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통신예절] Nettiquette 네티켓

松巖 1996. 7. 12. 12:52
□코넷 가이드 중에서...
--------------------
네티켓에 대하여
^^^^^^^^^^^^^^^^^^^^
1995. 12. 15
### 무지는 용서받아도 무례는 용서 받지 못한다 ###

I. Netiquette이란 ?
━━━━━━━━━━━━━━━━━━━━━━━━━━━━━━━━━━━
Internet 에서 지켜야 되는 예절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이는 주로 인터넷
사용자 사이에 정보교환 수단으로 사용되어지는 전자우편, 유즈넷, 메일링리스트
등에서 여러분을 예절 바르고 세련된 사람 으로도, 심각한 무뢰한 으로도 만들
수가 있는것이다.

II. 왜 Netiquette을 지켜야 되나 ?
━━━━━━━━━━━━━━━━━━━━━━━━━━━━━━━━━━━━━

동방 예의 지국이라던 우리 나라 사람들이 갑자기 불어온 인터넷 환경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그 사용법에만 치중하다 보니, 사실은 가장 중요한 기본적인
예절이 지켜 지지 않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사람 사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예절이 있기마련이다.
인터넷도 결국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하나의 사회이다. 그러므로 인터넷을 사용
하려면 그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당연히 그 기본적인 예절을 알고 또 실행함이
마땅하다


◆ 자신의 호스트에서 ◆
━━━━━━━━━━━━━━━━━━━━━━━━━━━━━━━━━━━━━

I. 디스크 사용량을 최소화 한다.
━━━━━━━━━━━━━━━━━━━━━━━━━━━━━━━━━━━━━

사용자 각각에게 디스크 사용량에 제한( disk quota )이 있다. 이 한도 내에서
사용자 가 자신의 공간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일시적으로 큰 화일들을 다운 받
거나 저장해야 할 필요가 있을때 임시로 사용가능한 공간이 있다. 여기에 자신의
화일이 있다면 가능 한한 빨리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물론 다른 사용자들과 공동
으로 사용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시스템 자원의 낭비를 막기 위함이다.


II. 시스템 관리자는
━━━━━━━━━━━━━━━━━━━━━━━━━━━━━━━━━━━━━

시스템 관리자는 말그대로 시스템을 관리하는 사람이다. 바꿔 말해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가르쳐 주는 사람이 아니다. 물론 호스트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툴들에 대한 간단한 사용법을 제공해주고 새로운 프로그램이 설치
되었을때 이에 대한 사용법을 제공해 줄 수는 있다. 또 당신이 프로그램 사용법을
문의 했을때 마음좋은 시스템 관리자라면 친절히 답해주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의 사용법 자체를 가르쳐주 는것은 시스템 관리자의 의무는 아니다.

시스템 관리자가 해야 할 일은 당신이 사용하는 시스템의 이상유무를 체크하고
이상이 발생하면 그것을 정상화 시키는 것이다.
인터넷이라는 넓고도 광활한 정보의 창고에서 엄청나게 널려있는 답들을 외면

하자말라. 수많은 뉴스그룹과 메일링리스트들이 특정 프로그램에 대래 논의를
위해서 만들어져 있다. 여기에서 당신의 의문을 풀 수 있을것이다.


III. 시스템의 문제를 발견했다면
━━━━━━━━━━━━━━━━━━━━━━━━━━━━━━━━━━━━━

이때를 위해서 시스템 관리자가 있는것이다. 즉시 관리자에게 전화를 걸어 항의할
수도 있다. 단지 다른 사람의 문제라고 그냥 넘어가면 안된다. 이것은 기름통옆에
담배불이 타들어가는 것을 보고도 위험하지 않다고 하는것과 같다.
다른 사람들의 비밀번호를 알게되면 그 사람에게 알려준다. 절대 다른 사람에게
미리 말해서는 안된다. 그렇지않으면 보안을 크게 해치게 된다.

◆ 다른 사람들과 대화 하기 ◆
━━━━━━━━━━━━━━━━━━━━━━━━━━━━━━━━━━━━━

I. Write를 사용한 통신
━━━━━━━━━━━━━━━━━━━━━━━━━━━━━━━━━━━━━

Write는 다른 사람에게 메시지를 보내거나 통신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하면서도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자신의 동료에게 점심약속을 한다던가 현재 로긴해 있는 사람에
게 급한 질문을 해야 한다면 매우 요긴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간단한 사용법과 꼭 짚고 넘어가야할 점을 알아보자..

1. mesg 를 실행 해 본다
~~~~~~~~~~~~~~~~~~~~~~~~~
이때 is y 라고 나와야 한다. is n 라고 되어있는 상태에서 다른사람에게 라이트를
걸면 그사람이 자신에게 라이트로 응답할때 좌절하게 된다.
만약 is n 라고 나온다면 mesg y 라는 명령을 실행 시킨다. 만약 자신이 무척 바빠
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방해를 받고 싶지 않다면, mesg n 라고 명령을 해놓는다.

2. 기다리기.
~~~~~~~~~~~~~
상대방에게 통신에 참여하라는 요청을 보냈다면, 그 사람이 답할때 까지 기다린다.
상대방이 통신에 응할 준비가 되어있는지 확인도 안한 상태에서 메세지를 마구 보
내면 그사람이 하는 작업에 방해가 될것이다. 예를 들어 상대방이 중요한 문서를
편집하고 있 는데, 당신이 메세지를 마구 보내서 문서 편집에 방해를 받는 다면
무척 화가 날것이다.
인터넷에서의 원래의 예절은 상대방이 답을 하고 인삿말을 건넨다음에야 당신이
메세지를 보내야 한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실정에 비춰보면 라이트를 걸고 나서
상대방이 응답을 한후에 그사람이 말할때 까지 기다리면 대부분이 아무말 없이
당신의 메세지를 기다리다가 라이트를 그냥 끊는 수가 많다.
약간의 융통성을 발휘해서 하면 바로 인삿말을 건네보자. 이정도는 충분히 받아
들여질 것이다.

3. Write 에 관한 간단한 상식.
~~~~~~~~~~~~~~~~~~~~~~~~~~~~~~
라이트의 경우 여타의 통신망에서의 대화방이나 IRC 에서처럼 자신과 상대방의
대화가 명확히 화면에 구분되어지지 않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에사

한가지 재미있는 방법을 빌려왔다. 즉 자신의 말이 한마디씩 끝나면 over 라는
뜻으로 -o 를 붙여 준다. 이렇게 하면 상대방이 하는 말을 다 듣고 자신의 말을
할 수 있게 된다. 모든 대화가 끝나고 마치려면 over and over 에서 따온 -oo 를
붙여 준다. 이제 대화를 모두 마치고 Ctrl-d를 눌러 라이트를 종료한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모두 마치기 전에 상대방에게 작별 인사를 하고 상대방이

응답할때 까지 기다렸다가 Ctrl-d를 눌러 마친다.

II. Talk 사용
━━━━━━━━━━━━━━━━━━━━━━━━━━━━━━━━━━━━━
Talk은 Write와는 달리 화면 전체에 대화만을 위한 창을 만들어 준다.
보통 한글을 사용하려면 htalk을 사용하면 된다.
Talk도 역시 기본적인 예절은 Write와 같다. 한가지 주의할점은 talk을 걸었을때,
상대방이 응답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계속 상대를 호출한다는 것이다.
만약 상대방이 일정 시간동안 답하지 않는 다면 당신과 대화할 의사가 없다고 간주
Ctrl-c를 눌러 끝마치도록 하자. 상대가 중요한 작업중인데 계속해서 삑~ 소리와
함께 화면에 talk connection requested from... 하고 메세지가 계속 나온다면
당신을 저주 하게 될지도 모른다.

◆ 전자우편 ◆
━━━━━━━━━━━━━━━━━━━━━━━━━━━━━━━━━━━━━━
날마다 메일을 체크하고, 디스크 사용 가능 범위안에서 저장한다.
~~~~~~~~~~~~~~~~~~~~~~~~~~~~~~~~~~~~~~~~~~~~~~~~~~~~~~~~~~~~~~
중요하지 않은 메일은 보는 즉시 지운다.( 디스크 자원의 낭비를 막기 위해)
중요한 메일은 나중을 위하여 화일로 저장하거나 이를 다운 받는다.
당신 이외에도 다른 사람이 당신의 메일을 볼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한다. 저녁

뉴스에 당신의 사생활에 관한 기사가 나길 바라지 않는다면 보안에 신경 쓴다.

다음은 전자 우편 뿐만 아니라, 유즈넷, 메일링리스트에서도 공통으로 적용된다.
주제를 알아 보기 쉽도록 단락을 구분하고 간결하게 쓴다.
~~~~~~~~~~~~~~~~~~~~~~~~~~~~~~~~~~~~~~~~~~~~~~~~~~~~~~~
메세지의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제목을 써준다. 이로써 다른 사람들이 당신의
메세지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메일의 아래 쪽에 당신의 signature를 붙인다. 단 4줄이 넘지 않게...
~~~~~~~~~~~~~~~~~~~~~~~~~~~~~~~~~~~~~~~~~~~~~~~~~~~~~~~~~~~~~~~~~~
signature는 자원을 쓸데 없이 낭비한다고 싫어 하는 사람도 있다. 심지어는
시그너처가 4줄이 넘을 경우 받아들이지 않는 곳도 있다.
시그너처에는 자신의 이름, 기관, 위치, 이메일 어드레스, 주소, 전화번호등 을
취향에 맞게 넣어주면 된다. 자신의 명함이라 생각하면 되겠다.
중요한 단어는 대문자로 써주거나, 따옴표 또는 * 표로 둘러 싸서 다른 문자들과
구분 되게 하자. 그러나 메일 내용 모두를 대문자로 쓰거나 따옴표 별표 등으로

묶는것은 소리치기에 해당된다. 어디서나 마찬가지지만 인터넷에서도 소리치기는
금기 시 된다.
한줄의 길이를 너무 길게 하지 말고, 제어문자는 되도록이면 쓰지 않는다.
~~~~~~~~~~~~~~~~~~~~~~~~~~~~~~~~~~~~~~~~~~~~~~~~~~~~~~~~~~~~~~~~~~~~~~
다른 사람에 대해서 이야기 할때는 주의를 기울인다. 전자우편은 쉽게 된다.
개인적인 메일을 원저자의 허가 없이 뉴스그룹이나 메일링리스트에 포워드하
는것은 굉장히 무례한 행동으로 생각된다. 52

메일을 보내기전에 주소가 올바른지 확인을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우편은 키 한번
~~~~~~~~~~~~~~~~~~~~~~~~~~~~~~~~~~~~~~~~~~~~~~~
누르는걸로 발송이 되므로 꼭 주소를 확인한다. 자신이 원하지 않는 메세지를 받
는것도 무척 짜증 나는 일중에 하나이다.
흥분한 상태에서는 메일을 보내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당신이 흥분한 상태에 서
~~~~~~~~~~~~~~~~~~~~~~~~~~~~~~~~~~~~~~~~
메일을 보내게 되면 받는 편에게는 무시되어질 뿐이다.
아직도 행운의 편지는 돌고 있다. 절대 여기에 말려 들지 않아야 한다.
어조에 주의한다. 이는 자신의 어조 뿐만 아니라 상대가 한말에 대해서도 어조를
주의깊게 살피는 것이다. 대화로는 충분히 유머와 위트로 받아 들여질것도 메일의
경우 굉장히 무례하게 느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잘못 이해될 소지가 있다고
생각되면 이모티콘(emoticon)을 사용한다.
~~~~~~~~~~~~~~~~~~~~~~~~~~
이모티콘이란 얼굴 표정을 나타내는 일종의 기호이다. 전자우편은 물론 유즈넷,
IRC ....... 등등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이의 갯수는 수백개에 달하고 특정
그룹끼리 자신들만 통하는 것까지 합치면 그 수는 가히 엄청나다. 가장 많이
보편적으로 쓰이는것만 몇가지 예를 들겠다.

:-) 웃는 얼굴
:-( 불쾌한 얼굴7

:-> 점잖은 척
:) 코없는 웃는 얼굴
:( 코없는 불쾌한 얼굴
:^) 옆에서 본 웃는 얼굴
^^; 난처한, 쑥스러운 표정(땀나는...)
:-P 혀를 내민 얼굴
--<<--<<@ 장미 한송이



◆ 유즈넷 ◆
━━━━━━━━━━━━━━━━━━━━━━━━━━━━━━━━━━━━━

훌륭한 네티켓은 모든 사용자들이 유즈넷을 최대한 즐겁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가장 좋은 도구이다.
포스팅 하기 전에 기사들을 읽어본다. 그중에는 당신이 질문하고자 하는 내용이
~~~~~~~~~~~~~~~~~~~~~~~~~~~~~~~~~~~~
이미 있을 가능성이 많다. 기사들을 하나도 읽어보지도 않고 이미 있는 질문과
답에 대해서 다시 질문을 하는것은 대단히 실례로 여겨진다.
기사의 연결고리 중에 중간 부분( thread라 불리는...)을 건너 뛰지 말라.

오래전에 논의 되었거나 끝난 이야기를 다시 제기하는 실수를 범할 수도 있다.
해당 뉴스그룹에서 빈번하게 질문되는 내용과 답 ( FAQ )를 찾아본다.
또는 "alt.newysers.questions"
"han.news.answers"
"han.news.answers"
"news.announce.newusers"
등의 뉴스 그룹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뉴스사용에 관한 질문과 답을 찾아 읽어본다.

아마도 당신이 질문하고자 하는 내용이 이미 질문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테스트 포스팅은 han.test 뉴스그룹이나 misc.test, alt.newusers 에만 하도록
한다. 이외의 다른 그룹에 테스트 포스팅을 하는것은 네티켓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심각한 자원의 낭비이다.
기사는 간단 명료하게 작성한다.
~~~~~~~~~~~~~~~~~~~~~~~~~~~~~~~
당신은 컴푸터만을 상대하고 있는것 처럼 보이지만, 상대편에도 똑같이 사람이 있
다는 사실을 기억해라.
기사의 제목에 기사의 내용을 요약하는 내용을 써라.
~~~~~~~~~~~~~~~~~~~~~~~~~~~~~~~~~~~~~~~~~~~~~~~~~
제목이야말로 다른 사람이 자신의 기사를 읽을지 안읽을지 결정하는 중요한 관건
이다. 유머와 풍자를 할때는 주의깊게 사용한다. 온라인상에서는 오해의 소지가
더 많다. emotcon을 유효적절히 사용할것을 권한다.
다른 사람이 당신이 알고 있는 사항을 질문했을때는 이에 친절히 답해준다.
~~~~~~~~~~~~~~~~~~~~~~~~~~~~~~~~~~~~~~~~~~~~~~~~~~~~~~~~~~~~~~~~~~~~~~
당신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받았다면 당신도 다른 사람을 도와야한다.
주제와 관련없는 내용을 포스팅 하지 말라.
~~~~~~~~~~~~~~~~~~~~~~~~~~~~~~~~~~~~~~~~
예를 들어 han.sys.linux는 리눅스에 대한 논의를 하는곳이다. 이곳에 테스트
포스팅을 해서도 안되고 ( 테스트는han.test에..) 지구과학에 대 한 질문
( 지구과학은 han.sci.earth에...)을 해서도 안된다.
혹시 네티켓을 잘 모르는 사람이 주제와 맞지 않는 포스팅을 하거나 테스트

포스팅을 하더라도 불같이 화를 내거나 다른 사람을 선동하지 말라. 이런 경우에는
친절하고 도움을 주는 마음으로 잘못된 경위를 설명해 준다.
자신에게 도움을 준 사람에게 고맙다는 내용은 개인적인 메일로 보낸다.
~~~~~~~~~~~~~~~~~~~~~~~~~~~~~~~~~~~~~~~~~~~~~~~~~~~~~~~~~~~~~~~~~~~~

당신의 기사는 당신을 대변한다. 유즈넷에서 다른 사람들은 당신의 기사와 당신이
어떻게 말하는지만을 가지고 당신을 평가한다. 당신의 글을 읽은 사람이 훗날
당신의 친구로 당신의 동업자로 당신의 상관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당신의
기사가 나중에 당 신을 괴롭히지 않도록 조금 더 주의해서 포스팅 하자.

같은 글을 서로 다른 여러 뉴스 그룹에 올리지 않는다.
~~~~~~~~~~~~~~~~~~~~~~~~~~~~~~~~~~~~~~~~~~~~~~~~~~~~
포스팅할때는 가장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한 그룹에만 올린다. 부득이하게
여러 그룹에 올려야 할때는 교차투고를 사용한다. 이는 뉴스기사의 헤더중
Nwsgroups: 에 관계되는 그룹들을 콤마(,)로 분 리하여 써주는것이다.
상업적인 광고를 올리지 말라.

전자우편, 메일링 리스트에 공통된 사항을 참조한다.
~~~~~~~~~~~~~~~~~~~~~~~~~~~~~~~~~~~~~~~~~~~~~~~~~~

◆ Mailing List ◆
━━━━━━━━━━━━━━━━━━━━━━━━━━━━━━━━━━━━━

리스트에 가입이 되었다면 며칠간은 분위기 파악( 어떤 질문과 답이 오가는지,
~~~~~~~~~~~~~~~~~~~~~~~~~~~~~~~~~~~~~~~~~~~~~~
내용이 논의 되는지...)을 위해 조용히 모니터 해본다. 이제 분위기에 익숙해
졌다 면 포스팅을 시작한다.
당신이 가입한 리스트에서 가장 먼저 할 일은 그 리스트의 FAQ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숙련된 가입자들은 같은 내용의 질문이 계속 오거나 새로운 가입자가 들어
올때 마다 같은 질문이 계속 된다면 무척 귀찮아 할것이다.
리스트 관리자의 모든 지침을 따른다.
~~~~~~~~~~~~~~~~~~~~~~~~~~~~~~~~~~~~
리스트 관리자는 그 메일링 리스트에서의 고유한 네티켓을 만들어 나간다.
단지 선동적인 내용을 포스팅 하기 위해 리스트에 가입해서는 않된다. 이런 경우
리스트 관리자는 무척 당혹해 할것이고 결국 당신은 인터넷에 접근을 제한 받는
경우까지 생길 수도 있다.( 우편 폭격? )
당신의 메세지의 내용이 관련된 메일링 리스트에 포스팅 되도록 하자. 바꿔 말하면
리스트의 본래 취지와는 관련없는 내용을 포스팅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
만약 다른 사용자가 리스트의 주제와는 상관 없는 내용을 포스팅 했을경우 이것을
리스트로 답하지 말고, 리스트 상에서 공공연하게 주제와 관련없는 내용을 진행

하지도 말자.
다른 사용자가 리스트의 주제와 다른 내용을 포스팅 했고, 또 다른 사용자가 이를
비난했을때, 이 비난에 대해 반대하지 않는다.
다른 사용자의 글을 인용할때 그 글의 전체를 인용하지 않는다.긴내용의 글이 세번
네번 계속해서 인용되어서 중복되게 온다면 이를 읽는 사람도 짜증 날 것이다.

이때는 다른 사용자의 글을 필요한 부분만 편집해서 인용하도록 한다. 비록 편집에
~~~~~~~~~~~~~~~~~~~~~~~~~~~~~~~~~~~~~~~~~~~~~~~~~~~~~~~~~~~
시간이 금 소요될지라도 다른 사람들을 쾌적하게 만들어주는 기쁨을 느낄 수 있다.
아주 긴 메세지를 포스팅 할때는 메일의 앞머리에 경고문을 써준다. 또 몇십페이
지에 달하는 글을 알리고자 할때는 그 화일을 일정한 ftp서버에 올려놓고 그 위치
내용 등을 알려주는것이 좋다.
만약 같은 글을 여러 그룹에 올리고자 할때는 메일의 앞머리에 그 그룹들의 이름을
적어주고, 그에 대한 사과문을 게쟤한다.
다른 사람의 선동에 말려 들지 말라. 메일링 리스트나 뉴스그룹등은 공개적 이라는
~~~~~~~~~~~~~~~~~~~~~~~~~~~~~~~~~~~~~~~~~~~~~~~~~~~~~~~~~~~~~~~~~~~~~~~~
사실을 기억하라.
질문이 있다면 자세한 상황을 설명하고 에러가 난 경위와 에러메세지의 내용등을
상세하게 써서 질문하고 이에 대한 어떠한 답이라도 받았을 경우에는 감사의 말

한마디는 꼭 답장해 준다. 다른 사용자들을 위하고 또 후일의 FAQ등을 위해서
질문에 대한 해결 과정을 요약해서 리스트에 포스팅 한다.
주소를 확인한다.
개인에게 보내야될 메일을 리스트 전체에게 보내지 않는다.
~~~~~~~~~~~~~~~~~~~~~~~~~~~~~~~~~~~~~~~~~~~~~~~~~~~~~~~~
가끔 네티켓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가입을 리스트 자체에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럴경우에 비난하기 보다는 가입절차에 대해 조언을 해준다. 예를 들어 KUG 에
가입할 경우 majordomo@kornet.nm.kr 에 subscribe kug 라고 메일을 보내야 하는

데 리스트 자체인 kug@kornet.nm.kr 에 가입 신청을 하는 경우이다.

◆ telnet, ftp, 화일 관리 ◆
━━━━━━━━━━━━━━━━━━━━━━━━━━━━━━━━━━━━━
telnet을 사용해서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한 서비스(freenet)는 매우 붐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꼭 준수해야 한다.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겠다고 생각했으면, 그 서비스에 대한 문서화일을 구할
수 있다(온라인 또는 ftp를 이용). 이때 되도록이면 그 문서 화일을 다운로드
~~~~~~~~~~~~~~~~~~~~~~~~~~~~~~~~~~~~
받아서 오프라인 상태에서 주의깊게 읽어본다. 이는 자신이 불필요하게 시스템을
~~~~~~~~~~~~~~~~~~~~~~~~~~~~~~~~~~~~~~~~~~~~~
사용해서 다 른 사람이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것을 방지한다.
당신이 필요한 정보를 얻었다면, 그 시스템에서 로그아웃 한다. 자신이 불필요
하게 오래 머무른 만큼 다른 사용자는 접근을 못하게 된다.
자신이 얻은 정보는 자신의 컴퓨터로 다운로드 받는다. 그렇지 않으면 그만큼
다른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줄어든다.
PASSWORD 프롬프트에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정확히 기입한다.
~~~~~~~~~~~~~~~~~~~~~~~~~~~~~~~~~~~~~~~~~~~~~~~~~~~~~~~~~~
1메가 바이트 이상의 큰 화일을 다운로드 할때는 그 화일이 위치한 사이트가
붐비지 않는 시간에 한다. 보통 늦은 밤이 좋다. 물론 그 사이트가 위치해 있는
곳의 시간에 준한다.
다운로드 받은 프로그램이 쉐어웨어라면 사용해 보고 맘에 들경우 저작권자에 게
일정요금을 지불해야 할 책임이 있다. 만약 의심스럽다면 복사하지 말라.

사용해본 경우 요금을 지불할 만한 가치가 없거나, 맘에 들지 않는다면 당신의
당신의 시스템에서 그 프로그램을 지워버려야 한다.


━━━━━━━━━━━━━━━━━━━━━━━━━Internet User Group━━━━
빠르고 안전하고 건전하고 편하고 즐겁고 쉬운 leesun2@soback.kornet.nm.kr
인터넷 항해를 인터넷 유저 그룹과 함께 하세요! LEESUN2@hitel.kol.co.kr
━━━━━━━━━━━━━━━━━━━━━━━━━go IU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