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답변/123] 문화재 찾기
松巖
1997. 5. 9. 04:27
문1) 우리나라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유물의 현황은 1997년 1월 7일
현재 고구려시대( )점, 신라시대( )점 조선시대( )점이다.
청동기 시대의 유물중 '곡옥'이란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하시요.
과정)
file:///c|/Program Files/Netscape/Navigator/Program/simbook.htm
(제 컴에 있는 심마니 디렉토리를 연결)
http://simmany.hnc.net/cgi-bin/viewhome.cgi?dir=/D293/D379/D179
(심마니에서 박물관 선택)
http://www.museum.go.kr/
(박물관리스트에서 국립중앙박물관 선택)
http://www.museum.go.kr/statistics2.html
(유물현황 선택)
http://www.museum.go.kr/relics_form.html
(유물정보 선택)
사이트갈무리)
[Image]
1997년 1월 7일 현재
장르 도자기 회화 복식불상 불화 고문서 고고품 기타불교공예 탐/비/부도
서예 가구민속품 기타 합계
구석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중석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신석기 0 0 0 0 0 0 1 0 0 0
0 0 0 1
청동기 0 0 0 0 0 0 33 0 0 0
0 0 0 33
초기철기 0 0 0 0 0 0 8 0 0 0
0 0 0 8
원삼국 0 1 0 0 0 0 0 0 0 0
0 0 0 1
낙랑 0 0 0 0 0 0 1 0 0 0
0 0 0 1
대방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고구려 0 0 0 2 0 0 4 0 0 0
0 0 0 6
백제 0 0 0 3 0 0 1 0 0 0
0 0 0 4
신라 1 0 0 6 0 0 44 3 1 0
0 0 0 55
가야 0 0 0 0 0 0 6 0 0 0
0 0 0 6
발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삼국 0 0 0 9 0 0 7 0 0 0
0 0 0 16
통일신라 0 0 0 15 0 0 11 51 4 0
1 0 0 82
발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나말여초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고려 116 4 0 7 3 0 0 42 9 0
1 0 7 189
여말선초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조선 124 211 0 3 3 5 0 11 0 20
18 2 4 401
근대 0 0 0 0 0 0 0 3 0 1
22 1 0 27
대한제국 0 1 0 0 0 0 0 0 0 0
0 0 0 1
일제강점 0 0 0 0 0 1 0 0 0 0
0 0 0 1
광복이후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시대미상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총계 241 217 0 45 6 6 116 110 14 21
42 3 11 832
[Image]
[Image]
축소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3차원 아이콘 등이 있을 경우, 이를 선택하면
유물의 완전한 이미지, 유물 동화상, 그리고 3차원 정보를 각각 보실 수
있습니다.
--------------------------------------------------------------
[Image]
유물번호 본관 (本館) - 14728
유물명칭 곡옥 (曲玉)
장르 고고품 (考古品)
수량 2점 (点)
시대 청동기 (靑銅器)
재질 유리/보석-천하석 (琉璃/寶石-天下石)
출토지 경북 영덕군 강구면 오포동 (慶北 盈德郡 江口面 烏浦洞)
문헌정보 문헌 상세 정보
--------------------------------------------------------------
선사시대 옥으로 만든 장신구로는 곡옥(曲玉), 관옥(管玉), 소옥(小玉) 등이
있다. 곡옥은 대부분 천하석제(天河石製)로 지석묘(支石墓)나 석관묘(石棺墓)
등의 분묘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다. 이 곡옥 두 개는 형태가 같은데 하나가 머리
부분에 손상을 입었다. 곡옥은 보통 초승달 모양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들은
머리와 꼬리 부분이 예각을 이루지 않고 뭉툭하게 잘린 것이 특징이다. 머리
부분에 구멍이 뚫려 있으며 이 구멍은 다른 장신구에 부착할 때 잘 연결되도록
뚫은 것이다. 길이 4.8cm로 영덕 오포동(烏浦洞)에서 출토된 것이다.《관옥》과
함께 발견되었다.
[Image]
답안)
고구려 6점,신라 55점,조선 401점
곡옥:위 설명으로 대신
현재 고구려시대( )점, 신라시대( )점 조선시대( )점이다.
청동기 시대의 유물중 '곡옥'이란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하시요.
과정)
file:///c|/Program Files/Netscape/Navigator/Program/simbook.htm
(제 컴에 있는 심마니 디렉토리를 연결)
http://simmany.hnc.net/cgi-bin/viewhome.cgi?dir=/D293/D379/D179
(심마니에서 박물관 선택)
http://www.museum.go.kr/
(박물관리스트에서 국립중앙박물관 선택)
http://www.museum.go.kr/statistics2.html
(유물현황 선택)
http://www.museum.go.kr/relics_form.html
(유물정보 선택)
사이트갈무리)
[Image]
1997년 1월 7일 현재
장르 도자기 회화 복식불상 불화 고문서 고고품 기타불교공예 탐/비/부도
서예 가구민속품 기타 합계
구석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중석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신석기 0 0 0 0 0 0 1 0 0 0
0 0 0 1
청동기 0 0 0 0 0 0 33 0 0 0
0 0 0 33
초기철기 0 0 0 0 0 0 8 0 0 0
0 0 0 8
원삼국 0 1 0 0 0 0 0 0 0 0
0 0 0 1
낙랑 0 0 0 0 0 0 1 0 0 0
0 0 0 1
대방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고구려 0 0 0 2 0 0 4 0 0 0
0 0 0 6
백제 0 0 0 3 0 0 1 0 0 0
0 0 0 4
신라 1 0 0 6 0 0 44 3 1 0
0 0 0 55
가야 0 0 0 0 0 0 6 0 0 0
0 0 0 6
발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삼국 0 0 0 9 0 0 7 0 0 0
0 0 0 16
통일신라 0 0 0 15 0 0 11 51 4 0
1 0 0 82
발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나말여초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고려 116 4 0 7 3 0 0 42 9 0
1 0 7 189
여말선초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조선 124 211 0 3 3 5 0 11 0 20
18 2 4 401
근대 0 0 0 0 0 0 0 3 0 1
22 1 0 27
대한제국 0 1 0 0 0 0 0 0 0 0
0 0 0 1
일제강점 0 0 0 0 0 1 0 0 0 0
0 0 0 1
광복이후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시대미상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총계 241 217 0 45 6 6 116 110 14 21
42 3 11 832
[Image]
[Image]
축소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3차원 아이콘 등이 있을 경우, 이를 선택하면
유물의 완전한 이미지, 유물 동화상, 그리고 3차원 정보를 각각 보실 수
있습니다.
--------------------------------------------------------------
[Image]
유물번호 본관 (本館) - 14728
유물명칭 곡옥 (曲玉)
장르 고고품 (考古品)
수량 2점 (点)
시대 청동기 (靑銅器)
재질 유리/보석-천하석 (琉璃/寶石-天下石)
출토지 경북 영덕군 강구면 오포동 (慶北 盈德郡 江口面 烏浦洞)
문헌정보 문헌 상세 정보
--------------------------------------------------------------
선사시대 옥으로 만든 장신구로는 곡옥(曲玉), 관옥(管玉), 소옥(小玉) 등이
있다. 곡옥은 대부분 천하석제(天河石製)로 지석묘(支石墓)나 석관묘(石棺墓)
등의 분묘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다. 이 곡옥 두 개는 형태가 같은데 하나가 머리
부분에 손상을 입었다. 곡옥은 보통 초승달 모양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들은
머리와 꼬리 부분이 예각을 이루지 않고 뭉툭하게 잘린 것이 특징이다. 머리
부분에 구멍이 뚫려 있으며 이 구멍은 다른 장신구에 부착할 때 잘 연결되도록
뚫은 것이다. 길이 4.8cm로 영덕 오포동(烏浦洞)에서 출토된 것이다.《관옥》과
함께 발견되었다.
[Image]
답안)
고구려 6점,신라 55점,조선 401점
곡옥:위 설명으로 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