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GUIDE: KORNET] Mail 전자우편
松巖
1996. 7. 16. 00:29
□코넷 가이드에서...
전자우편
전자우편(e-mail)이란 호스트의 사용자가 자신의 호스트나 다른 호스트의
사용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세지를 교환하는 방법으로 다른 사용자에게서
온 메시지를 확인하고 자신의 디렉토리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다른 사용자에게
메세지를 보낼 수도 있다.
1. mail 사용법
1) 전자메일을 읽는 방법
사용자가 login을 할 때 만일 새로 도착한 메일이 있으면 다음과 같은 메세지
가 나타난다.
+------------------------------------------------------------------------+
| You have new mail. |
+------------------------------------------------------------------------+
이때 mail이라고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화면에 도착한 메일의 목록이 나타난
다.
+------------------------------------------------------------------------+
| % mail |
| Mail version SMI 4.0 Mon Sep 28 18:3:13 KST 1992 Type ? for help. |
| "/usr/spool/nail/hsbyun": 2 messages 2 new |
| >N 1 snoopy Sat Sep 26 10:1 14/225 Greeting |
| N 2 sonnim@ring.kotel.co.krSun Sep 27 20:24 10/100 Test |
| & |
+------------------------------------------------------------------------+
메일의 헤더가 아래와 같은 경우 각 필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N 1 snoopy Sat Sep 26 10:1 14/225 Greeting
> : 인덱스 표시자
N : 메세지의 상태 : N - 새로 도착된 메세지
U - 아직 읽지 않은 메세지
* - 저장된 메세지
(blank) - 읽은 후 저장 않된 메세지
1 : 메세지의 번호
snoopy : 메세지를 보낸 사용자의 ID
Sat Sep 26 10:1 : 메세지를 보낸 날짜, 시간
14 : 메세지의 라인수
225 : 메세지의 문자수
Greeting : 메세지의 subject
mail 명령어 모드에서 차례대로 메세지의 내용을 보려면 return 키를 쳐서
하나하나 내용을 확인한다. 만일, 두번째로 도착한 메일의 내용을 보려면
다음과 같이 2를 치며, 다시 도착한 메일들의 헤더를 보려면 h 또는 headers를
입력한다.
+------------------------------------------------------------------------+
| & 2 |
| Message 2: |
| From sonnim@rng.kotel.co.kr Sun Sep 27 20:24 1992 |
| Return-Path: |
| Received: From ring.kotel.co.kr by soback.hana.nm.kr (4.0/SMI-4.0) |
|id AA13500; Sun, 27 Sep 92 20:24 KST |
| Date : Sun, 27 Sep 92 20:24 KST |
| From: sonnim@ring.kotel.co.kr |
| Message-ID: <9209270824.AA13500@ring.kotel.co.kr> |
| To: hsbyun@soback.hana.nm.kr |
| Subject: Greeting |
| Status: R |
| |
| Hi, hsbyun |
| It has been long time no see. |
| bye |
| |
| from sonnim@ring.kotel.co.kr |
| |
| & h |
>N 1 snoopySat Sep 26 10:1 14/225 Greeting
2 sonnim@ring.kotel.co.krSun Sep 27 20:24 10/100 Test
&
+------------------------------------------------------------------------+
또한 도착한 메일을 자신의 디렉토리에 저장할 수도 있는데 다음은 첫번째
메세지를 save라는 화일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
& s 1 save
"save" [New file] 14/225
&
+------------------------------------------------------------------------+
아래의 예는 첫번째와 두번째 메일을 삭제하는 방법이다.
+------------------------------------------------------------------------+
& d 1-2
&
+------------------------------------------------------------------------+
삭제한 메일을 다시 복구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한다.
| & u * |
| & |
+------------------------------------------------------------------------+
다음은 두번째 메일을 보낸 사용자에게 답장을 보내는 방법이다.
+------------------------------------------------------------------------+
r 2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Subject" 라인이 나타나며 3.2)에서 설명하는
메일을 보내는 방법으로 메세지를 작성하여 답신한다.
+------------------------------------------------------------------------+
r 2
| To: sonnim@ring.kotel.co.kr |
| Subject: Re: Greeting|
+------------------------------------------------------------------------+
도착한 메일을 모두 확인한 후 quit으로 종료하는 경우 delete (또는 d)
명령으로 삭제한 메세지들은 완전히 삭제되며, 읽기는 했으나 따로 저장하거나
삭제하기 않은 메세지들은 사용자의 home directory에 mbox라는 화일에 저장
된다. 만일, quit 대신에 exit(또는 x)로 mail을 종료시키는 경우는 도착한
메세지 전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종료되 다음에 다시 mail 명령을 사용하여
메세지를 볼 수 있다.
2) 전자메일을 보내는 방법
전자메일을 보내려면 mail 명령과 함께 메일을 받을 사람의 전자메일 주소도
함께 입력해야 한다. 전자메일 주소는 사용자 번호(User ID)와 사용하는
호스트의 이름으로 구성되는데 같은 호스트의 사용자에게 메일을 보낼 경우에
사용자의 ID만 쓰면 되고 만일 다른 호스트의 사용자에게 보낼 경우에는 그
호스트의 이름까지도 입력해야 한다. 즉, 전자메일 주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User-ID@host-name.domain-name
예) sonnim@soback.hana.nm.kr
다음은 전자메일을 보내는 여러가지 방법이다.
+------------------------------------------------------------------------+
| % mail hsbyun |
| % mail sonnim@ring.kotel.co.kr |
| % mail hsbyun@soback.hana.nm.kr |
+------------------------------------------------------------------------+
또한 다음과 같이 한번에 여러 사람에게 메일을 보낼 수도 있다.
+------------------------------------------------------------------------+
| % mail hsbyun sonnim@ring.kotel.co.kr snoopy@soback.hana.nm.kr |
| Subject: |
+------------------------------------------------------------------------+
mail 모드로 들어가면 "Subject"를 물어보는데 이때 보내는 메일의 subject를
적고 return 키를 치면 메세지를 작성할 수 있다. 작성을 마친후 새로운 라인의
첫번째 열에 Ctrl-d 또는 "."을 치면 전자메일이 발송된다. 메세지를 작성하는
도중 vi 모드에서 편집을 하고 싶으면 "~v"를 입력하면 된다. vi 모드에서
메세지를 작성한 후 빠져나오면 다시 mail 모드의 메세지 작성 모드로 되돌아
간다.
+------------------------------------------------------------------------+
noopy
Subject: Hi
| How are you? |
| Bye |
| . (또는 Ctrl-d)|
| EOT|
| sorak> |
+------------------------------------------------------------------------+
이미 만들어 놓은 화일의 내용을 메일로 보내고 싶을 때에는 아래와 같이
"<" 기호를 사용하면 된다.
+------------------------------------------------------------------------+
| % mail snoopy@ring.kotel.co.kr < file-name |
+------------------------------------------------------------------------+
2. elm 사용법
UNIX 시스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mail 명령외에도 전자우편을 위한 다양한
툴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국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의
하나가 바로 elm 입니다. elm은 HP사의 Dave Taylor가 만든 것으로 기존의 mail
명령 line-oriented elm은 HP사의 Dave Taylor가 만든 것으로
기존의 mail 명령이 line-oriented 인데 비해 elm은 screen-oriented 이고 메뉴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초보자들도 사용하기 쉽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elm
에 대해서는 국내 기술자들이 한글환경을 가장 잘 갖추어 놓아 대부분 국내 사
용자들은 이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elm은 시스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툴이 아니므로 사용을 위해서는 별도로 설
치해야 합니다.
elm 명령을 입력하면 다음 그림과 같이 그 사용자에게 도착한 전자우편의 리스트
와 elm 의 메뉴가 나타납니다.
┌─────────────────────────────────────
│ Mailbox is '/usr/spool/mail/brendan' with 2 messages [ELM 2.3 PL11]
│ N 1 May 5 Joe Casner(29) print job's stuck
│ O 2 May 4 David B. Lewis (41) X FAQ
│
│You can use any of the following commands by pressing the first character;
│d)elete or u)ndelete mail, m)ail a message, r)eply or f)orward mail, q)uit
│To read a message, press. j = move down, k = move up, ? = help
│Command:
└─────────────────────────────────────
메시지를 보내려면 메뉴에 나타나 있듯이 m(mail)을 위의 화면에서 사용할
있는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d)elete : elm 화면상에 역상으로된 선택막대가 위치하는 번호의 메일을 지
울때 사용합니다. "d"를 치면 화면의 맨 왼쪽에 "D" 라고 표시 됩
니다.
u)ndelete : d)elete 명령으로 지운것을 취소할 때 사용합니다.
"u"를 치면 화면의 맨 왼쪽에 표시된 "D"가 없어 집니다.
m)ail : 메일을 보낼때 사용합니다. "m"을 입력하면 "Send themessage to
:"라고 수신인의 주소를 묻습니다. 수신인 주소를 입력하고 나면
"Subject of message:"라고 묻는데 이때 메시지의 제목을 입력하고
나면 elm은 자동적으로 사용자가 정의한 에디터를 호출하여 메시지를
r)eply: 받은 메일에 개해 답장을 보낼때 사용합니다.
f)orward : 받은 메일을 다른 사람에게 보낼때 사용합니다.
에디터상에서 메시지의 작성을 마치고 나오면 작성한 메시지를 보낼 것인가를 묻
이 때 s(send, 전송), f(forget, 취소), e(edit, 재수정), h(header, 헤더수정)
하나를 선택 하면 됩니다.
자신에게 온 전자우편을 보는 방법은 elm 화면 상에 나타난 메시지 리스트에서 역
상으로 된 선택막대를 j(아래로) 또는 k(위로) 키를 이용해서 원하는 메시지의 위
치 두고 리턴을 치면 됩니다.
수신한 전자우편에 대해 답장을 보내려면 r(reply)을 입력하면 "Copy me
age? (y/n)" 라고 받은 메시지를 복사할 것인가를 묻습니다. 이때 y를 입력하면
에디터가 호출되 면서 수신메시지를 불러들이게 됩니다. 읽혀진 수신메시지는 아
래와 행의 제일
According to Joe Casner:
> I typed 'print babe.gif' and it ditn't work Why??
> .......
You shouldn't print binary files like GIFs to a printer!
Brendan
elm에서는 o(option) 명령을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에디터의 종류,
레벧 등 여러가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더 상세한 설정은 홈디렉토리밑의 .elm/
elmrc 화일에 서 정의할 수 있습니다.
3. uuencode/decode 사용법
메일을 통하여 binary 화일을 전송하고 싶은 경우에 uuencode를 사용하여 화일을
ASCII code로 encoding한후 그 내용을 메일로 전송하면 메일을 받은 사람이 그
메일 내용을 uudecode하여 그 binary 화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uuencode 하기.
메일로 전송하고 싶은 화일을 아래와 같은 명령을 이용하여 encoding 한다.
% uuencode source-file file-label > encoded-file
위와 같이 하면 encoded-file이 생성되면서 source-file의 내용이 encode 되어
이 화일에 보관됩니다.
file-label은 encoded-file의 맨 윗줄에 나타나는데uudecode하면 생성되는 화일
이름입니다. source-file과 file-label은 같은 이름을 사용해도 되나 source-file
과 encoded-file은 같은 이름을 사용하면 않됩니다.
예를들어 아래와 같이 uuencode를 한 경우,
% uuencode a.com b.com > c.com
uuencode가 끝나면 c.com화일이 생성되고 다시 이 c.com 화일을 uudecode
하면 b.com이 생성됩니다. 결국 a.com과 b.com은 같은 내용이 됩니다.
uuencode 한 내용을 메일로 보네고 싶으면 위와 같이 한후 encoded-file을
아래와 같이 메일메세지 안에 포함시켜 보내도 되고,
% mail 상대방메일주소 < encoded-file
Pipe(|)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해도 됩니다.
% uuencode source-file file-label | mail 상대방메일주소
위와 같이 하면 encode된 내용이 상대방에게 메일로 전달 됩니다.
2) uudecode 하기
uuencode 된 화일을 uudecode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uudecode encoded-file
위와 같이 하면 encoded-file안에 적혀있는 file-label과 같은 이름의
₩ 화일이 생성되면서encoded-file의 내용이 decode 되어 보관됩니다.
참고로 encoded-file의 내용은 아래와 같은 형태입니다.
-------------------------------------------------------------------
| begin 755 ls.uu|
| M@0,!" ,2 GH )^ " "\$" T .@0)(#H$25 |
| M*B "E *@!)0"0 H7 8U"+B. , C" &'H@) 0* 0! 0 "@$ |
| M ! ! , 0 $ (N<(Z @0 0"P$ ! ! , 0 )WCOV@O (KA7B |
-------------------------------------------------------------------
위에서 file-label은 ls.uu가 되며, 따라서 위의 화일을 uudecode하면
ls.uu라는 화일이 생성됩니다.
메일로 받은 uuencode 된 내용을 decode하기 위해서는 메일내용을 특정 화일로
보관한 후 메일 헤더 부분은 삭제하고(begin이 나타나기 전의 내용은 삭제)
위와같이uudecode를 실행하면 됩니다.
━━━━━━━━━━━━━━━━━━━━━━━━━Internet User Group━━━━
빠르고 안전하고 건전하고 편하고 즐겁고 쉬운 leesun2@soback.kornet.nm.kr
인터넷 항해를 인터넷 유저 그룹과 함께 하세요! LEESUN2@hitel.kol.co.kr
━━━━━━━━━━━━━━━━━━━━━━━━━go IUG━━━━━━━━
전자우편
전자우편(e-mail)이란 호스트의 사용자가 자신의 호스트나 다른 호스트의
사용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세지를 교환하는 방법으로 다른 사용자에게서
온 메시지를 확인하고 자신의 디렉토리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다른 사용자에게
메세지를 보낼 수도 있다.
1. mail 사용법
1) 전자메일을 읽는 방법
사용자가 login을 할 때 만일 새로 도착한 메일이 있으면 다음과 같은 메세지
가 나타난다.
+------------------------------------------------------------------------+
| You have new mail. |
+------------------------------------------------------------------------+
이때 mail이라고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화면에 도착한 메일의 목록이 나타난
다.
+------------------------------------------------------------------------+
| % mail |
| Mail version SMI 4.0 Mon Sep 28 18:3:13 KST 1992 Type ? for help. |
| "/usr/spool/nail/hsbyun": 2 messages 2 new |
| >N 1 snoopy Sat Sep 26 10:1 14/225 Greeting |
| N 2 sonnim@ring.kotel.co.krSun Sep 27 20:24 10/100 Test |
| & |
+------------------------------------------------------------------------+
메일의 헤더가 아래와 같은 경우 각 필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N 1 snoopy Sat Sep 26 10:1 14/225 Greeting
> : 인덱스 표시자
N : 메세지의 상태 : N - 새로 도착된 메세지
U - 아직 읽지 않은 메세지
* - 저장된 메세지
(blank) - 읽은 후 저장 않된 메세지
1 : 메세지의 번호
snoopy : 메세지를 보낸 사용자의 ID
Sat Sep 26 10:1 : 메세지를 보낸 날짜, 시간
14 : 메세지의 라인수
225 : 메세지의 문자수
Greeting : 메세지의 subject
mail 명령어 모드에서 차례대로 메세지의 내용을 보려면 return 키를 쳐서
하나하나 내용을 확인한다. 만일, 두번째로 도착한 메일의 내용을 보려면
다음과 같이 2를 치며, 다시 도착한 메일들의 헤더를 보려면 h 또는 headers를
입력한다.
+------------------------------------------------------------------------+
| & 2 |
| Message 2: |
| From sonnim@rng.kotel.co.kr Sun Sep 27 20:24 1992 |
| Return-Path:
| Received: From ring.kotel.co.kr by soback.hana.nm.kr (4.0/SMI-4.0) |
|id AA13500; Sun, 27 Sep 92 20:24 KST |
| Date : Sun, 27 Sep 92 20:24 KST |
| From: sonnim@ring.kotel.co.kr |
| Message-ID: <9209270824.AA13500@ring.kotel.co.kr> |
| To: hsbyun@soback.hana.nm.kr |
| Subject: Greeting |
| Status: R |
| |
| Hi, hsbyun |
| It has been long time no see. |
| bye |
| |
| from sonnim@ring.kotel.co.kr |
| |
| & h |
>N 1 snoopySat Sep 26 10:1 14/225 Greeting
2 sonnim@ring.kotel.co.krSun Sep 27 20:24 10/100 Test
&
+------------------------------------------------------------------------+
또한 도착한 메일을 자신의 디렉토리에 저장할 수도 있는데 다음은 첫번째
메세지를 save라는 화일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
& s 1 save
"save" [New file] 14/225
&
+------------------------------------------------------------------------+
아래의 예는 첫번째와 두번째 메일을 삭제하는 방법이다.
+------------------------------------------------------------------------+
& d 1-2
&
+------------------------------------------------------------------------+
삭제한 메일을 다시 복구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한다.
| & u * |
| & |
+------------------------------------------------------------------------+
다음은 두번째 메일을 보낸 사용자에게 답장을 보내는 방법이다.
+------------------------------------------------------------------------+
r 2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Subject" 라인이 나타나며 3.2)에서 설명하는
메일을 보내는 방법으로 메세지를 작성하여 답신한다.
+------------------------------------------------------------------------+
r 2
| To: sonnim@ring.kotel.co.kr |
| Subject: Re: Greeting|
+------------------------------------------------------------------------+
도착한 메일을 모두 확인한 후 quit으로 종료하는 경우 delete (또는 d)
명령으로 삭제한 메세지들은 완전히 삭제되며, 읽기는 했으나 따로 저장하거나
삭제하기 않은 메세지들은 사용자의 home directory에 mbox라는 화일에 저장
된다. 만일, quit 대신에 exit(또는 x)로 mail을 종료시키는 경우는 도착한
메세지 전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종료되 다음에 다시 mail 명령을 사용하여
메세지를 볼 수 있다.
2) 전자메일을 보내는 방법
전자메일을 보내려면 mail 명령과 함께 메일을 받을 사람의 전자메일 주소도
함께 입력해야 한다. 전자메일 주소는 사용자 번호(User ID)와 사용하는
호스트의 이름으로 구성되는데 같은 호스트의 사용자에게 메일을 보낼 경우에
사용자의 ID만 쓰면 되고 만일 다른 호스트의 사용자에게 보낼 경우에는 그
호스트의 이름까지도 입력해야 한다. 즉, 전자메일 주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User-ID@host-name.domain-name
예) sonnim@soback.hana.nm.kr
다음은 전자메일을 보내는 여러가지 방법이다.
+------------------------------------------------------------------------+
| % mail hsbyun |
| % mail sonnim@ring.kotel.co.kr |
| % mail hsbyun@soback.hana.nm.kr |
+------------------------------------------------------------------------+
또한 다음과 같이 한번에 여러 사람에게 메일을 보낼 수도 있다.
+------------------------------------------------------------------------+
| % mail hsbyun sonnim@ring.kotel.co.kr snoopy@soback.hana.nm.kr |
| Subject: |
+------------------------------------------------------------------------+
mail 모드로 들어가면 "Subject"를 물어보는데 이때 보내는 메일의 subject를
적고 return 키를 치면 메세지를 작성할 수 있다. 작성을 마친후 새로운 라인의
첫번째 열에 Ctrl-d 또는 "."을 치면 전자메일이 발송된다. 메세지를 작성하는
도중 vi 모드에서 편집을 하고 싶으면 "~v"를 입력하면 된다. vi 모드에서
메세지를 작성한 후 빠져나오면 다시 mail 모드의 메세지 작성 모드로 되돌아
간다.
+------------------------------------------------------------------------+
noopy
Subject: Hi
| How are you? |
| Bye |
| . (또는 Ctrl-d)|
| EOT|
| sorak> |
+------------------------------------------------------------------------+
이미 만들어 놓은 화일의 내용을 메일로 보내고 싶을 때에는 아래와 같이
"<" 기호를 사용하면 된다.
+------------------------------------------------------------------------+
| % mail snoopy@ring.kotel.co.kr < file-name |
+------------------------------------------------------------------------+
2. elm 사용법
UNIX 시스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mail 명령외에도 전자우편을 위한 다양한
툴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국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의
하나가 바로 elm 입니다. elm은 HP사의 Dave Taylor가 만든 것으로 기존의 mail
명령 line-oriented elm은 HP사의 Dave Taylor가 만든 것으로
기존의 mail 명령이 line-oriented 인데 비해 elm은 screen-oriented 이고 메뉴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초보자들도 사용하기 쉽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elm
에 대해서는 국내 기술자들이 한글환경을 가장 잘 갖추어 놓아 대부분 국내 사
용자들은 이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elm은 시스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툴이 아니므로 사용을 위해서는 별도로 설
치해야 합니다.
elm 명령을 입력하면 다음 그림과 같이 그 사용자에게 도착한 전자우편의 리스트
와 elm 의 메뉴가 나타납니다.
┌─────────────────────────────────────
│ Mailbox is '/usr/spool/mail/brendan' with 2 messages [ELM 2.3 PL11]
│ N 1 May 5 Joe Casner(29) print job's stuck
│ O 2 May 4 David B. Lewis (41) X FAQ
│
│You can use any of the following commands by pressing the first character;
│d)elete or u)ndelete mail, m)ail a message, r)eply or f)orward mail, q)uit
│To read a message, press
│Command:
└─────────────────────────────────────
메시지를 보내려면 메뉴에 나타나 있듯이 m(mail)을 위의 화면에서 사용할
있는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d)elete : elm 화면상에 역상으로된 선택막대가 위치하는 번호의 메일을 지
울때 사용합니다. "d"를 치면 화면의 맨 왼쪽에 "D" 라고 표시 됩
니다.
u)ndelete : d)elete 명령으로 지운것을 취소할 때 사용합니다.
"u"를 치면 화면의 맨 왼쪽에 표시된 "D"가 없어 집니다.
m)ail : 메일을 보낼때 사용합니다. "m"을 입력하면 "Send themessage to
:"라고 수신인의 주소를 묻습니다. 수신인 주소를 입력하고 나면
"Subject of message:"라고 묻는데 이때 메시지의 제목을 입력하고
나면 elm은 자동적으로 사용자가 정의한 에디터를 호출하여 메시지를
r)eply: 받은 메일에 개해 답장을 보낼때 사용합니다.
f)orward : 받은 메일을 다른 사람에게 보낼때 사용합니다.
에디터상에서 메시지의 작성을 마치고 나오면 작성한 메시지를 보낼 것인가를 묻
이 때 s(send, 전송), f(forget, 취소), e(edit, 재수정), h(header, 헤더수정)
하나를 선택 하면 됩니다.
자신에게 온 전자우편을 보는 방법은 elm 화면 상에 나타난 메시지 리스트에서 역
상으로 된 선택막대를 j(아래로) 또는 k(위로) 키를 이용해서 원하는 메시지의 위
치 두고 리턴을 치면 됩니다.
수신한 전자우편에 대해 답장을 보내려면 r(reply)을 입력하면 "Copy me
age? (y/n)" 라고 받은 메시지를 복사할 것인가를 묻습니다. 이때 y를 입력하면
에디터가 호출되 면서 수신메시지를 불러들이게 됩니다. 읽혀진 수신메시지는 아
래와 행의 제일
According to Joe Casner:
> I typed 'print babe.gif' and it ditn't work Why??
> .......
You shouldn't print binary files like GIFs to a printer!
Brendan
elm에서는 o(option) 명령을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에디터의 종류,
레벧 등 여러가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더 상세한 설정은 홈디렉토리밑의 .elm/
elmrc 화일에 서 정의할 수 있습니다.
3. uuencode/decode 사용법
메일을 통하여 binary 화일을 전송하고 싶은 경우에 uuencode를 사용하여 화일을
ASCII code로 encoding한후 그 내용을 메일로 전송하면 메일을 받은 사람이 그
메일 내용을 uudecode하여 그 binary 화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uuencode 하기.
메일로 전송하고 싶은 화일을 아래와 같은 명령을 이용하여 encoding 한다.
% uuencode source-file file-label > encoded-file
위와 같이 하면 encoded-file이 생성되면서 source-file의 내용이 encode 되어
이 화일에 보관됩니다.
file-label은 encoded-file의 맨 윗줄에 나타나는데uudecode하면 생성되는 화일
이름입니다. source-file과 file-label은 같은 이름을 사용해도 되나 source-file
과 encoded-file은 같은 이름을 사용하면 않됩니다.
예를들어 아래와 같이 uuencode를 한 경우,
% uuencode a.com b.com > c.com
uuencode가 끝나면 c.com화일이 생성되고 다시 이 c.com 화일을 uudecode
하면 b.com이 생성됩니다. 결국 a.com과 b.com은 같은 내용이 됩니다.
uuencode 한 내용을 메일로 보네고 싶으면 위와 같이 한후 encoded-file을
아래와 같이 메일메세지 안에 포함시켜 보내도 되고,
% mail 상대방메일주소 < encoded-file
Pipe(|)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해도 됩니다.
% uuencode source-file file-label | mail 상대방메일주소
위와 같이 하면 encode된 내용이 상대방에게 메일로 전달 됩니다.
2) uudecode 하기
uuencode 된 화일을 uudecode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uudecode encoded-file
위와 같이 하면 encoded-file안에 적혀있는 file-label과 같은 이름의
₩ 화일이 생성되면서encoded-file의 내용이 decode 되어 보관됩니다.
참고로 encoded-file의 내용은 아래와 같은 형태입니다.
-------------------------------------------------------------------
| begin 755 ls.uu|
| M@0,!" ,2 GH )^ " "\$" T .@0)(#H$25 |
| M*B "E *@!)0"0 H7 8U"+B. , C" &'H@) 0* 0! 0 "@$ |
| M ! ! , 0 $ (N<(Z @0 0"P$ ! ! , 0 )WCOV@O (KA7B |
-------------------------------------------------------------------
위에서 file-label은 ls.uu가 되며, 따라서 위의 화일을 uudecode하면
ls.uu라는 화일이 생성됩니다.
메일로 받은 uuencode 된 내용을 decode하기 위해서는 메일내용을 특정 화일로
보관한 후 메일 헤더 부분은 삭제하고(begin이 나타나기 전의 내용은 삭제)
위와같이uudecode를 실행하면 됩니다.
━━━━━━━━━━━━━━━━━━━━━━━━━Internet User Group━━━━
빠르고 안전하고 건전하고 편하고 즐겁고 쉬운 leesun2@soback.kornet.nm.kr
인터넷 항해를 인터넷 유저 그룹과 함께 하세요! LEESUN2@hitel.kol.co.kr
━━━━━━━━━━━━━━━━━━━━━━━━━go IU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