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LECTURE FROM CITYNET `INTERNET` (3)

松巖 1996. 6. 3. 06:10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우리나라에는 인터네트의 출발은 하나망(HANAnet),전산망
(KREONet : Korean Research Environment Open Network), 교육전산망(KREN :
Korean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의 3개의 전산망으로부터 시작되었는데,
( 1993년 11월 현재 ) 서울대, 과학원, 포항공대등의 교육기관, 한국통신(KOTEL),
데이터통신(DACOM) 등의 기업체, 시스템 공학센터(SERI), 전자통신연구소(ETRI)
등의 정부연구소 등이 ( 모두 86개 기관 위의 3개의 전산망을 통해 ) 인터네트에
가입되어 있다. 이들 전산망은 지역적인 구분이라기보다는 운영기관, 운영목적등에
따른 논리적인 구분이며, 학술전산망협의회(ANC)를 통해 서로간의 조정과 협의를
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중인 3개의 인터네트 컴퓨터통신망은 ANC(Academic Network
Council, 학술전산망협의회)를 통해 상호간의 조정 및 협조를 하고 있는데, ANC의
관할하에 한국내의 인터네트를 대상으로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 서비스
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KRNIC(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 한국망정
보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3.4.1 우리나라의 학술 및 연구망

전산망 운영기관 주요가입기관
------------------------------------------------------------
연구개발망 한국통신 연구개발단 일반기업연구소,
(HANANet) (KTRC) 교육/연구기관
연구전산망 시스템공학센터 국립연구소, 대학교,
(KREONet) (SERI) 기업연구소
교육전산망 서울대학교 국립대학, 교육관련기관
(KREN)
------------------------------------------------------------

제목: 3.4.2 하나망 HANANet

하나망의 전신인 SDN(System Develoopment Network)은 1982년에 시작된 우리나
라 최초의 전산망이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구성된 학술전산망인 SDN은 18개 조직
의 연구망이 연결 되어있는데 SDN은 국내 연구 기관 및 해외전산망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폭넓은 연구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연결회선의 속도상의
제약과 국제전산망의 접근이 전자우편만으로 제한되어 불편이 있다. 이에 대한 해
결책으로 망에 연결된 기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HANA라는 이름의 망을 구성
하고 SDN은 KAIST 내부의 연결망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SDN이 하나망으로 구
성되자 기존의 9600bps의 전송속도가 56kbps로 현저하게 증가되어 대량의 전송이
가능해졌으며 PACCOM에 참여함으로써 미국의 인터네트, 미국방성의 ARPANet,
Binet, CSNet 등의 외국의 네트워크와 손쉽게 연결되게 되었다.
당시 미약한 정보통신 기술 발전을 위하여 정보통신과 전산망, 한글화 등의 연구
개발을 목적으로 시작된 연구개발망으로서, 국제적으로도 조기에 구축된 학술연구
망으로 인정받고 있다. 초기에는 과학기술원에서 운영을 담당하였으며, 1992년 9월
에 한국통신 연구개발원으로 운영이 이관되었다. 1993년 7월을 기하여 해외접속 회
선이 56Kbps에서 256Kbps로 증설되었고, 연구기관이나 교육기관에 종사하지 않는
일반인에게도 계정을 발급하기 시작하였다.

하나망(HANAnet)은 수십 개의 연구기관 및 학교가 연결되어 있으며, 200여명의
개인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다.
하나네트는 미국 NASA Ames와 256Kbps의 해저케이블로 연결되어 Internet서비
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DNS 전용선 연간 사용료는 관련기관의 합작투자로 이루어
진다. 하나망의 국내 가입기관은 3개이사회기관 (과학원,한국통신 연구개발단
,
ETRI), 11개 정회원(시스템 공학센타, 금성전선, 포항공대등) 및 준회원기관(서울

대, 한양대 등) 현재 총19개 기관이 가입되어 있으며 향후 가입
기관이 더 늘어날 전망이다.

DNS : soback.hana.nm.kr


제목:3.4.3 연구전산망 크레오네트(KREONet)

크레오네트(Korea Research Environment Open Network)는 우리나라 5대기간 전
산망의 하나인 교육연구망 중 교육망으로 시스템 공학 센타(SERI)에서 운영하고
있는 연구용 네트워크이다. 크레오네트는 정부의 전액 지원하에 시스템공학센터
(SERI)의 슈퍼컴퓨터를 기본 국내외 연구기관들의 전산 자원 공유와 정보교환을
원활히 하여 연구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전산망은 서울, 대덕구
간을 중심으로 전국 15개 지역 네트워크센터를 연동하는 TREE WITH
STAR-END형태의 토폴로지를 갖는 고속 백본망이다. 해외망과는 현재 미국
CERFNet을 통하여 Internet/NSFNet을 액세스 하고 있는데 미국 Stockton에 있는
스프린트 ICMNet(NSFNet의 서부 국제링크 연결점)으로 256KBPS로 중속되어 운
영되고 있으며, EuropaNET의 중심노드들중의 하나인 영국 런던대학의 컴퓨터 센
터와 64KBPS로 전용회선을 구축하여( 94. 8. 1기준) 유럽 22개국의 학술 연구망들
과 직접 R&D 관련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어 기존의 미국을 거쳐서 유럽과
정보를 주고 받을 때보다 훨씬 빠르고 손쉽게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연구전산망에는 90개 연구수행기관이 연동되어 있는데 성격별로 분류하여보
면 정부 출연연구소 28개기관, 대학 37개기관, 정부 5개부처, 그리고 기업체 연구소

20개기관으로 분류된다.

DNS:garam.kreonet.re.kr : 연구 전산망 행정 서비스


제목:3.4.4 학술망 KREN

1988년에는 국가의 5대 기간전산망의 하나인 교육연구망이 교육망(KREN)과 연구
망(KREONet)으로 분리되어 교육망은 서울대학교의 중앙교육 연구 전산원에서 연
구망은 시스템 공학 연구소에서 운영을 담당하게 되었다. 국내 대학에서 컴퓨터 이
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각 대학 전산소, 연구실, 도서관의 교육 및 연구활동과 교육
행정에 관련된 업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구성된 전산망이다. 지금은 HANA/SDN
(이하 HANA로 약함)은 교육망인 KREONet와 상호 연결되어 해외망인 인터네트
와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해 Internet에 산재해 있는 무수한정보자원 및 인터네트

를 통해서 세계 여러 망의 정보교류로 가능해졌다.
인터네트를 개통하기 전 KREN 초기에는 서울대를 국내 주노드프로세스로한
BINET(Because It's Time Network)를 채택하여 해외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였는
데, 18개 대학 및 관련기관이 가입되었다.
빗네트란 IBM사에서 개발한 RSCS프로토콜을 채택하여 각국의 대학 및 비영리단
체들을 연동하는 학술 전산망을 가리키는데, 현재 세계적으로 UNIX시스템에 탑재
된 TCP/IP를 채택하여 인터네트에 가입한 기관이 늘어남에 따라 인터네트와도 연
동이 가능한 BITNET II가 확산되어가고
있다.

장비 구입 및 기술적인 문제를 비롯한 교육전산망에 관련된 제반적인문의사항은
서울대학교 중앙교육연구전산원 또는 해당지역 센터를 통하여 도움을 받는다.

교육전산망 운영본부 < 서울대학교 중앙교육연구전산원 교육망개발실 >

- Tel : (02) 880 - 5364~5, 887-7484
- Fax : (02) 887 - 0130
- 담당 : 정병호, 김은경, 이세우, 조윤정

지역센타별 담당
+------------+---------------+--------------------+-----------+
| 지역센터 | 기 관 | 연 락 처 | 담 당 |
+------------+---------------+--------------------+-----------+
| 경기지역 | 서울대학교 | (02) 880-5365 | 정 병호 |
| 강원지역 | 강원대학교 | (0361) 50-8041 | 이 민호 |
| 충북지역 | 충북대학교 | (0431) 61-2773 | 연 철흠 |
| 충남지역 | 충남대학교 | (042) 821-6055 | 정 대영 |
| 전북지역 | 전북대학교 | (0652) 70-3506 | 곽 의종 |
| 전남지역 | 전남대학교 | (062) 520-7811 | 조 준주 |
| 경북지역 | 경북대학교 | (053) 950-6656 | 김 현상 |
| 부산지역 | 부산대학교 | (051) 510-1856 | 전 성규 |
| 경남지역 | 경상대학교 | (0591) 54-8331 | 김 운학 |
| 제주지역 | 제주대학교 | (064) 54-2261 | 윤 성보 |
+------------+---------------+--------------------+-----------+

제목:3.4.5 국내 인터네트 정보센터 KRNIC

KRNIC(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의 기본 기능은 인터네트에 대한 등록
(인터네트 Registry) 및 망 정보(network information)관리인데, KRNIC 출범 이전
까지는 개별 통신망 별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여 왔고, 한국내의 IP 주소 할당을
위한 조정과 도메인 네임등록 등의 기능을 ANC의 기술위원회를 통하여 하였다.
그러나, 국내의 네트워크 규모가 증가하고 세계적으로 대륙별, 국가별 NIC 설치를
통한 계층적 구조화 추세에 따라, 국내의 인터네트 NIC 기능을 총괄하는 KRNIC
를 설치하게 되었다. 즉, KRNIC은 국내 네트워크의 NIC와 협조하여 한국내의
NIC 관련 기능의 조정 역할을 하며,국내의 경우는 KRNIC이 IP 네트웍 번호를 할
당하는 역할을 맡는다.

Global IR (DDN-NIC으로부터 이관된 InterNIC)
|
지역 IR (APNIC)
----------+-----------
| | |
KRNIC JPNIC 그 외의 국가별 NIC들

따라서 앞으로 모든 국내에서의 IP 네트웍 주소의 할당 업무는 KRNIC
에서 담당하며, IP 네트웍 주소를 할당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양식을
KRNIC에 제출해야한다.

도메인 네임 등록 네트워크 가입 기관이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KRNIC에서 제공하는 template를 사용하여 해당 제2레벨 도메인별 등록을 위한
주소로 요청서를 보내야한다. 등록을 위한 요청서는 KRNIC.NET에 anonymous
FTP로 접속하여 구할 수 있다.

네트웍 정보의 관리

KRNIC의 활동중 하나는 한국내의 IP 네트웍들, DNS 도메인들과 그 담당자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은 공개된 정보이
며, 그것은 한국내의 NIC/NOC 들이 주어진일들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관리됩니다. 이밖에 KRNIC은 DNS의 통계, Traffic 분석, 네트워크의 지도 등의
정보를 만들어 유지한다.
KRNIC에서 관리하는 문서들 및 관련된 정보는 NIC.NM.KR로부터 anonymous ftp
를 사용하여 참조할 수있으며, KRNIC에 대한 문의는 다음의 연락처를 통해 할 수
있다.

(Email) hostmaster@@krnic.net: IP 주소 할당 및 도메인 관리
help@@krnic.net: 기타 문의 사항
(FAX) +82-2-042-869-3510 (박태하/최우형)
(TEL) +82-2-042-869-3554 (박태하/최우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