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LECTURE FROM CITYNET `INTERNET` (1)

松巖 1996. 6. 3. 06:07
제목:1.1 현재의 인터넷

요즘 우리는 '인터네워크' 또는 '인터넷'이라고 하는 말을 자주 접하게 되었다. 텔

레비전이나 잡지 등에서도 연일 대서특필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고 그것이 단순
히 일시적인 반응이 아니라 혁명적인 업적이라는 점도 우리 자신들은 잘알고 있다.
인터넷은 과연 어떻게 급속한 속도로 증가를 했는가? 그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수 있다.여기에서 가장 주목해야될 일은 1994년 무렵부터 급속하게 주
목되었던, 이른바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상을 둘러싼 정치적 정세의 교류가 이루
어진후에, 처음으로 인터넷이 지금과 같은 화제에 오르게 되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어떠한 이유에서든 현시점에서「인터넷에는, 4만 수천 개의 도메인과 300
만 이상의 컴퓨터 단말이 세계 130개국 이상의 나라에 일찍부터 접속되어,이용자는
2000만 이상이지만 정확한 이용자의 숫자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더욱이 인터넷의 이용자는 현재에도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빠른 속도로 계속해서 늘어날 것이다.
그러면, 이 인터넷 또는 인터네트워크란 도대체 어떤 것일까?
인터넷을 한마디로 설명하면,「컴퓨터기술과 통신기술이 기본이 되어, 전세계의 컴
퓨터나 네트워크를 상호접속함으로써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한 거대한 정보 네트워
크」라고 할 수 있다. 이 인터넷상으로의 통신을 하기 위하여 필요하게 된 약속으
로서,TCP/IP를 기본으로 해서 성립되어있다. 인터넷의 기술적인 기반을 보다 심층
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는 TCP/IP에 관한 이해를 확실히 하는 것이 보다 인터넷
을 더 잘 이해하는 길이다.


제목:1.2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와 접속할 때에 TCP/IP를 사용하는 것은, 오늘날에
있어서 컴퓨터 네트워크의 세계에서 대단히 대중화 되어있다.
컴퓨터 네트워크의 통신기술은 초기의 대형컴퓨터와 단말과의 접속에 의한 형태
로부터 현재의 패킷 교환기술에 의한 분산처리형의 컴퓨터 네트워크에 이를 때까
지, 기술적인 시행착오를 되풀이 하면서 시대에 따라 가지각색의 부분으로 발전되
어오고 있다.
컴퓨터의 기능이나 성능 뿐만 아니라 ,통신회선인 상호접속을 위한 약속사항인 프
로토콜에 미치기까지 전반적인 면에서 진보한 것이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져왔
다. 그중에서 컴퓨터 네트워크를 사용하게 된 이용자에게,친근하게 빠른 속도로 확
대된 것이 TCP/IP통신이다. TCP/IP를 이용한 발전으로 우리는 진정한 네트워크시
대를 살아갈수 있게 된 것이다.


제목:1.3 네트워크,인터네트워킹 그리고 인터넷

컴퓨터들이 네트워크 장비(LAN Card,Modem 등)로 연결되어 상호 정보 교환이 가
능한 경우 이 행위를 컴퓨터 통신이라 한다. 비슷하게 두 개 이상의 컴퓨터들이 통
신 망을 통하여 상호 연동된 네트워크간의 통신 행위가 가능한 것을 네트워크라고
말할수 있다. 하나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시스템들은 PC급에서 거대한 슈
퍼컴퓨터까지 다양한 이기종 환경이 가능하다. 이렇게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자체적으로 자신들의 작업을 수행하며,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들
으 이용이 가능한 컴퓨터들에 대하여 본 책에서는 노드(Node) 혹은 호스트(Host)
라 한다.

컴퓨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는 전송 규약인 프로토콜(Protocol)과 통신 과정을
계층화한 통신 구조에 기초하여 설계된다.프로토콜은 구성 컴퓨터들의 상호 행위
요구를 이해할 수 있는 통신 전송 규약을 말하며,컴퓨터 통신 구조는 OSI7 계층
모델과 같이 통신으 단계를 계층화시켜 그 역할을 모델링한 것이다.그래서 통신을
수행하는각 노드에는 프로토콜과 구조화된 컴퓨터 통신 구조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지역망(LAN,Local Area Network)은 80년 중반부터 통신 하드웨어의 눈부신 발전
과 관련 학문의 성장,그리고 지역망의 절실한 필요성 요구로 만들어진 컴퓨터 통신
이라 말할 수 있다. 지역망은 환형(Ring),버스(Bus),별(Star)등 여러 위상
(Topology)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이용되는 전송 매체 또한 다양한데,요즘
들어 광케이블이 각광을 받고 있다.광케이블의 경우 100Mbps까지 전송이 가능하
며,초고속 네트워크 시대를 예언하고 있다.

이런 지역망들은 독자적으로 존재하기 보다는 각 지역망들이 상호 연결되어 각
지역망들의 자원(Resource)들을 효과적으로 공유,이용하기를 원하게 된다.이렇게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을 상호 연결하는 것을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이라
한다.

인터네트워킹에서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을 연결함으로써 몇 개의 추가적인 장비
들이 필요하게 된다.먼저 인터네트워킹은 지리적으로 먼 거리의 네트워크를 연결하
게 됨으로써 전송 매체를 흐르는 데이터들을 증폭할 수 있는 "반복기(Repeater)"
가 필요하다. 이 반복기는 아무런 전송 데이터들에 대하여 변형을 가하지 않으므로
컴퓨터 통신 구조의 가장 낮은 단계인 물리적 계층(Physical Layer)을 연결할 때
사용된다고 말할 수 있다. 다른 장비로 "브릿지(Bridge)"를 말할 수 있다. 브릿지는

컴퓨터는 통신 구조에서 물리 계층보다 한 단계 높은 데이터링크에서 통신 트래필
에 분산 기능을 가진 것을 말한다. 지역망을 가진 학교에 경우,흔히 각 계열별 건
물들은 자체적으로 서브네트워크(Sub-Network)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서버네트
워크는 Ethernet과 Backbone네트워크인 FDDI에 연결되어져 하나의 학교 지역망
(Campus-Wide LAN)을 구성 하게 된다. 이 경우 각 서브네트워크를 세그먼트
(Segement)라 말한다. 그래서 이 세그먼트들을 학교 지역망에 연결할 때 이용되는
장비가 바로 브릿지라 말할 수 있다.

인터네트워킹으로 만들어진 전세계에 가장 커다란 네트워크망이 인터넷(Internet)

이라 할 수 있다.인터넷이 나온 배경은 네트워크가 지역적으로 분산화 되어지고 사
용자들이 멀리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하고자 함으로, 여러 다른(지리적으로)네트워
크를 상호 연결해야 하는 필요성을 피부로 절실히 느꼈기 때문이다.이렇게 다른 네
트워크들을 상호 연결하다 보니 상당히 복잡한 기술들이 개발,적용되었다. 이 기술
중 가장 힘들고 복잡한 부분이 바로 경로 배정(Routing)문제이다.즉 한 네트워크로
부터 수많은 다른 네트워크로으 네트워크 행위는 정확하게 원하는 네트워크의 한
호스트를 찾아야 하는 부담을 가지게 된 것이고, 이는 기존 지역망에서 사용되는
기법으로는 가능하지 않게 된다.그래서 이런 경로 배정에 이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것을 게이트웨이【(Gateway)-상업적으로는 라우터
(Router)라고도 함】라 한다.게이트웨이는 흔이 네트워크 계층을 연결시켜주는 장
비다.나중에 설명되겠지만 먼저,게이트웨이는 전송중인 데이터가 목적지로 선정된
네트워크로의 경로 배정을 담당한다고 쉽게 말할 수 있다.

지역망(LAN)은 회사,단체,학교,정부 기관 등 여러 모인에서 자신들의 작업 능률의
향상을 위하여 구비한 것으로 SPC(삼성LAN카드),NE2100,NE2000,SMC,3M과 같은
하드웨어 네트워크 Card,연결 매체(트랜시버,케이블)그리고 관련 소프트웨어 등으

로 구성이 가능하다.그리고 Workstation같은 컴퓨터는 자체적으로 LAN카드를 구
비하고 있어 네트워크를 위한 컴퓨터라 말할 수도 있다. 이런 지역망들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활성화된 것이다.이런 전세계의 지역망들을 상호 연동시
켜 거대한 하나의 네트워크망으로 구성한 것 중 하나가 "인터넷(Internet)"이다.인

터넷에 가입된 네트워크와 호스트의 수를 말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것을 없을 것이
다.

인터넷은 이제 단순한 네트워크가 아니다. 21세기를 위한 생존의 수단이다.


제목:2.1 인터네트의 정의

인터네트는 현재 전세계 93개국(1995년 5월1일 기준:게이트웨이를 통한 접속을
포함하면 168개국)의 컴퓨터 통신망들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중의 통신망인, 전세
계 최대의 컴퓨터 통신망(네트워크)으로서 전세계적으로 4,852,000여대의 (1995년 1

월 기준) 컴퓨터가 인터네트에 접속되어 있다.현재 전세계적으로 4천 5백만명 이상
이 이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며, 이용자의 숫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일반인들도 인터네트를 전화처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게 될 날이머
지 않았다. 이와 같이 인터네트는 전세계의 수많은 컴퓨터통신망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중의 통신망으로서(A Network of Networks) 20여년전 미국 국방성의 컴퓨
터통신망인 ARPANET으로 시작된 이래 꾸준히 발전해 오다 최근에는 그 발전 속
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지고 있다. 이렇듯이 인터네트로 연결된 세계는 새로운
전자지구촌(global electronic village)을 이루며,이러한 가상의 세계(cyberspace)는

영화론머맨(Lawnmowerman)에서 본 것과 같은 가상현실 (virtual reality)의 공간
을 제공해주고, 이러한 가상의 공동체(virtual community)에 한 번 빠지면 쉽게 헤
어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타임지는 인터네트를 정보화시대에 가장 저렴하고 안전
한, 산뜻한 마약(smart drug)이라표현했다.


제목:2.2 인터네트 사용현황

1983년 인터네트가 출발한 이래로 지수함수적으로 많은 수의 통신망들이 인터네
트에 접속되었다. 1985년에 인터네트에 접속된 컴퓨터는 2,000대 미만이었고, 1988

년 인터네트에 연결된 컴퓨터 통신망은 900개 수준이었던 것이 매년 성장을 거듭
하여 최근에는 그 발전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고 있다. 그리하여 인터네트는 1995년
현재 전세계의 7만여 컴퓨터 통신망간을 연결하는 전세계 최대의 컴퓨터 통신망으
로서,전세계적으로 5 백만 대 이상의 컴퓨터가 접속되어 있고 그 사용자
수는 4천 5백만명 이상이다.


제목:2.3 통신망 및 호스트수의 증가추세와 현황

하루에도 수백만명이 인터네트를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매월 1,000대 이상의
컴퓨터가 인터네트에 새롭게 접속되고 있다. 또한, 인터네트를 통한 정보교환을 위
한 전송데이터량은 매년 2배 이상 증가하고 있다. 다음은 인터네트에 접속된 컴퓨
터와 연결된 컴퓨터 통신망의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ISOC는 서기 2,000년
에는 인터네트에 접속된 컴퓨터의 수가 1억이 넘을 (124,255,175대) 것으로 전망하

고 있다.

*인터네트 호스트의 증가 추세

--------------------------------
날짜 연결 호스트 수
--------------------------------
81년 8월 213
83년 8월 562
85년 10월 1,961
87년 12월 28,174
89년 10월 159,000
90년 10월 313,000
91년 10월 617,000
92년 10월 1,136,000
93년 10월 2,056,000
94년 10월 3,864,000
95년 1월 4,852,000
--------------------------------

다음은 현재 인터네트에 접속되어 있는 국가별 컴퓨터 수를 나타내는것으로서 일
반적인 국력과 비교해서 살펴보면 매우 흥미로울 것이다.

최상 25개 국의 국가별 인터넷 접속
호스트수 (ISOC Press Release:1994년 7월 1일 기준)


순위 국가가명 접속된 호스트 수 비율
========================================================
1. U.S 2,044,401 63
2. United of Kingdom 155,706 5
3. Germany 149,193 5
4. Canada 127,516 4
5. Australia 127,514 4
6. Japan 72,409 2
7. France 71,899 2
8. Nethelands 59,729 2
9. Sweden 53,294 2
10. Finland 49,598 2
11. Switzerland 47,408 1
12. Norway 38,759 1
13. Italy 23,616 1
14. Spain 21,147 1
15. Austria 20,130 1
16. South Africa 15,595 <1
17. New Zealand 14,830 <1
18. Korea 12,109 <1
19. Denmark 12,107 <1
20. Belgium 12,107 <1
21. Taiwan 10,314 <1
22. Hong Kong 9,141 <1
23. Italy 8,464 <1
24. Poland 7,392 <1
25. Brazil 5,896 <1
========================================================


제목:2.4 인터네트의 탄생과 발전

미국 국방성의 ARPA(Th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는 일정지역의
폭탄 폭격과 같은 긴급사태 시에도 장애를 받지 않고 일반적으로 제 기능을 발휘
할 수 있는 통신망 구축 방법에 대한연구를 추진하던 중, ARPA 연구원들간의 정
보와 자원공유를 위하여 1969년부터ARPANET란 컴퓨터 통신망을 구축하여 운용
하기 시작하였다. ARPANET은 원격 시스템 접속, 화일전송, 전자우편 및 정보공
유가 가능한 컴퓨터 통신망으로서 사용자 수의 증가와 망의 확장과 함께 미국의
중요한 컴퓨터 통신망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ARPANET의 확장과 함께 미국에
서는 근거리통신망(LAN)기술과 워크스테이션의 보급에 따라 새로운 컴퓨터 통신
망들이 탄생하여 발전하기 시작하였고, ARPANET은 이들 통신망들과의 상호 연
결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ARPA는 기종에 관계없이 통신망에 접속된 모든 컴
퓨터간의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통신망 구축을 위해 새로운 통신프로토콜과 통신
망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TCP/IP 프로토콜과 ARPA 인터네트 프로토
콜이다. 이와 같이 인터네트는 60년대말 미 국방성에서 NASA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미국 전역의 연구소, 대학 등의 과학기술자들이 상호 정보교환 및 기술교류를 촉진
하기 위해 구축한 'ARPANET'이 모태가 되었다. 1983년에 TCP/IP프로토콜을 바
탕으로 인터네트가 시작되었는데, 그 당시 ARPANET은 MILNET과 ARPANET으
로 분리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인터네트에 포함되었다. 이와같이 ARPANET이 둘
로 나뉘어 인터네트를 형성할 때 미 국방성의 DCA(the Defense Communications
Agency)는 모든 ARPANET호스트들이 TCP/IP 사용을 의무하고 패킷교환소프트
웨어를 변경하여 이를 적용토록 하였다.
결국, 모든 ARPANET 호스트들은 TCP/IP프로토콜을 사용한 인터네트환경에서의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로서 TCP/IP 인터네트의 표준 프로토콜로 자리
를 잡게 되었고 보다 많은 호스트와 게이트웨이들이 기존의 통신망에 아무런 영향
을 주지 않고 인터네트에 연결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세계 각국의 학술연구망들
을 상호 연동하는 세계 최대규모의 국제학술연구망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연구개발
을 위한 UNIX 시스템에서 TCP/IP를 기본적으로 제공하여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신뢰성있는 전산망을 쉽게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Internet은미국의 대
학, 연구소,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으며 지금은 세계 최대 규모의 컴퓨터통
신망으로 발전하였다. 현재 인터네트는 미국의 MIT, 하버드, 스탠포드 대학을 비
롯해 NASA, Bell연구소등 세계 유수 연구기관 및 기업망 등 93개 국가, 7만여개의
망이 온라인으로 접속되어 다양한 전산자원을 공유하고, 과학, 기술, 경영, 사회, 교

육, 기상 등 전분야에 걸친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이를 이용형태별로분류해 보면
(1993년 7월의 경우 ) 연구용 44, 상업용31, 국방용10,교육용8및 정부용이 7를 점유

하고 있다. 특히 상업용은 최근 3년간 평균 300이상 급증하는 추세에 있어, 인터네
트는 이제 단순한 학술전산망에서 탈피, 여러 정보망들이 통합된멀티미디어 통신망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신뢰성 있는 정보전달을 위한 통신망 구축에서 시작한 인터
네트는 이제, 전세계를 연결하는 지구촌 통신망으로 자리를 굳혔고 각국의 정보고
속도로 구축에 따라 더욱더 통신망으로서의 역할이 커질 것이다.
통신망으로서의 인터네트의 성장을 바탕으로 인터네트에서 구할 수있는 축적된 정
보가 엄청나고 나날이 그 양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최근에는 인터네트 사용자가
어떻게 자기가 원하는 정보를 쉽고 최적으로 찾고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
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인터네트 사용자 대부분이 정보를 검색하고 이
용할 뿐만 아니라 정보의 창출자로서의 역할이 크기 때문에, 쉽고 효율적으로 정보
를 창출하기 위한 툴들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인터네트 사용자 대부분이 정보를 검색하고 이용할 뿐만 아니라 정보의 창출
자로서의 역할이 크기 때문에, 쉽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창출하기 위한 툴들의 개발
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네트의 성장과 발전에 따라 모든 사람
이 인터네트를 사용하고 우리의 생활과 더욱더 밀접해 짐에 따라 이제는 기술적인
문제 보다도, 인간의 입장에서 어떻게 하면 인터네트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인간중
심으로 이끌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나 인터네트가 상업화되면서, 영리추구의 기업 생리가 기존의 인터네트가 추구
한 "열린 통신", "열린 정보"와 "열린 마음"의 철학이 퇴색되어 가는 상황에서 많

은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 빈민을 위한 "Food Stamp" 처
럼 정보의 공정한 공유와 접근을 위한 "Bit Stamp"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것을 보
면, 그 관심의 정도를 알 수가 있다.


제목:2.5 인터넷 발전과 미과학재단NSF의 역할

새롭게 탄생한 새로운 여러 통신망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통신망 중에 하나가 미
국 정부기관인 미국과학재단 (NSF: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이 운용하는
NSFNET 이었다. 80년대 말에 NSF는 5개의 슈퍼 컴퓨터 센터를 설치하였는데,
이전까지만해도 그 당시 세계에서 제일 빠른 컴퓨터들은 단지 무기개발자들 혹은
아주 큰 기업 연구원들만이 사용이 가능했다. NSF가 이와같이 5개의 슈퍼컴퓨터
센터를 설치함으로써, 학술연구 목적으로 슈퍼컴퓨터 자원이 활용될 수 있게 되었
다. 슈퍼컴퓨터가 고가인 이유로 5개의 센터만이 설치되었기 때문에, 5개센터의 슈
퍼 컴퓨터들은 많은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통신망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즉 모든 슈퍼컴퓨터 센터를 상호 연결할 필요뿐만 아니라, 컴퓨터센터 이
용자들이 슈퍼컴퓨터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센터와 이용자들을 연
결할 필요가 생기게 된 것이다
처음에는 NSF는 통신을 위하여 기존의 ARPANET을 사용하려 했으나, 직원채용
과 관료적인 문제점들로 인해 실패 하였다. 그러자 NSF는 ARPANET의 TCP/IP
기술을 바탕으로한 자기들 고유의 통신망을 구축하기로 결정하기에 이른다. 이 통
신망은 전화선을 통하여 56Kbps로 센터들을 연결하는 것이었는데, 이 전송속도는
대략적으로 초당 타이핑된 2장의 문서내용을 보낼 수 있는 속도이다. 지금 56Kbps
는 그리 빠른 속도라고 볼 수 없지만 80년 중반기에는 어느정도 빠른 속도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만약 모든 대학을 슈퍼컴퓨터 센터와 직접 연결하려 한다면 슈
퍼컴퓨터 센터는 대학별로 별도의 연결회선과 장비가 필요하게 될 것이고 이는 여
러 측면에서 봐도 비 경제적일 것이다. 따라서 지역별도 통신망이 구축되고 각 지
역망들은 다시 체인처럼 연결되게 되었고, 이러한 체인망들 중에 하나가 슈퍼컴퓨
터센터와 접속되게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통신망에 접속된 어떤 컴퓨터도 다른
모든 컴퓨터와 상호전환을통하여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즉, NSF의 노력으로 지역이나 대학의 컴퓨터통신망 구축이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이는 인터네트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된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은 매우 성공적이었
으나, 대개의 경우처럼 결국 계에 도달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통신망에 연결된
곳에서는 슈퍼컴퓨터 공동사용과 함께 컴퓨터센터와 별개의 다른 자원도 공유하도
록 허락했기 때문이다.즉, 통신망에 속한 학교들은 어느날 갑자기 데이터 세계와

협력자를 그들의 손가락 끝에서 얻게된 것이다. 결국 통신망의 트래픽이 증가하여
통신망을 제어하는 컴퓨터와 연결을 위한 전화선에 과다한 부하가 걸리게 되었다.
그러자 1987년에 그당시 IBM관 MCI와 함께 미시간 교육망을 운용하고 있던
Merit Network Inc.와 망의 운용과 향상을 위한 계약이 체결되었고, 기존의 망은
전송속도가 기존에 비해 20배정도 빠른 전화선으로 구축되었고 망을 제어하는 컴
퓨터 또한 빠른 기종으로 대치되었다. 인터네트 발전에 있어 NSF이 가장 중요한
역할은 많은 일반 사람들에게도 인터네트 접속을 가능케 했다는 점이다. 그 이전에
는 인터네트는 단지 컴퓨터 연구자와 국가공무원 및 국가기관 종사자들의 의 전유
물었기 때문이다. NSF는 대학이 접속범위를 확대할 계획만 있으면, 대학의 인터네
트 접속을 위해 재정지원을 함으로써 전체적인 교육을 위한 인터네트접속을 촉진
시켰다. 그럼으로써, 4년제 대학에 입학하는 모든 학생은 결구 인터네트 이용자가
되게 되었다. 인터네트의 이러한 요구는 계속 확대되고 있는데, 모든 4년제 대학들
이 연결됨으로써 이제는 중고등학교들을 연결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4년제 대학을
졸업한 모든 사람은 인터네트에 어디에 유용한가를 알기 때문에 그들이 취업한 후
그들의 고용주들에게 거래처와 인터네트를 통하여 연결하도록 제안할 것이다.
이러한 활동은 지속적인 성장, 풀어야할 새로운 문제 발생, 기술의 진화 및 망이용
자를 위한 직업보완에 초점이 맞추어 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