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LECTURE FROM CITYNET `INTERNET` (6)

松巖 1996. 6. 3. 06:52
제목:3.8 인터넷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의 종류

『학술 연구와 커머셜 서비스』
『인터넷을 구축하는 네트워크는 성립 기반 경제적 기반 및 거기로부터 오는
제약』 과 같은 것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NSFNET등으로 대표되는 학술연구를 목적으로 한 비영리적인 네트워크
이며,또 하나는 상용 네트워크라 할 수 있다.
전자는 연구를 목적으로 한 대학이나 연구기관등이 구축하고 있는 네트워크이가.
그것에 비해서 상용 네트워크는 영리사업으로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고,사용자도 영리목적으로 한 일반 기업은 보통 이렇게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
크에 접속하는 형태가 되지만,기업의 연구 기관등은 학술연구용의 네트워크에 접
속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다면, '상용 네트워크가 학술연구용 네트워크의 사람
들과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 그러나 보통은 각
네트워크의 사이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식의 범위 내에만 있다면 문제 없이 통
신할 수 있다.
미국에는 오래 전부터 상용 네트워크가 존재하였도,인터넷의 문호가 일반인들에
게 개방되고 이□. 한국에서도 1994년경부터 상용 네트워크 서비스를 하는 기업
도 늘었기 때문에,일반 기업이나 개인 사용자도 인터넷에의 접속이 쉬워졌다. 이
것도 최근 인터넷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요인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겠다.

●상용 네트워크

상용 네트워크는 영리사업으로서 네트워크에로의 접속을 서비스하고 있다. 미국
에서는 영리사업으로서 제공되게 되어있는 서지스를 세금을 부담해서까지 정부
가 제공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과 정부가 기업의 비지니스를 방해해서는 안된다
고 생각하는 주장들이 대두되면서 이러한 취지가 NSFMET의 종료와 연관되게
되었다. NSFNET의 종료에 의해 미국에서는 대학등에서도 상용 네트워크에 가
입하게 되었다. 물론 대학이 영리목적의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요금을
지불하고 서비스를 받는 형태 변화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제목:3.9 인터넷과 관련된 조직

인터넷은 여러 가지 네트워크의 집합제로서 성립되어 있다. 또 여러 가지 컴퓨터
기술과 통신 기술의 조합에 의해서 생성되고 성장되어 왔다. 때문에, 오늘날에 인
터넷이나 앞으로의 인테넷 전면적으로 검토,통괄하는 조직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
서,인터넷에 관련된 주요한 조직을 소개한다.

(1)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는 인터넷에 관련된 기술의연구나 개발, 및 제안을 하는 조직이다. 인터넷에
관한 모든 기술에 대해서 여기에서 논의되고 있다.
IETF는 어떤 부문에 전문적인 집단으로 그 밑에 있는 워킹 그룹을 둔다. 이 각
부문의 장 ,즉 대표자를 두고 그외에 IS라고 하는 조직을 구성하며 다음에 언급
할 IAA와 공동으로 인테넷의 기술적 방향성이나 표준화 등의 결정을 수행한다.

(2)NIC(Network Information Center)

IANA에 의해서 결정된 것을 구체적으로 운용,관리하는 조직이다. 현재에는 NIC
내적으로는 각국에 분산해서 관리하는 방향으로 발전 되고 있다.
이것은 인ㄴ터넷이 급속하게 발전하므로 앞으로도 그 발전이 계속될때에 그 상황
에거 또 여러 가지 변화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일본의 경우에
는 JPNIC(Japan Network Information Center)가 이것에 해당된다.

(3)IAB(Internet Architure Bord)

모든 인테넷 기술의 방향성에 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조직이다. 또한
자문을 하기도 한다.

(4)iana(internet assigned number authoruty)

한 정보자원의 관리나 책임을 지는 조직이라 할수있다.

(5) isoc

인터넷을 국제적으로 대표하고 기술개발이나 운용관리상의 제반분제를 총괄하는
조직이다. internet society는 1992년부터 활동을 개시하고 있고, 지금까지 여려

경위로 하여 창설되는 존재하고 있는 인테넷 관련조직을 이 internet society총
괄하는 형태로 편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lab이나IANA,IRFT,IETF 라고 하는 인
터넷의 표준,연구 등에 관련된 조직도 지금와서는 이 ISOC에 종속되어 있는 형
태로 개박되어있다. ISOC는 인터넷의 상호 접속기술,응용기술의 개발,연구,관리로
부터 인터넷 아키텍처의 성장 ,그외에 교육연구 등의 문화적인 사업까지 포함한
활동을 하고 있다.


제목:3.10 인터넷의 역할

인터넷 붐
1990년 이후, 미국은 '초고속 정보통신'이라고 하는 단어를 이용한 정책을 수립하
게 되었다. 이것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의식한 정책이며, 미국이 금후의 정보사회
에 대응하고 또한 정보 선진국으로서의 지위를 확고하게 하기위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현실적으로 초고속정보통신 다시 말해서 Information Super Highway
가 그러 듯한 것임에는 틀림없으나 미국 전체가 그 정책을 실현 할지의 여부는
별 문제이고 이와 같은 정책이 대대적으로 받아들여진다고 하는 것은 이제 이미
컴퓨터 네트워크, 그리고 인터넷이 이후의 세계를 생각하는 것 이외에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다는 증거의 하나라 하겠다. 현실적으로 이 정책에 호응이나
하듯이 세계 각국에서 인테넷 붐이 일고 있는 것은 이상할 정도이다. 컴퓨터 네
트워크는 지금까지의 전화나 fax라고 한 통신 수단에 있어서도 그 패턴이 바뀔
가증성도 잇다. 무엇보다도 컴퓨터와 통신을 일체로 한 것이기 때문에 그것들이
가진 개별적인 장점을 짜맞춘 것이상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제목:3.11 인터넷의 가능성

(1)정보기관의 연구활동에 효과를 올리게 하는 인터넷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인터넷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이 추
진되고 있다. 예전에는 연중 수회,어떠한 장소에 모여서 각 연구에 관한 정보교환
이나 커뮤니케이션 등을 하고 있었지만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실시간대로 커뮤
니케이션에 의한 연구의 진전은 획기적인 것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컴퓨터의 발
달이 연구 뿐만이 아닌 사회에 끼친 영향의 정도는 헤아릴 수 없다. 이것에 통신
이 조합된 컴퓨터 네트워크는 그 이상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2)확대되는 커뮤니케이션

인터넷의발전은 실제로 '그것들의 기술을 사용해거 무엇을 할까' 라는 대응적인
것까지 연결되어진다. 그것이 월드 와이드로 기대되는 것은 극히 자연스럽다.
그리고 오늘날에는 여러기업이 lan,wan이라고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다음으로
인터넷에 적극적인 투자를 시작하고 있다. 인터넷을 사용함으로써 무엇인가를 이
룩하고 또 무었인가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인터넷외에는 전자 메일이나
파일 전송들 여러 가지 종류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들은 주
로 사람과 사람의 커뮤니케이션,또는 정보교환을 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이 역할을 전화나 FAX그리고 우편 등으로 대처하고 있었으나,컴퓨터 네트워크
에 는 이것들을 전부 총괄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진다.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
전도 진행되고 새로은 커뮤니케이션의 형태가 지금 틀림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가지각색의 기술적 성장이 필요하게 된다. 또 해
결한 필요가 있는 것도 굉장히 많다. 그러나 확실히 새로운 케뮤니케이션 방법을
우리들은 손에 쥐려고 하고 있고 그 도달 또한 상당한 현실성을 띠고 있다. 이제
부터의 인터넷은 지금있는 서비스,기술을 사용할 뿐만이 아니라 이용자 모두가
새로운 가능성을 향해서 실험을 되풀이하면서 발전했던 것과 같은 파이어니어적
사고방식이 절실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