이 되었으면 다른 PC에서 도스창을 열고
ping nownuri.nowcom.co.kr등을 쳐본다.
호스트를 찾을 수 없다든가..하는 메세지가 아니라
32바이트..ping하는중..대상 호스트에 도달 불가능 (unreachable)
등의 메세지가 나오면 설정이 맞게 된 것이다.
5. Utility Program의 설정
5.1 WWW Browser
Netscape나 MSIE에서
HTTP -- Proxy : gateway Port : 80
로 설정해주고 실�벙시켜 본다.
5.2 Netterm
Options --> Setup --> Global Settings --> Fire Wall에
Gateway PC의 IP를 써준다
192.168.0.1
Socks Firewall
적용
이제는 여러 PC에서 동시에 나우누리라든가 하이텔에
접속이 가능하다.
(참고 : Netterm이 아닌 일반 text모드에서 telnet을
이용할 때에는 Gateway PC로 일단 telnet한 다음
WinGate> 하고 프롬프트가 나올 때 기타의
BBS에 접속하면 된다. Netterm에서는 그러한 과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민했는데, 몇 번 시도 한 끝에
위의 셋팅법을 알아낼 수 있었다. Winterm은 안써보았는데
마찬가지로 가능할 것 같다.)
......이제는 다른사람과 함께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인의 실수로 올린이의 정보를 분실하였습니다.
꼭 필요하신 분들이 계신 듯해서 올립니다만, 원저자께는 매우 죄송함
을 전합니다.
1.네트워킹을 이용 ppp접속을 한 후, LAN에 물려있는 각 PC에서
WWW Browser,telnet,ftp,mail등 internet에 직접 모뎀(CO-LAN)을
이용하여 접속한 것처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참고 : 이글은 WINGATE의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참고
하였다.)
2. 시스템의 상태
486======LAN======Pentium----CO-LAN
원래 486과 Pentium을 LAN으로 묶어서 사용하고 있었고
CO-LAN을 펜티엄에 설치하였다.
3. Gateway PC의 설정
여기서 Gateway PC란 CO-LAN이나 모뎀이 설치되어 있는 PC
즉, internet에 연결할 수 있는 PC를 가리키기로 한다.
3.1 wingate의 setup
자료실이나 internet에서 wingate를 down받는다. 임의의
디렉토리에 압축화일을 풀고서 wgsetup.exe를 실행시킨다.
POP3,DNS,SMTP 등을 설정해 준다.
(참고 : wingate는 Gateway PC에 설치한다. 기타 연결하고자
하는 PC는 각각 네트워크 설정만 잘 해주면 된다.)
3.2 TCP/IP설정 (제어판-->네트워크 설정)
(참고 : 이미 LAN을 사용 중이라면 아래 내용중 필요한 것만을
고쳐주면 될 것이다.)
(참고 : 당연한 얘기지만 network의 기본 프로토콜을 TCP/IP로
해준다)
IP : 192.168.0.1
(참고 : 꼭 위처럼 해줄 필요는 없고 위의 address는 wingate.doc을
참고로 한 것이다.)
SUBNET MASK : 255.255.255.0
WINS구성 : WINS Resolution 사용 안함
게이트웨이 : 필요없다.
바인딩 : Microsoft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참고 : LAN상에서 프린터를 공유 하거나 화일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싶으면, Microsoft 네트워크 파일/프린터 공유도 설치한다.)
고급 : 기본 프로토콜로 지정
DNS 구성 : DNS 사용
호스트 : 아무이름
도메인 : soback.kornet.nm.kr
찾을 DNS 서버 주소 : 168.126.63.1
찾을 도메인 주소 :sback.kornet.nm.kr
여기까지 하고 저장하면 다시 부팅하게 된다.
4. LAN에 물려있는 각각의 PC의 설정
4.1 TCP/IP 설정
IP : 192.168.0.2
(참고 : 마찬가지로 꼭 위처럼 해줄 필요는 없지만 각각의
IP는 다 달라야 한다.192.168.xxx.xxx등 )
SUBNET MASK : 255.255.255.0
WINS구성 : WINS Resolution 사용 안함
게이트웨이 : 필요없다.
바인딩 : Microsoft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참고 : LAN상에서 프린터를 공유 하거나 화일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싶으면, Microsoft 네트워크 파일/프린터 공유도 설치한다.)
고급 : 기본 프로토콜로 지정
DNS 구성 : DNS 사용
호스트: 아무이름
도메인 : 비워둔다
찾을 DNS 서버 주소 : Gateway PC의 IP address
(예:192.168.0.1)
찾을 도메인 주소 : 필요없다
여기까지 하고 저장한 다음 중요한 절차 하나가 있다.
Gateway PC를 제외한 나머지 PC들의 윈도95가 설치된
디렉토리에 hosts라는 화일 하나를 만들어 준다. (확장명 없음)
일반 편집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hosts에 써준다.
192.168.0.1 gateway
여기까지 마치고 재 부팅하면 이제 사용할 준비가
끝난 것이다.
4.2 testing 1
ppp접속을 하기 전에 Gateway PC가 아닌 다른 PC에서도스창을 열고 다음과 같이
쳐본다
ping gateway
Bad IP어쩌구..혹은 시간초과...응답없음 등의 메세지가
나오면 잘못 설정된 것이므로 위과정을 다시 한번
체크하여야 한다.
4.3. testing 2
성공했으면 Gateway PC에서 wingate를 실피磯�ぁ<--run!!
wingate의 Dialing항목에 보면, Aut connect to에서
자기가 ppp접속용으로 만들어 놓은 전화접속 네트워킹의
이름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Dial Now를 선택하여 ppp접속을 한다.
접속이 되었으면 다른 PC에서 도스창을 열고
ping nownuri.nowcom.co.kr등을 쳐본다.
호스트를 찾을 수 없다든가..하는 메세지가 아니라
32바이트..ping하는중..대상 호스트에 도달 불가능 (unreachable)
등의 메세지가 나오면 설정이 맞게 된 것이다.
5. Utility Program의 설정
5.1 WWW Browser
Netscape나 MSIE에서
HTTP -- Proxy : gateway Port : 80
로 설정해주고 실�벙시켜 본다.
5.2 Netterm
Options --> Setup --> Global Settings --> Fire Wall에
Gateway PC의 IP를 써준다
192.168.0.1
Socks Firewall
적용
이제는 여러 PC에서 동시에 나우누리라든가 하이텔에
접속이 가능하다.
(참고 : Netterm이 아닌 일반 text모드에서 telnet을
이용할 때에는 Gateway PC로 일단 telnet한 다음
WinGate> 하고 프롬프트가 나올 때 기타의
BBS에 접속하면 된다. Netterm에서는 그러한 과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민했는데, 몇 번 시도 한 끝에
위의 셋팅법을 알아낼 수 있었다. Winterm은 안써보았는데
마찬가지로 가능할 것 같다.)
......이제는 다른사람과 함께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