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한컴온라인매거진의 인터넷 FAQ (2)
松巖
1997. 5. 7. 00:41
http://magazine.hnc.net/mag/internet/faq/faq2.html
[태극전자출판]
[Image]
인터넷 FAQ(2)
이미 알고있는 사람에게는 누워서 떡먹기. 그러나 초보자에게는
꼬불꼬불 굽은 험한 산자락 같은 존재. 이것이 바로 인터넷이다.
지금부터는 인터넷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주는 인터넷
FAQ를 통해 과감하게 인터넷에
선제공격을 퍼부어 보자.
글. 장평권
글쓴이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 재학중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웹서버를 관리하고 있다.
-----------------------------------------------------------------
FTP에 관하여
Anonymous FTP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파일을 받아 오려고 할 때는 원하는 파일이 있는 호스트로 접속해야
합니다. 하지만 호스트의 계정이 없다면 접속할 수 없으므로 모든
사람이 anonymous라는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호스트에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이 호스트에 접속하려면
유닉스 쉘 상태에서도 가능하고 WS_FTP나 CUTE FTP 등 윈도우즈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두가지 방법을 모두 설명
드리겠습니다.
유닉스 쉘 상태
일단>_ (FTP 프롬프트 상태)에서 연결하고 싶은 호스트에
접속합니다. 예를 들어 서강대학교의 FTP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
ftp> open ftp.sogang.ac.kr<---호스트 이름
혹은 #ftp ftp.sogang.ac.kr
-----------------------------------------------------------------
라고 입력하면 서강대 FTP 서버에 접속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화면이 나오면
-----------------------------------------------------------------
Name(.....):________ anonymous를 입력하고
Password:_________ 자신의 e-mail주소(예 :
hessed@maincc.hufs.ac.kr)를 입력합니다.
-----------------------------------------------------------------
접속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받고 싶은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명령은 도스와 같이 cd입니다.
-----------------------------------------------------------------
> cd pub
> cd games
-----------------------------------------------------------------
파일 목록을 확인합니다. 보통 dir이나 ls 중 하나를 쓰면 됩니다.
가져오려는 파일의 이름을 파악했으면 이제 전송형태를 설정합니다.
텍스트 파일이면 'ascii'라고 입력하고 이진파일(데이터파일,
실행파일, 압축파일 등)이면 'binary'라고 입력합니다. 받을 파일을
정한 뒤에 다음과 같이 명령을 줍니다.
-----------------------------------------------------------------
>get filename <---- 파일이 하나일 때
>mget filename(s)<---- 파일이 여러 개일 때
예)>get netscape.exe 또는
>mget *.gif
-----------------------------------------------------------------
파일전송을 확인하는 메시지가 나오면 y를 입력합니다.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받은 후 FTP 상태에서 빠져나오려면 'quit'라고 명령을
내려주면 됩니다.
윈도우즈용 FTP 프로그램에서의 사용방법
일단 통신을 통해서 WS_FTP나 Cute FTP, 기타 FTP 프로그램(이들을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라고 부릅니다)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여기에서는 FTP 프로그램 중 유명세를 떨치고 있는
WS_FTP를 예로 알아보겠습니다. WS_FTP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Image] [Image]
Session Profile이라는 상자의 Host Name란에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의 도메인네임이나 IP Address를 적습니다. 그리고 오른쪽에
위치한 Anonymous Login을 선택해주면 자동적으로 User ID와
Password 부분이 생성됩니다. Password 항목에는 자신의 인터넷
전자우편 주소를 써줍니다. 모든 설정을 끝마친 후 OK 버튼을 누르면
곧바로 접속됩니다.
만일 Anonymous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Anonymous Login에 클릭하지
말고 User ID와 Password에 자신의 ID와 비밀번호를 정확히 입력한
다음 OK를 누르면 됩니다. 접속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상태가
됩니다.
Remote System이라고 이름 붙여진 오른쪽 창은 방금 접속한 호스트
컴퓨터(FTP 서버)의 상태를 나타내며, Local System이라고 이름
붙여진 왼쪽 창은 자신의 컴퓨터를 가리킵니다. 먼저 Local System
창에서 파일을 저장해둔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FTP 서버의
상태를 가맞 오른쪽 창에서 자신이 찾고자 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한 다음 원하는 파일을 선택합니다. 이제 화면의 정중앙에
위치한 화살표(<-나 ->)를 누르면 화살표 방향대로 파일이
이동됩니다.
유즈넷(Usenet)에 관하여
유즈넷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Unix shell 상태에서
유즈넷은 Client-Server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만 설치하면 자유롭게 뉴스를
구독하거나 자신이 직접 뉴스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뉴스를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를 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라고
부릅니다)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X-Window 환경에서 수행되는
xrn과 ASCII용으로 rn과 tin이 있습니다. rn은 뉴스를 읽기 위하여
개발된 최초의 프로그램이지만 사용하기가 어렵고 불편하기 때문에
비교적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tin을 추천합니다.
tin의 경우
Makefile파일에서 다음 사항을 찾아 수정합니다.
-----------------------------------------------------------------
NNTP_INEWS_DOMAIN="호스트.도메인"
NNTP_DEFAULT_SERVER="이용할 뉴스서버의 이름(예 :
news.interpia.net)"
COPTS="-c -O -DNNTP_ONLY"
-----------------------------------------------------------------
그리고 make라는 명령을 수행하여 systype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
외는 인스톨 설명문을 참조하시고 기본값으로 정해진 뉴스서버를
바꾸려면 NNTPSERVER를 설정해야 하는데 그 방법은 이미
설명했으므로 생략하겠습니다.
넷스케이프에서 이용할 경우
넷스케이프에서는 Options 메뉴에서 Mail and News Preferances의
환경을 정확히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먼저 뉴스서버를냇ㅗ瞞�BR> 하는데 Mail News Preferances에서 Server 항목을 클릭하면
News(NNTP)란이 있습니다. 그곳에 원하는 뉴스서버의 이름을
적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피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News(NNTP)란에 news.interpia.net이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또한
천리안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면 news.dacom.co.kr을,
아이네트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면 news.nuri.net을
입력해줍니다.
[Image] [Image]
환경 설정이 제대로 되었다면 Windows 메뉴에서 Netscape News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3개로 분할된 창이 나타날 것입니다.
열려진 창의 왼쪽 윗부분을 보면 자신이 지정해준 뉴스서버가 보일
것입니다. 뉴스서버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오른쪽 창에 여러개의 뉴스
기사가 나타납니다. 원하는 뉴스 기사를 선택하면 아래 창에 해당
뉴스의 내용이 나타나게 됩니다.
글을 올린 사람에게 메일을 보내거나 뉴스 그룹에 글을 올리려면
화면의 상단에 보이는 툴바를 사용하면 됩니다.
그 밖의 것들(Web Browser)...
넷스케이프를 실행시키면 'DNS ENTRY ERROR...는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서 접속이 안되는데 해결책은 무엇입니까?
넷스케이프에서 올바른 프락시(PROXY) 설정을 해주지 않아서
일어나는 문제점입니다.
넷스케이프 1.× 버전의 경우
1. 넷스케이프 메뉴에서 Options를 선택합니다.
2. Preferences...를 선택합니다.
3. Proxies를 선택합니다.
4. FTP Proxy, Gopher Proxy, HTTP Proxy에 현재 이용하고 있는
인터넷 서비스망의 프락시 서버(유니텔의 경우 88.4.1.50)를
설정하고, 각각의 Port는 '8080'으로 설정합니다.
5. 아래의 'OK' 혹�'확인' 버튼을 누르면 Proxy 설정이 끝납니다.
넷스케이프 2.× 버전의 경우
1. 넷스케이프 메뉴에서 Options를 선택합니다.
2. Network Preferences...를 선택합니다.
3. Proxies를 선택하고 Manual Proxy Configuration을 선택합니다.
4. 오른쪽의 View를 선택하고 FTP Proxy, Gopher Proxy, HTTP
Proxy에 현재 이용하고 있는 인터넷 서비스 회사의 프락시
서버(유니텔의 경우 88.4.1.50)를 설정하고 Port는 '8080'으로
설정합니다.
5. 아래의 'OK' 혹은 '확인' 버튼을 누르면 Proxy 설정이 끝납니다.
[Image] [Image]
-----------------------------------------------------------------
[Image] [Image] [Image]
이전 페이지 홈페이지인터넷 홈페이지
[태극전자출판]
[Image]
인터넷 FAQ(2)
이미 알고있는 사람에게는 누워서 떡먹기. 그러나 초보자에게는
꼬불꼬불 굽은 험한 산자락 같은 존재. 이것이 바로 인터넷이다.
지금부터는 인터넷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주는 인터넷
FAQ를 통해 과감하게 인터넷에
선제공격을 퍼부어 보자.
글. 장평권
글쓴이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 재학중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웹서버를 관리하고 있다.
-----------------------------------------------------------------
FTP에 관하여
Anonymous FTP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파일을 받아 오려고 할 때는 원하는 파일이 있는 호스트로 접속해야
합니다. 하지만 호스트의 계정이 없다면 접속할 수 없으므로 모든
사람이 anonymous라는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호스트에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이 호스트에 접속하려면
유닉스 쉘 상태에서도 가능하고 WS_FTP나 CUTE FTP 등 윈도우즈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두가지 방법을 모두 설명
드리겠습니다.
유닉스 쉘 상태
일단>_ (FTP 프롬프트 상태)에서 연결하고 싶은 호스트에
접속합니다. 예를 들어 서강대학교의 FTP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
ftp> open ftp.sogang.ac.kr<---호스트 이름
혹은 #ftp ftp.sogang.ac.kr
-----------------------------------------------------------------
라고 입력하면 서강대 FTP 서버에 접속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화면이 나오면
-----------------------------------------------------------------
Name(.....):________ anonymous를 입력하고
Password:_________ 자신의 e-mail주소(예 :
hessed@maincc.hufs.ac.kr)를 입력합니다.
-----------------------------------------------------------------
접속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받고 싶은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명령은 도스와 같이 cd입니다.
-----------------------------------------------------------------
> cd pub
> cd games
-----------------------------------------------------------------
파일 목록을 확인합니다. 보통 dir이나 ls 중 하나를 쓰면 됩니다.
가져오려는 파일의 이름을 파악했으면 이제 전송형태를 설정합니다.
텍스트 파일이면 'ascii'라고 입력하고 이진파일(데이터파일,
실행파일, 압축파일 등)이면 'binary'라고 입력합니다. 받을 파일을
정한 뒤에 다음과 같이 명령을 줍니다.
-----------------------------------------------------------------
>get filename <---- 파일이 하나일 때
>mget filename(s)<---- 파일이 여러 개일 때
예)>get netscape.exe 또는
>mget *.gif
-----------------------------------------------------------------
파일전송을 확인하는 메시지가 나오면 y를 입력합니다.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받은 후 FTP 상태에서 빠져나오려면 'quit'라고 명령을
내려주면 됩니다.
윈도우즈용 FTP 프로그램에서의 사용방법
일단 통신을 통해서 WS_FTP나 Cute FTP, 기타 FTP 프로그램(이들을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라고 부릅니다)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여기에서는 FTP 프로그램 중 유명세를 떨치고 있는
WS_FTP를 예로 알아보겠습니다. WS_FTP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Image] [Image]
Session Profile이라는 상자의 Host Name란에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의 도메인네임이나 IP Address를 적습니다. 그리고 오른쪽에
위치한 Anonymous Login을 선택해주면 자동적으로 User ID와
Password 부분이 생성됩니다. Password 항목에는 자신의 인터넷
전자우편 주소를 써줍니다. 모든 설정을 끝마친 후 OK 버튼을 누르면
곧바로 접속됩니다.
만일 Anonymous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Anonymous Login에 클릭하지
말고 User ID와 Password에 자신의 ID와 비밀번호를 정확히 입력한
다음 OK를 누르면 됩니다. 접속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상태가
됩니다.
Remote System이라고 이름 붙여진 오른쪽 창은 방금 접속한 호스트
컴퓨터(FTP 서버)의 상태를 나타내며, Local System이라고 이름
붙여진 왼쪽 창은 자신의 컴퓨터를 가리킵니다. 먼저 Local System
창에서 파일을 저장해둔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FTP 서버의
상태를 가맞 오른쪽 창에서 자신이 찾고자 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한 다음 원하는 파일을 선택합니다. 이제 화면의 정중앙에
위치한 화살표(<-나 ->)를 누르면 화살표 방향대로 파일이
이동됩니다.
유즈넷(Usenet)에 관하여
유즈넷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Unix shell 상태에서
유즈넷은 Client-Server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만 설치하면 자유롭게 뉴스를
구독하거나 자신이 직접 뉴스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뉴스를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를 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라고
부릅니다)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X-Window 환경에서 수행되는
xrn과 ASCII용으로 rn과 tin이 있습니다. rn은 뉴스를 읽기 위하여
개발된 최초의 프로그램이지만 사용하기가 어렵고 불편하기 때문에
비교적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tin을 추천합니다.
tin의 경우
Makefile파일에서 다음 사항을 찾아 수정합니다.
-----------------------------------------------------------------
NNTP_INEWS_DOMAIN="호스트.도메인"
NNTP_DEFAULT_SERVER="이용할 뉴스서버의 이름(예 :
news.interpia.net)"
COPTS="-c -O -DNNTP_ONLY"
-----------------------------------------------------------------
그리고 make라는 명령을 수행하여 systype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
외는 인스톨 설명문을 참조하시고 기본값으로 정해진 뉴스서버를
바꾸려면 NNTPSERVER를 설정해야 하는데 그 방법은 이미
설명했으므로 생략하겠습니다.
넷스케이프에서 이용할 경우
넷스케이프에서는 Options 메뉴에서 Mail and News Preferances의
환경을 정확히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먼저 뉴스서버를냇ㅗ瞞�BR> 하는데 Mail News Preferances에서 Server 항목을 클릭하면
News(NNTP)란이 있습니다. 그곳에 원하는 뉴스서버의 이름을
적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피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News(NNTP)란에 news.interpia.net이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또한
천리안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면 news.dacom.co.kr을,
아이네트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면 news.nuri.net을
입력해줍니다.
[Image] [Image]
환경 설정이 제대로 되었다면 Windows 메뉴에서 Netscape News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3개로 분할된 창이 나타날 것입니다.
열려진 창의 왼쪽 윗부분을 보면 자신이 지정해준 뉴스서버가 보일
것입니다. 뉴스서버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오른쪽 창에 여러개의 뉴스
기사가 나타납니다. 원하는 뉴스 기사를 선택하면 아래 창에 해당
뉴스의 내용이 나타나게 됩니다.
글을 올린 사람에게 메일을 보내거나 뉴스 그룹에 글을 올리려면
화면의 상단에 보이는 툴바를 사용하면 됩니다.
그 밖의 것들(Web Browser)...
넷스케이프를 실행시키면 'DNS ENTRY ERROR...는 에러 메시지가
나오면서 접속이 안되는데 해결책은 무엇입니까?
넷스케이프에서 올바른 프락시(PROXY) 설정을 해주지 않아서
일어나는 문제점입니다.
넷스케이프 1.× 버전의 경우
1. 넷스케이프 메뉴에서 Options를 선택합니다.
2. Preferences...를 선택합니다.
3. Proxies를 선택합니다.
4. FTP Proxy, Gopher Proxy, HTTP Proxy에 현재 이용하고 있는
인터넷 서비스망의 프락시 서버(유니텔의 경우 88.4.1.50)를
설정하고, 각각의 Port는 '8080'으로 설정합니다.
5. 아래의 'OK' 혹�'확인' 버튼을 누르면 Proxy 설정이 끝납니다.
넷스케이프 2.× 버전의 경우
1. 넷스케이프 메뉴에서 Options를 선택합니다.
2. Network Preferences...를 선택합니다.
3. Proxies를 선택하고 Manual Proxy Configuration을 선택합니다.
4. 오른쪽의 View를 선택하고 FTP Proxy, Gopher Proxy, HTTP
Proxy에 현재 이용하고 있는 인터넷 서비스 회사의 프락시
서버(유니텔의 경우 88.4.1.50)를 설정하고 Port는 '8080'으로
설정합니다.
5. 아래의 'OK' 혹은 '확인' 버튼을 누르면 Proxy 설정이 끝납니다.
[Image] [Image]
-----------------------------------------------------------------
[Image] [Image] [Image]
이전 페이지 홈페이지인터넷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