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LECTURE FROM CITYNET `INTERNET` (11)

松巖 1996. 6. 3. 07:35
제목:4.11. USENET

4.11.1 News

뉴스는 인터넷에 설치된 거대한 게시판과도 같은 것이다. 전세계 각지에서 모여
든 게시문들이 한곳으로 모아져 다시 각처로 같은 내용의 게시문들을 볼 수 있는
것이 이 USENET 뉴스이다. 따라서 뉴스는 지구상의 한 구석에서 올린 글을
순식간에 온 지표 상의 인터넷 사용자에게 지표 상의 구석구석까지 전달한다. 현
재 최소 3,500개의 그룹이 존재한다고 하는데 정확한 숫자는 알 수 없다. 때로 뉴
스 그룹을 새로 만드는 규칙을 무시하고 일정한 지역 내에서만 통용되는 뉴스 그
룹 등과 같은 경우는 그 생성과 소멸이 바깥에 전혀 알려지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4.11.2 뉴스의 역사

미국 퍼듀 대학의 Gene Spafford라는 사람이 쓴 뉴스의 역사에 의하면, 뉴스가
처음 탄생된 것은 1979년 듀크대학의 두 대학원생이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아이디어를 낸 것이 그 기원이다. 이는 또 몇몇의 대학원생들의
노력으로 처음에는 유닉스의 쉘 스크립트 프로그램에서 C프로그램으로 또 공개
된 C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고 그 버전도 'A'에서 'B'로 다시 'C'와 'INN'으로
발전되었다. 요즈음 인터넷을 통한 뉴스의 교환에는 NNTP를 사용한 방법이 주
로 쓰인다. 이러한 비교적 완만한 기술적 변화에 뉴스 그룹의 내용의 변화는
훨씬 더 극적인 면이 많다. 최초의 뉴스 그룹은 단 두 개의 컴퓨터(Site라고 한
다.) 에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모든 인터넷 연결 호스트들이 뉴스를 제공하
고 있고 뉴스 그룹의 수는 확인된 것만 무려 3,500개가 있으며 사용자는
3,000,000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니 최초의 아담한 대학원생들의 프로젝트의 결과로
는 믿기 어려울 정도이다.

4.11.3 tin의 사용

tin이란 ?

tin은 과거에 많이 쓰이던 뉴스 프로그램인 readnews나 rn보다 진보된 것으로서,
thread란 꼬리를 이어 게시되는 글들의 흐름의 개념을 적용 이를 따라 읽는 기능
을 갖고 있으며 화면의 기능을 모두 이용하는 메뉴 방식을 채택해서 rn처럼 일일
이 명령을 기억해야 하는 부담을 훨씬 줄인다.
tind은 tass라는 또다른 뉴스 프로그램에 기반을 두고 있고 다시 이 tass라는 프
로그램은 NOTES란 프로그램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외에 nn,trn, xrn 그리고
GNU 프로젝트의 주 에디터로 개발된 EMACS에서 뉴스를 볼 수 있는 매크로들
이 역시 GNU에서 나와 있다. 이중 trn도 tin이외에 많이 추천 받는 프로그램이
다. 만약 tin을 사용할 수 없다면 trn을 사용하도록 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처음으로 tin을 사용하려면 역시 유닉스 프롬프트를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 tin
tin 1.1 PL9 (c) Copyright 1991-93 lain Lea.
Connecting to news.kaist.ac.kr...
Reading news active file...
Subscribe to new group comp.windows.ms.programmer (y/n/q) [n]:_

제일 마지막 줄은 새로운 뉴스 그룹을 구독하겠냐고 묻는 것으로 이것에
를 누르면 이 그룹을 구독한다는 뜻을 나타내는 것이고 키를 누르면 구독하
지 않겠다는 뜻을 나타낸다.


제목: 4.12. Netfind

인터넷은 아주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컴퓨터와 사용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디렉토리 서비스에서는 인터넷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화하여 관리하는데 빠르게 성장하는 인터넷의 모든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은 너무나 지루하고 힘든 작업이다.
기존의 방법들로는 새로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정확히 찾아 내기가 힘들
기 때문에 netfind라는 새로운 디렉토리 서비스가 등장했다. netfind는 인터넷에서
얻을수 있는 거의 모든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용자를 찾는다. netfind는

ustnet 뉴스, UUCP map, WHOIS, SMTP, finger 등의 정보원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세계적으로 약 천만여의 인터넷 사용자에 대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할수
있다고 한다. netfind의 파라미터로는 찾고자 하는 사용자의 이름을 주고 다음에
사용자의 위치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한국에 있는 donsu 라는 계정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얻으려면 다음에서처럼 입력한다. netfind는 한국지역에 있
는 서브 네트웍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세부화하기를 기다린다. 만일
여러분이 찾고자 하는 사용자가 kaist에 있다면 여기서 8번을 선택한다. 8번을 선
택하면 netfind는 kaist.kr 도메인에 있는 호스트들에서 finger정보를 이용하여
donsu라는 이름을 갖는 가용자를 찾고 가장 정확하다고 생각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보여준다.

%nefind donsu korea
0. anc.kr (academic networking council, korea)
1. peop011.arpa (yongrsan air base, korea)
……중간 생략 ……
8. kaist.ac.kr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이하 생략……
Enter selection (e. g., 2 0 1) ‥> 8
‥…
Domain search completed. Preceeding to host search.
……
(1) SMTP Finger_Search: checking host cair.kaist.ac.kr
(2) SMTP_Finger_Search: checking host eve.kaist.ac.kr
(3) STEP_Finger_Search: checking host camool,kaist.ac.kr
(4) STEP_Finger_Search: checking host xserver.kaist.ac.kr
(5) STEP_Finger_Search: checking host sol.kaist.ac.kr
(4) get_host_addr: gethostbyname for xserver,kaist,ac,kr failed - no
such host
(4) STEP_Finger_addr: gethostbyname for xserver.kaist.ac.kr
SYSTEM: cnmool. kaist.ac.kr
Login name:hyunie In real life: donsu
Park
Eirectory: /user/PhD/hyunie shell:/bin/csh
Never logged in.
No unread mail
No Plan.

(%) connect timed out

FINGER SUMMARY:
- The most promising email address for "donsu"
based on the above finger search is
hyunie@camool.kaist.ac.kr.

Continue the search ([n}/y) ? ‥>

netfind는 질의에서 주어진 사용자를 찾으면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보여주고 찾
아진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인지 물어본다. 만일 찾아진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
자가 아니라면 Continue the search?에서 y라고 입력한다. 이 경우 netfind는 지
정된 사용자를 다시 찾는다.


송암 이경 ** 이 강좌의 연재가 일단 중지 중이므로 갈무리를 중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