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UNIX] .elmrc & .mailrc
松巖
1996. 6. 14. 21:49
제 목 : [INTERNET] .elmrc 예제입니다!!!
# .elm/elmrc - options file for the ELM mail system
#
# ELM 2.3 PL11 edited by JAE-YONG LEE. (dove@garam.kreonet.re.kr)
# and MUNG-JUN BAN (mjban@garam.kreonet.re.kr)
# ON는 작용을 하는 것이고, OFF는 작용을 부정하거나 default를
# 사용하는 것이다.
# where to save calendar entries
calendar = 자신의 홈 디렉토리명/calendar
# message을 작성하기 위해 설정한 한글 에디터 사용을 위한 환경을 설정한다.
editor = /usr/local/bin/Edit
# 사용하는 editor에서 command을 사용하기위한 문자이다.
escape = ~
# user의 full name을 정의 한다.
fullname = your full name registed /etc/passwd file
# 받은 mail중 읽어 보긴 하였으나 삭제되지않은 mail의 저장 장소(folder) 정의
receivedmail = =
received
# save mail을 저장할 장소 default로 자신의 home directory 밑의 Mail
# 이라는 디렉토리를 사용한다.
maildir = your-home/Mail
# 메일의 내용을 작성하기 위하여 에디터로 작업을 하게 될때, 그내용을
# 임시로 저장하는 디렉토리를 /tmp/로 정의한다.
tmpdir = /tmp/
# message을 display하기 위해 사용하는 program을 정의 한다.
# 한글 코드의 네드워크상 전달은 ks2iso의 형식으로 변환하였다가,
# 이를 읽는 프로그램에서 다시 iso2ks형태로 변환 하여읽어야 하는 데
# elm에서 메일을 읽을 때의 형식을 정의한것 이다.
pager = /usr/local/bin/iso2ks |/usr/ucb/more
# 나가는 message의 line 앝애 '>'을 붙여 나가게 된다.
prefix = >_
# message을 printer로 출력을 할 수 있도록 정의해 준다
# elm에서 'p(rint)'를 치면 이때 동작해야한 명령을 정의한다.
print = /usr/local/bin/iso2ks %s | hlpr
# hlpr 이라는 프로그램이 없을 때는
# print = /usr/local/bin/iso2ks %s | ktops |lpr 로정의하면 된다.
# message을 save하려고 할 경우에(s 문자사용) Folder를 정의하지 않으면
# default로 보낸 user의 ID 명으로 save하도록 한다.
sentmail = =sent
# elm에서는 ! 문자를 사용하여 elm사용중에 shell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 이 때의 shell을 정의 한다. (UNIX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는 shell은 4가지이다.)
shell = /bin/csh
# elm 상에서 같은 머신의 사용자에게 메일을 보내려고 에디터작업을 할때
# 자신의 로고나 연락처등을 명시한 화일을 정의하면 자동적으로 읽혀진다.
localsignature =
# elm 상에서 네드워트상의 머신 사용자에게 메일을 보내려고 에디터작업을 할때
# 자신의 로고나 연락처등을 명시한 화일을 정의하면 자동적으로 읽혀진다.
remotesignature =
# 뒤의 두가지 사인의 내용을 읽을때 수신하는 사람이 사인(sign)의
# 시작부분을 알수 있도록 dashes(--)를 표시하는 유무를 정의한다.( ON, OFF)
sigdashes = ON
# elm -f 명령을 이용하여 folder들을 읽을때 또는 spool의 자료를 읽을 때
# 메일의 내용을 어떻게 sort 하는지 정의, 다음은 수신한 역순을 의미한다.
sortby = Reverse-Sent
# elm을 끝내고 나올 경우 delete표시가 된 message을 삭제할 것인가를 사용자
# 에게 확인 과정을 거칠 것인지 유무를 ON, OFF 로 한다,
alwaysdelete = OFF
# 삭제되지 않은 message들을 저장하고 빠질 것인지 확인 과정을 ON or OFF 한다.
alwaysstore = OFF
# spool에 있는 message중 read하지않은 message들을 save할 것인지 정의
alwayskeep = ON
# 현재 가르키고 있는 message의 표시를 bar로 할 것인지 '->'로 할 것인지 정의
arrow = OFF
# elm을 끝낼때 delete표시된 message을 삭제할 것인가 (yes/no)로 확인 과정을
# 거치게 한다. 또한 또한 삭제하지 않은 message들의 folder를 change하여 보관
# 할 것인가을 묻은다. (OFF --> message들이 삭제되지 않으며 모든 message을
# folder에 보관하게 된다.
ask = ON
# 각 message에 대한 Carbon-Copies 를 묻는다(OFF)
askcc = ON
# attribution string for replies ('%s' is the author of original message)
attribution = OFF
# reply할 경우에 source를 copy할 것인지 확인 과정을 ON,OFF한다.
autocopy = ON
# threshold for bouncing copies of remote uucp messages...
# zero = disable function.
bounceback = 0
# save a copy of all outbound messages?
copy = ON
# message를 save할 경우 default로 sender의 login name으로 message를
# 저장한다.
forcename = ON
# do we want to be able to mail out AT&T Mail Forms?
forms = OFF
# folder들을 elm을 통헤서 검색할 경우 삭제를 못하게 한다.
keepempty = ON
# are we running on an HP terminal and want HOME, PREV, NEXT, etc...?
keypad = OFF
# menu 3line의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
menu = ON
# 현재의 message의 pointer를 move하는데 page commands (+ - )를
# 사용할지 여부 결정
movepage = OFF
# just show the names when expanding aliases?
# aliases로 표현된 string이 사용되면 aliases value를 보여준다.
names = ON
# buffer에서 message을 copy할 경우에 header을 포함하지않는다.
noheader = ON
# start up by pointing to the first new message received, if possible?
pointnew = ON
# prompt for a command after the external pager exits?
promptafter = ON
# emulate the mailx message increment mode (only increment after something
# has been 'done' to a message, either saved or deleted, as opposed to
# simply each time something is touched)?
resolve = ON
# save messages, incoming and outbound, by login name of sender/recipient?
savename = ON
# are we running on an HP terminal and want softkeys available too?
# (this implies "keypad=ON" too)
softkeys = OFF
# Set the main prompt timeout for resynching...
timeout = 600
# message을 display할 경우에 message의 title을 message의 맨 위에 기록한다.
titles = ON
# 사용자의 수준 ( 0=beginner, 1=intermediate, 2+ = expert! )
userlevel = 0
# tell us about addresses to machines we can't directly get to?
warnings = ON
# enable the weedout list to be read?
weed = OFF
# what headers I DON'T want to see, ever.
weedout = "*end-of-user-headers*"
제 목 : [INTERNET] .mailrc 예제입니다!!!
# @(#)Mailrc 1.3 88/02/08 SMI;
set alwaysignore
set askcc
# Cc는
# Cc 여부를 묻는다
# default 는 noaskcc 이다.
# 이과정을 생략하려면 정의하지 안하던가 또는 set noaskcc 로 한다.
#set -s asksub
# subject를 묻는다.
set autoprint
# autoprint는 d)elete u)ndelete 를 선택한 후에 자동적으로 다음 message를
# 출력한다.
# 이 작업을 치소하려면 set noaotoprint 로 하던가 아니면 default가 noaotoprint
# 이므로 autoprint를 삭제 시킨다.
set cmd="lpr -p &"
# cmd=shell command를 사용한다.
# '|' 를 typing하면 shell command를 수행한다.
# & 의 의미를 알지 못함
set crt=15
# mail 한 화면에 출력되어지는 line수를 정의 한다.
# default는 한개의 mail 전체가 출력된다.
# 여기서는 15 line을 말한다.
# test 결과 어떤 수를 넣어도 한 화면의 line 수민큼 출력된다.
set DEAD=~/dead.letter
# mail를 편집 도중에 중단하면 나중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중단한 mail를
# 지정하는 directory의 file (여기서는 사용자의 home direxctory('~')밑의
# dead.letter에 저장하게 된다.
# default는 사용자 home directory의 dead.latter file이 된다.
set EDITOR=hvi
# mail 을 보던중 그 mail에 대해 reply or comant하기 위하여 편집을 할 경우에
# 사용할 editor이다.
# 편집 command은 'e' e를 typing하면 hvi가 띤다.
set hold
# hold을 정의하지 않으면 한번 본 mail은 다음에 mail을 볼때 나오지 안는다.
# hold을 정의하면 /usr/spool/mail/filename에 기억되어 있는 상테가 되어 다음에
# mail을 볼때 삭제하지 않으면 다음에도 계속 볼 수 있다.
set indentprefix="> "
# 메일의 내용을 출력하고자 할때 현재 set 되어 있는 메일의 번호에 ">" 가 위치
set keepsave
# mail을 file에 저장하고 delete하지 않으면 다음에 mail을 볼때 다시 볼 수 있다.
# set nokeepsave 또는 정의하지 않으면(default) save된 file은 다음에 mail을 볼
# 때 나오지 않을 것이다.
set metoo
# mail을 보낼때 mail이 상대방 뿐만아니라 자신에게도 오도록 한다.
# 자신이 보낸 mail을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set PAGER="cat -s | more -10 -c"
# 1 page에 more 다음의 number 수 만큼 출력하고 break을 건다.
# 확실하지 않음 test실패
set prompt="{Mail}& "
# mail prompt로 " " 안의 string을 사용한다. 여기서는 {Mail}& 를 사용 한다.
set record=~/record
# 보낸 mail은 .record file에 보내는 곳과 subject 그리고 내용이 하나의 record로
# 구성되어 기억되게 된다.
# permission은 600(자신만이 accesss할 수 있다)으로 생성된다.
set SHELL=/bin/csh
# 항상 사용되고 일반적인 shell command가 정의되어 동작하게 한다.
set VISUAL=/usr/ucb/vi
# mail의 내용을 편집기를 통해서 살펴 보고자 할 경우 editor(vi)를 구동시킨다.
ignore apparently-to date errors-to from id in-reply-to \
message-id precedence received references remailed-date \
remailed-from return-path sent-by status via
# .elm/elmrc - options file for the ELM mail system
#
# ELM 2.3 PL11 edited by JAE-YONG LEE. (dove@garam.kreonet.re.kr)
# and MUNG-JUN BAN (mjban@garam.kreonet.re.kr)
# ON는 작용을 하는 것이고, OFF는 작용을 부정하거나 default를
# 사용하는 것이다.
# where to save calendar entries
calendar = 자신의 홈 디렉토리명/calendar
# message을 작성하기 위해 설정한 한글 에디터 사용을 위한 환경을 설정한다.
editor = /usr/local/bin/Edit
# 사용하는 editor에서 command을 사용하기위한 문자이다.
escape = ~
# user의 full name을 정의 한다.
fullname = your full name registed /etc/passwd file
# 받은 mail중 읽어 보긴 하였으나 삭제되지않은 mail의 저장 장소(folder) 정의
receivedmail = =
received
# save mail을 저장할 장소 default로 자신의 home directory 밑의 Mail
# 이라는 디렉토리를 사용한다.
maildir = your-home/Mail
# 메일의 내용을 작성하기 위하여 에디터로 작업을 하게 될때, 그내용을
# 임시로 저장하는 디렉토리를 /tmp/로 정의한다.
tmpdir = /tmp/
# message을 display하기 위해 사용하는 program을 정의 한다.
# 한글 코드의 네드워크상 전달은 ks2iso의 형식으로 변환하였다가,
# 이를 읽는 프로그램에서 다시 iso2ks형태로 변환 하여읽어야 하는 데
# elm에서 메일을 읽을 때의 형식을 정의한것 이다.
pager = /usr/local/bin/iso2ks |/usr/ucb/more
# 나가는 message의 line 앝애 '>'을 붙여 나가게 된다.
prefix = >_
# message을 printer로 출력을 할 수 있도록 정의해 준다
# elm에서 'p(rint)'를 치면 이때 동작해야한 명령을 정의한다.
print = /usr/local/bin/iso2ks %s | hlpr
# hlpr 이라는 프로그램이 없을 때는
# print = /usr/local/bin/iso2ks %s | ktops |lpr 로정의하면 된다.
# message을 save하려고 할 경우에(s 문자사용) Folder를 정의하지 않으면
# default로 보낸 user의 ID 명으로 save하도록 한다.
sentmail = =sent
# elm에서는 ! 문자를 사용하여 elm사용중에 shell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 이 때의 shell을 정의 한다. (UNIX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는 shell은 4가지이다.)
shell = /bin/csh
# elm 상에서 같은 머신의 사용자에게 메일을 보내려고 에디터작업을 할때
# 자신의 로고나 연락처등을 명시한 화일을 정의하면 자동적으로 읽혀진다.
localsignature =
# elm 상에서 네드워트상의 머신 사용자에게 메일을 보내려고 에디터작업을 할때
# 자신의 로고나 연락처등을 명시한 화일을 정의하면 자동적으로 읽혀진다.
remotesignature =
# 뒤의 두가지 사인의 내용을 읽을때 수신하는 사람이 사인(sign)의
# 시작부분을 알수 있도록 dashes(--)를 표시하는 유무를 정의한다.( ON, OFF)
sigdashes = ON
# elm -f 명령을 이용하여 folder들을 읽을때 또는 spool의 자료를 읽을 때
# 메일의 내용을 어떻게 sort 하는지 정의, 다음은 수신한 역순을 의미한다.
sortby = Reverse-Sent
# elm을 끝내고 나올 경우 delete표시가 된 message을 삭제할 것인가를 사용자
# 에게 확인 과정을 거칠 것인지 유무를 ON, OFF 로 한다,
alwaysdelete = OFF
# 삭제되지 않은 message들을 저장하고 빠질 것인지 확인 과정을 ON or OFF 한다.
alwaysstore = OFF
# spool에 있는 message중 read하지않은 message들을 save할 것인지 정의
alwayskeep = ON
# 현재 가르키고 있는 message의 표시를 bar로 할 것인지 '->'로 할 것인지 정의
arrow = OFF
# elm을 끝낼때 delete표시된 message을 삭제할 것인가 (yes/no)로 확인 과정을
# 거치게 한다. 또한 또한 삭제하지 않은 message들의 folder를 change하여 보관
# 할 것인가을 묻은다. (OFF --> message들이 삭제되지 않으며 모든 message을
# folder에 보관하게 된다.
ask = ON
# 각 message에 대한 Carbon-Copies 를 묻는다(OFF)
askcc = ON
# attribution string for replies ('%s' is the author of original message)
attribution = OFF
# reply할 경우에 source를 copy할 것인지 확인 과정을 ON,OFF한다.
autocopy = ON
# threshold for bouncing copies of remote uucp messages...
# zero = disable function.
bounceback = 0
# save a copy of all outbound messages?
copy = ON
# message를 save할 경우 default로 sender의 login name으로 message를
# 저장한다.
forcename = ON
# do we want to be able to mail out AT&T Mail Forms?
forms = OFF
# folder들을 elm을 통헤서 검색할 경우 삭제를 못하게 한다.
keepempty = ON
# are we running on an HP terminal and want HOME, PREV, NEXT, etc...?
keypad = OFF
# menu 3line의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
menu = ON
# 현재의 message의 pointer를 move하는데 page commands (+ -
# 사용할지 여부 결정
movepage = OFF
# just show the names when expanding aliases?
# aliases로 표현된 string이 사용되면 aliases value를 보여준다.
names = ON
# buffer에서 message을 copy할 경우에 header을 포함하지않는다.
noheader = ON
# start up by pointing to the first new message received, if possible?
pointnew = ON
# prompt for a command after the external pager exits?
promptafter = ON
# emulate the mailx message increment mode (only increment after something
# has been 'done' to a message, either saved or deleted, as opposed to
# simply each time something is touched)?
resolve = ON
# save messages, incoming and outbound, by login name of sender/recipient?
savename = ON
# are we running on an HP terminal and want softkeys available too?
# (this implies "keypad=ON" too)
softkeys = OFF
# Set the main prompt timeout for resynching...
timeout = 600
# message을 display할 경우에 message의 title을 message의 맨 위에 기록한다.
titles = ON
# 사용자의 수준 ( 0=beginner, 1=intermediate, 2+ = expert! )
userlevel = 0
# tell us about addresses to machines we can't directly get to?
warnings = ON
# enable the weedout list to be read?
weed = OFF
# what headers I DON'T want to see, ever.
weedout = "*end-of-user-headers*"
제 목 : [INTERNET] .mailrc 예제입니다!!!
# @(#)Mailrc 1.3 88/02/08 SMI;
set alwaysignore
set askcc
# Cc는
# Cc 여부를 묻는다
# default 는 noaskcc 이다.
# 이과정을 생략하려면 정의하지 안하던가 또는 set noaskcc 로 한다.
#set -s asksub
# subject를 묻는다.
set autoprint
# autoprint는 d)elete u)ndelete 를 선택한 후에 자동적으로 다음 message를
# 출력한다.
# 이 작업을 치소하려면 set noaotoprint 로 하던가 아니면 default가 noaotoprint
# 이므로 autoprint를 삭제 시킨다.
set cmd="lpr -p &"
# cmd=shell command를 사용한다.
# '|' 를 typing하면 shell command를 수행한다.
# & 의 의미를 알지 못함
set crt=15
# mail 한 화면에 출력되어지는 line수를 정의 한다.
# default는 한개의 mail 전체가 출력된다.
# 여기서는 15 line을 말한다.
# test 결과 어떤 수를 넣어도 한 화면의 line 수민큼 출력된다.
set DEAD=~/dead.letter
# mail를 편집 도중에 중단하면 나중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중단한 mail를
# 지정하는 directory의 file (여기서는 사용자의 home direxctory('~')밑의
# dead.letter에 저장하게 된다.
# default는 사용자 home directory의 dead.latter file이 된다.
set EDITOR=hvi
# mail 을 보던중 그 mail에 대해 reply or comant하기 위하여 편집을 할 경우에
# 사용할 editor이다.
# 편집 command은 'e' e를 typing하면 hvi가 띤다.
set hold
# hold을 정의하지 않으면 한번 본 mail은 다음에 mail을 볼때 나오지 안는다.
# hold을 정의하면 /usr/spool/mail/filename에 기억되어 있는 상테가 되어 다음에
# mail을 볼때 삭제하지 않으면 다음에도 계속 볼 수 있다.
set indentprefix="> "
# 메일의 내용을 출력하고자 할때 현재 set 되어 있는 메일의 번호에 ">" 가 위치
set keepsave
# mail을 file에 저장하고 delete하지 않으면 다음에 mail을 볼때 다시 볼 수 있다.
# set nokeepsave 또는 정의하지 않으면(default) save된 file은 다음에 mail을 볼
# 때 나오지 않을 것이다.
set metoo
# mail을 보낼때 mail이 상대방 뿐만아니라 자신에게도 오도록 한다.
# 자신이 보낸 mail을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set PAGER="cat -s | more -10 -c"
# 1 page에 more 다음의 number 수 만큼 출력하고 break을 건다.
# 확실하지 않음 test실패
set prompt="{Mail}& "
# mail prompt로 " " 안의 string을 사용한다. 여기서는 {Mail}& 를 사용 한다.
set record=~/record
# 보낸 mail은 .record file에 보내는 곳과 subject 그리고 내용이 하나의 record로
# 구성되어 기억되게 된다.
# permission은 600(자신만이 accesss할 수 있다)으로 생성된다.
set SHELL=/bin/csh
# 항상 사용되고 일반적인 shell command가 정의되어 동작하게 한다.
set VISUAL=/usr/ucb/vi
# mail의 내용을 편집기를 통해서 살펴 보고자 할 경우 editor(vi)를 구동시킨다.
ignore apparently-to date errors-to from id in-reply-to \
message-id precedence received references remailed-date \
remailed-from return-path sent-by status v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