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한컴온라인매거진의 인터넷 FAQ (3)
松巖
1997. 5. 7. 00:41
http://magazine.hnc.net/mag/internet/faq/faq3.html
[한컴온라인매거진]
[Image]
인터넷 FAQ(3)
이미 알고있는 사람에게는 누워서 떡먹기. 그러나 초보자에게는
꼬불꼬불 굽은 험한 산자락 같은 존재. 이것이 바로 인터넷이다.
지금부터는 인터넷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주는 인터넷
FAQ를 통해 과감하게 인터넷에
선제공격을 퍼부어 보자.
자료제공 : 천리안 네트웍 유저 동호회
-----------------------------------------------------------------
캐시 기능에 관해
넷스케이프를 설치하여 웹사이트 몇곳을 방문한 후에 갑자기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줄어 확인해보니 넷스케이프의 캐시
폴더에 파일이 잔뜩 쌓여 있더군요. 이 파일들은 무엇이며
지워도 되는 것인지요?
넷스케이프 등의 웹브라우저에는 캐시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화면에 표시된 자료들을 캐시라는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것입니다. 이
기능의 역할은 전송받은 자료를 보관하고 있다가 재접속시에 원격지
사이트가 아닌 자신의 시스템에서 자료를 아주 빠른 속도로 불러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유용한 기능 중의 하나입니다.
캐시 설정은 넷스케이프 Options 메뉴의 Network Preferences를 [ ]
선택한 후 캐시 항목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넷스케이프에서 하드디스크 캐시의 디폴트 값은 5MB로 지정되어
있는데 캐시 디렉토리에 보관된 자료의 양이 5MB를 넘게되면
자동적으로 앞자료부터 지워지게 되므로 무한정 쌓이지는 않으며
보관일자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캐시의 자료를 새로 갱신하려면
Reload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리고 fat.db 이외의 자료들은 모두
지워도 넷스케이프의 사용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운로드시 이어받기
인터넷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다가 중간에 끊어져서 다시
받으니 처음부터 다시 받는데요, 인터넷에서는 이어받기가
안되나요?
넷스케이프나 익스플로러 등의 웹브라우저에서는 이어받기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FTP 프로그램인 Cute_ftp, WS_ftp Pro,
Nc_ftp 정식버전에서는 이어받기 기능이 지원됩니다.
프락시란 무엇이고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프락시란 무엇이며 어떻게 설정해줘야 하나요?
프락시(Proxy)는 보안과 캐시를 목적으로 설치한 서버입니다만 현재
보안보다는 캐시의 역할에 치중하고 있습니다. 즉 일단 한번 가져온
데이터를 다음번에 요구할 때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저장해 두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웹을 통해서 미국의 월트디즈니에서 라이온킹 그림을
불러왔을 때 처음에는 실제로 수많은 네트웍 연결망을 거쳐 미국에
있는 컴퓨터와 연결해서 그림 데이터를 가져오기 때문에 그만큼
복잡한 전송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그에 따른 트래픽도 증가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프락시 서버를 이용할 경우 미국이 아닌 바로
근접한 국내의 호스트 프락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라이온킹 그림을
가져오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최적의 전송효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프락시 서버의 사용자가 증가할 경우 오히려 접속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잠시 프락시 설정을 해제시키고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참고로 천리안 사용자의 프록시 서버
설정은 203.252.3.11에 Port Number 8080입니다.
DNS가 무엇인지...
TCP/IP 환경 설정시 DNS 서버를 구성해야 된다고 하는데, DNS는
무엇이며 어떻게 설정하는지요?
인터넷 각 시스템의 주소를 IP 주소라고 합니다. IP 주소는
164.124.101.2와 같이 숫자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이 수많은 주소의
숫자를 일일이 기억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요. 따라서
기억하기 쉽도록 그 시스템의 특성을 구분하여 영문으로 재구성해
놓은 주소가 바로 도메인 네임(Domain Name)입니다. 도메인 네임은
chollian.dacom.co.kr 등으로 표시됩니다.
이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전환해 접속시켜 주는 곳이 바로 DNS
서버입니다. 사용자가 사이트 접속을 시도할 경우 제일 먼저 DNS
서버를 이용하게 되므로 DNS 서버가 정확하게 지정돼 있어야 합니다.
DNS 서버는 윈속이나 윈도우즈 95의 TCP/IP 설정시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로 지정하면 됩니다.
DNS로 IP 주소 찾는 방법
DNS로 IP 주소를 찾는 방법과 반대로 IP를 갖고 DNS를 아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는 IP 주소와 도메인 네임을 갖고 있습니다.
IP 어드레스는 NIC라는 기구에서 지정하는 4개의 숫자 조합으로
구성된 것이고, DNS(Domain Name System)는 IP 주소를 외우거나
부르기 어렵기 때문에 호스트의 특성에 따라 만들어낸 이름입니다.
DNS는 사용하는 컴퓨터가 있고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가 있습니다.
사용하는 통신 호스트 컴퓨터에 '/etc/hosts'라는 디렉토리에
도메인이 기록되어야 컴퓨터가 그것을 인식합니다.
호스트 컴퓨터의 DNS를 갖고 IP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으로는
계정프롬프트에서 nslookup 명령을 사용하면 됩니다.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하면 프롬프트가 변합니다. 이 때 원하는 사이트를
입력하면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상위 시스템에 접속해 해당 사이트의
IP 주소를 출력해줍니다. nslookup 명령어를 종료하려면 exit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참고로 PPP 연결 상태에서도 DNS에 의한 IP Address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천리안의 네트웍 유저 동호회 자료실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예)
%nslookup
Default Server ***.***.**.**
Address:***.***.**.*
>www.yahoo.com
Server:www.yahoo.com
Adress:205.216.146.104
>exit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데...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웹사이트 접속시에 이미지가 화면에
출력되지 않습니다. 화면에 텍스트만 표시되는데, 어떻게 해야
될까요?
[ ]
익스플로러의 보기 메뉴의 옵션에서 첫번째 탭인 '일반'을
선택해 '그림 표시'가 체크돼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림 표시'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면 화면에 텍스트만 나타납니다. 이미지를 함께
보려면 꼭 이 부분을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전송시간의 지체로
인해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Refresh를 선택하든가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는 것이 상책입니다.
넷스케이프 화면에서 한글이 깨지는데...
한글윈도우를 사용하고 있는데, 넷스케이프 화면에서 한글이
깨진 것처럼 표시됩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 ]
그것은 넷스케이프의 폰트 설정에 문제가 있거나 원하는 폰트가
설치되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넷스케이프의 옵션 메뉴에서 폰트
조정을 해보세요. Options-General Preferences-Fonts-Choose Font
부분에서 폰트를 변경해 보십시오. 참고로 Document Encoding은
Korean으로 선택,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넷스케이프 에렛�관해
넷스케이프에서 어떤 URL로 이동할 때, '403 Forbiden
error'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어떨 때 이런 에러가
발생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런 에러 메시지는 해당 URL에 걸려 있는 HTML 파일 및 다른
파일들의 Permission이 700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즉 본인만 볼 수 있게 Permission을 지정했을 경우, 이런 메시지를
만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이용하는 통신서비스 업체의 프락시
대신에 다른 회사에서 지원하는 프락시를 설정했을 경우에 위와 같은
메시지가 타납니다. 넷스케이프의 옵션에서 Network Preferences를
선택한 후 Proxies 탭을 눌러 No Proxy로 지정하면 됩니다.
[ ]
검색엔진에서 원하는 사이트를 찾아 이동하려고 하자 '404 Not
Found'라는 에러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왜 그런가요?
404 Not Found라는 에러는 전송을 요청한 HTML 문서, 이미지나 파일
등이 해당 서버 내에 존재하지 않을 때 나타납니다. 주로 해당
웹페이지 이름이 바뀌었거나 웹페이지를 업그레이드하면서 문제의
파일을 지워버렸거나 이름을 바꾼 경우에 나타납니다.
또 홈페이지의 내용을 고치기 위해서 잠시 해당 파일을 수정할 때도
나타납니다.
어떤 URL로 이동할 때 'Fatal 500 error'가 나타납니다.
CERN httpd를 사용하는 Proxy Server에서 나타나는 DNS 에러입니다.
보통 Proxy Server와 연결되는 Name Server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호스트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에서처럼 프락시 서버에서 DNS 에러가
나타나면 모든 호스트 컴퓨터를 이용해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WWW으로 접속하지 못하게 됩니다. 입력한 URL이 맞는지
확인하고, 다음 기회에 다시 한�접속해보기 바랍니다.
북마크 에러
넷스케이프를 설치하고 나니 'Netscape was unable to open the
bookmark file. The default bookmark file will be used
instead.'라는 에러 메시지가 나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는 북마크 관련 에러입니다. 넷스케이프를 처음 설치하게 되면
사용하던 북마크가 없습니다. 처음이니까 WWW의 URL을 기록해두는
북마크가 당연히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넷스케이프에 들어있는 기본
북마크 파일이 대신 사용됩니다. 또 사용하던 북마크 파일이 없거나
지거나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 이런 에러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넷스케이프에 내장돼 있는 기본 북마크는 내용이 없으므로
천리안이나 보라넷 자료실에 여러 사람들이 자신이 여러 곳을
다녀보며, URL을 정리한 북마크가 많이 올라와 있으니 이것을 이용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97.4.29)
-----------------------------------------------------------------
[Image] [Image] [Image]
지난 기사 보기홈페이지 인터넷 홈페이지
[한컴온라인매거진]
[Image]
인터넷 FAQ(3)
이미 알고있는 사람에게는 누워서 떡먹기. 그러나 초보자에게는
꼬불꼬불 굽은 험한 산자락 같은 존재. 이것이 바로 인터넷이다.
지금부터는 인터넷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주는 인터넷
FAQ를 통해 과감하게 인터넷에
선제공격을 퍼부어 보자.
자료제공 : 천리안 네트웍 유저 동호회
-----------------------------------------------------------------
캐시 기능에 관해
넷스케이프를 설치하여 웹사이트 몇곳을 방문한 후에 갑자기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줄어 확인해보니 넷스케이프의 캐시
폴더에 파일이 잔뜩 쌓여 있더군요. 이 파일들은 무엇이며
지워도 되는 것인지요?
넷스케이프 등의 웹브라우저에는 캐시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화면에 표시된 자료들을 캐시라는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것입니다. 이
기능의 역할은 전송받은 자료를 보관하고 있다가 재접속시에 원격지
사이트가 아닌 자신의 시스템에서 자료를 아주 빠른 속도로 불러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유용한 기능 중의 하나입니다.
캐시 설정은 넷스케이프 Options 메뉴의 Network Preferences를 [ ]
선택한 후 캐시 항목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넷스케이프에서 하드디스크 캐시의 디폴트 값은 5MB로 지정되어
있는데 캐시 디렉토리에 보관된 자료의 양이 5MB를 넘게되면
자동적으로 앞자료부터 지워지게 되므로 무한정 쌓이지는 않으며
보관일자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캐시의 자료를 새로 갱신하려면
Reload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리고 fat.db 이외의 자료들은 모두
지워도 넷스케이프의 사용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운로드시 이어받기
인터넷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다가 중간에 끊어져서 다시
받으니 처음부터 다시 받는데요, 인터넷에서는 이어받기가
안되나요?
넷스케이프나 익스플로러 등의 웹브라우저에서는 이어받기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FTP 프로그램인 Cute_ftp, WS_ftp Pro,
Nc_ftp 정식버전에서는 이어받기 기능이 지원됩니다.
프락시란 무엇이고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프락시란 무엇이며 어떻게 설정해줘야 하나요?
프락시(Proxy)는 보안과 캐시를 목적으로 설치한 서버입니다만 현재
보안보다는 캐시의 역할에 치중하고 있습니다. 즉 일단 한번 가져온
데이터를 다음번에 요구할 때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저장해 두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웹을 통해서 미국의 월트디즈니에서 라이온킹 그림을
불러왔을 때 처음에는 실제로 수많은 네트웍 연결망을 거쳐 미국에
있는 컴퓨터와 연결해서 그림 데이터를 가져오기 때문에 그만큼
복잡한 전송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그에 따른 트래픽도 증가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프락시 서버를 이용할 경우 미국이 아닌 바로
근접한 국내의 호스트 프락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라이온킹 그림을
가져오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최적의 전송효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프락시 서버의 사용자가 증가할 경우 오히려 접속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잠시 프락시 설정을 해제시키고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참고로 천리안 사용자의 프록시 서버
설정은 203.252.3.11에 Port Number 8080입니다.
DNS가 무엇인지...
TCP/IP 환경 설정시 DNS 서버를 구성해야 된다고 하는데, DNS는
무엇이며 어떻게 설정하는지요?
인터넷 각 시스템의 주소를 IP 주소라고 합니다. IP 주소는
164.124.101.2와 같이 숫자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이 수많은 주소의
숫자를 일일이 기억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요. 따라서
기억하기 쉽도록 그 시스템의 특성을 구분하여 영문으로 재구성해
놓은 주소가 바로 도메인 네임(Domain Name)입니다. 도메인 네임은
chollian.dacom.co.kr 등으로 표시됩니다.
이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전환해 접속시켜 주는 곳이 바로 DNS
서버입니다. 사용자가 사이트 접속을 시도할 경우 제일 먼저 DNS
서버를 이용하게 되므로 DNS 서버가 정확하게 지정돼 있어야 합니다.
DNS 서버는 윈속이나 윈도우즈 95의 TCP/IP 설정시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로 지정하면 됩니다.
DNS로 IP 주소 찾는 방법
DNS로 IP 주소를 찾는 방법과 반대로 IP를 갖고 DNS를 아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는 IP 주소와 도메인 네임을 갖고 있습니다.
IP 어드레스는 NIC라는 기구에서 지정하는 4개의 숫자 조합으로
구성된 것이고, DNS(Domain Name System)는 IP 주소를 외우거나
부르기 어렵기 때문에 호스트의 특성에 따라 만들어낸 이름입니다.
DNS는 사용하는 컴퓨터가 있고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가 있습니다.
사용하는 통신 호스트 컴퓨터에 '/etc/hosts'라는 디렉토리에
도메인이 기록되어야 컴퓨터가 그것을 인식합니다.
호스트 컴퓨터의 DNS를 갖고 IP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으로는
계정프롬프트에서 nslookup 명령을 사용하면 됩니다.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하면 프롬프트가 변합니다. 이 때 원하는 사이트를
입력하면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상위 시스템에 접속해 해당 사이트의
IP 주소를 출력해줍니다. nslookup 명령어를 종료하려면 exit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참고로 PPP 연결 상태에서도 DNS에 의한 IP Address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천리안의 네트웍 유저 동호회 자료실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예)
%nslookup
Default Server ***.***.**.**
Address:***.***.**.*
>www.yahoo.com
Server:www.yahoo.com
Adress:205.216.146.104
>exit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데...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웹사이트 접속시에 이미지가 화면에
출력되지 않습니다. 화면에 텍스트만 표시되는데, 어떻게 해야
될까요?
[ ]
익스플로러의 보기 메뉴의 옵션에서 첫번째 탭인 '일반'을
선택해 '그림 표시'가 체크돼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림 표시'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면 화면에 텍스트만 나타납니다. 이미지를 함께
보려면 꼭 이 부분을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전송시간의 지체로
인해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Refresh를 선택하든가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는 것이 상책입니다.
넷스케이프 화면에서 한글이 깨지는데...
한글윈도우를 사용하고 있는데, 넷스케이프 화면에서 한글이
깨진 것처럼 표시됩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 ]
그것은 넷스케이프의 폰트 설정에 문제가 있거나 원하는 폰트가
설치되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넷스케이프의 옵션 메뉴에서 폰트
조정을 해보세요. Options-General Preferences-Fonts-Choose Font
부분에서 폰트를 변경해 보십시오. 참고로 Document Encoding은
Korean으로 선택,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넷스케이프 에렛�관해
넷스케이프에서 어떤 URL로 이동할 때, '403 Forbiden
error'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어떨 때 이런 에러가
발생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런 에러 메시지는 해당 URL에 걸려 있는 HTML 파일 및 다른
파일들의 Permission이 700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즉 본인만 볼 수 있게 Permission을 지정했을 경우, 이런 메시지를
만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이용하는 통신서비스 업체의 프락시
대신에 다른 회사에서 지원하는 프락시를 설정했을 경우에 위와 같은
메시지가 타납니다. 넷스케이프의 옵션에서 Network Preferences를
선택한 후 Proxies 탭을 눌러 No Proxy로 지정하면 됩니다.
[ ]
검색엔진에서 원하는 사이트를 찾아 이동하려고 하자 '404 Not
Found'라는 에러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왜 그런가요?
404 Not Found라는 에러는 전송을 요청한 HTML 문서, 이미지나 파일
등이 해당 서버 내에 존재하지 않을 때 나타납니다. 주로 해당
웹페이지 이름이 바뀌었거나 웹페이지를 업그레이드하면서 문제의
파일을 지워버렸거나 이름을 바꾼 경우에 나타납니다.
또 홈페이지의 내용을 고치기 위해서 잠시 해당 파일을 수정할 때도
나타납니다.
어떤 URL로 이동할 때 'Fatal 500 error'가 나타납니다.
CERN httpd를 사용하는 Proxy Server에서 나타나는 DNS 에러입니다.
보통 Proxy Server와 연결되는 Name Server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호스트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에서처럼 프락시 서버에서 DNS 에러가
나타나면 모든 호스트 컴퓨터를 이용해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WWW으로 접속하지 못하게 됩니다. 입력한 URL이 맞는지
확인하고, 다음 기회에 다시 한�접속해보기 바랍니다.
북마크 에러
넷스케이프를 설치하고 나니 'Netscape was unable to open the
bookmark file. The default bookmark file will be used
instead.'라는 에러 메시지가 나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는 북마크 관련 에러입니다. 넷스케이프를 처음 설치하게 되면
사용하던 북마크가 없습니다. 처음이니까 WWW의 URL을 기록해두는
북마크가 당연히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넷스케이프에 들어있는 기본
북마크 파일이 대신 사용됩니다. 또 사용하던 북마크 파일이 없거나
지거나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 이런 에러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넷스케이프에 내장돼 있는 기본 북마크는 내용이 없으므로
천리안이나 보라넷 자료실에 여러 사람들이 자신이 여러 곳을
다녀보며, URL을 정리한 북마크가 많이 올라와 있으니 이것을 이용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97.4.29)
-----------------------------------------------------------------
[Image] [Image] [Image]
지난 기사 보기홈페이지 인터넷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