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통신이야기] DSR DCD Flow Control

松巖 1998. 2. 21. 14:27
──────────────────────────────────
[질문 9] 이야기에서 모뎀 상태 화면을 보면 DSR과 DCD라는 말이 나오는
데 무슨 뜻인가요. 또 Flow Control이라는 말도 있던데.
──────────────────────────────────

몇 가지 약어를 설명 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DTE : 컴퓨터 (Data Terminal Equipment)
DCE : 모뎀 (Data Communication Equipment)
DCD : 반송파 검출 (Data Carrier Detect)
DTR : 터미널 준비 (Data Terminal Ready)
DSR : 모뎀 준비 (Data Set Ready)
RTS : 송신 요구 (Request To Send)
CTS : 송신 준비 (Clear To Send)

여기서 DTR, DSR, CTS, RTS 등은 하나의 신호입니다. 표준 직렬 인터페이
스인 RS-232C에 보면 이런 신호의 핀이 있습니다. 내장형 모뎀은 원래 모
뎀과 RS-232C를 합쳐 놓은 것입니다. 외장형의 경우는 따로 RS-232C (I/O
카드의 직렬포트)가 있어야 모뎀과 연결이 가능합니다.

'모뎀 상테' 화면에서 PC 통신사에 접속하기 전에는 'DCD'가 'OFF'로 표
시됩니다. 가끔 그것을 모뎀의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분이 있는데 전혀 모
뎀의 이상이 아닙니다. 접속이 된 이후에 'ON'으로 바뀌는 것입니다.

데이터 버퍼는 모뎀의 램 안에 있는 임시 저장 장소로써, 모뎀이 데이터
를 보낼 준비가 될 때까지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Flow Control'은 '
흐름 제어'라고도 하는데 자료 전송 과정에서 자료가 중복되거나 없어지
는 현상을 막기 위해 사용합니다. 데이터 버퍼가 찼을 때 DTE가 모뎀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시키고, 데이터 버퍼가 비었을 때 다시 DTE
가 모뎀으로 자료를 전송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이러한 흐름 제어에는 Xon/Xoff ASCII 문자를 사용하는 양방향 소프트웨
어 기법, CTS Interface 신호를 사용하는 단방향 하드웨어 기법, CTS와
RTS Interface 신호를 사용하는 양방향 하드웨어 기법 등이 있는데 자세
한 설명은 피하고 이 흐름 제어를 위한 모뎀 명령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모뎀의 종류에 따라 명령이 조금씩 다릅니다.)

AT\Qn : 직렬포트의 Flow-Control 지정
n=0 Flow-Control 기능 취소
1 Xon/Xoff 양방향 소프트웨어 Flow-Control
2 단방향 하드웨어 Flow-Control
3 양방향 하드웨어 Flow-Control

AT\Gn : 모뎀간의 Flow-Control 선택
n=0 모뎀간의 Flow-Control을 사용하지 않음
1 모뎀간의 Flow-Control (Xon/Xoff)을 사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