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동호회]

국내 연구소,대학,ISP 의 sendmail 버전

松巖 1998. 2. 14. 04:59
From - Sat Feb 14 04:02:54 1998
From: Jungshik Shin
Newsgroups: han.comp.mail,han.net.kreonet,han.net.kren,han.net.misc
Subject: 국내 몇몇 학교/연구소/ISP의 sendmail 버전
Organization: Yale University, Physics Dept.

지난 9월 초에 했던 MTA 조사를 다시 한번 해 보았습니다.
그 때 올린 글의 일부를 약간 고쳐서 아래에 다시 적습니다.
--------
어차피 smtp port로 telnet하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것(물론, welcome
banner에 나오는 버전 번호를 일부러 바꿔 놓았다면 알 수 없는 일이지만,
그 정도로 부지런을 피울 관리자는 거의 찾아 보기가 힘든 일이므로 welcome
banner에 나오는 버전이 진짜 버전이라고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이므로 아래에 20 여 곳에 대해 적어 봅니다. 어느 누구를 탓하거나
하자는 뜻은 결코 아닙니다. 인터넷의 가장 중요한 서비스 중 하나인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시스템의 보안 문제와 한글 메일의 원활한
처리에 주요 학교/연구소의 관리자들이 좀더 신경을 쓰기를 촉구하는 뜻에서
아래 결과를 공개합니다. 사실 낮은 버전을 그대로 쓰고 있는 곳 중에는
방화벽을 구축했기 때문에 맨 바깥의 mx host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곳도
있을 줄 압니다. 그래도, 혹시 아나요? 방화벽이 있다고 해도 모든
부분에(내부와 거의 단절된 중요 자료가 없는 외부 노출 부분이라도) 최선을
다하는 것이 더 좋겠지요. 그리고, 업그레이드는 보안 문제 뿐 아니라 한글
메일 처리와도 연관이 있음을 감안해야 합니다. 아래에 나온 것 중에서는
8.8(+procmail)/8.8[6-8]h1(후자는 선의에서 RFC 1652를 위반하도록 고쳐졌지만,
그것이 오히려 문제라고 생각합니다)만이
새로 발표될 예정의 한글 메일 표준안과 부합합니다.
-----------
1997. 9 1998. 1
---------- ---------
bh.kyungpook.ac.kr 8.6.12h1/8.6.9 8.6.12H1/8.6.9 X
bubble.yonsei.ac.kr 8.6.9h1 8.6.12H1/8.6.9 X
cair.kaist.ac.kr 8.8.7h1 8.8.7H1
camis.kaist.ac.kr 8.6.12h2 8.8.7H1 O
cbdns.chonbuk.ac.kr 5.64(? : UCB) UCB 5.64/4.03 XXX
cbucc.chungbuk.ac.kr 4.1 4.1 XXX
cc.kangwon.ac.kr 8.8.7h1 8.8.8H1
cheju.cheju.ac.kr 8.6(SMI) 8.6(SMI) XX
chonnam.chonnam.ac.kr 8.8.4 8.8.4 *
ercc.snu.ac.kr 8.6(SMI) 8.6(SMI) XX
eunhasu.kjist.ac.kr 8.8.5 8.8.5 *
garam.kreonet.re.kr 8.8.6h1 8.8.8H1 OO
hyowon.pusan.ac.kr 8.6.11 8.6.11/8.6.8 XX
jagalchi.pusan.ac.kr 4.1 8.6(SMI) XX
jiri.kaist.ac.kr 8.7.1h1 8.8.7H1 O
kistmail.kist.re.kr 8.6.12 8.6.12 XX
krissol.kriss.re.kr 8.6.12h2/8.6.4 8.8.6H1/8.8.6 O
krnic.net 8.6.12h2/8.6.9 8.8.8H1 OO
mail.etri.re.kr 8.6.9h1/8.6.9 8.6.9H1 XX
mx1.postech.ac.kr 8.8.5 8.8.7/8.8.7 OO
nca.or.kr 8.6.12h2/8.6.9 8.8.7H1/8.6.9 O
nms.kyunghee.ac.kr 8.8.8H1
nongae.gsnu.ac.kr 8.6(SMI) 8.6(SMI) XX
plaza.snu.ac.kr 8.8.7h1/8.6.12 8.8.8H1/8.8.7 OO
seri.re.kr 8.6.12h1/8.6.9 8.6.12H1/8.6.9 XX
sorak.kaist.ac.kr 8.8.7h1 8.8.7H1
sun.hallym.ac.kr 8.6.11+hangul/8.6.9 8.6.11+hangul/8.6.9 XX

학교와 연구소 중에서 KRISS(표준연)와 KRNIC/NCA, KAIST의 camis 등이
8.6을 버리고 8.8로 바꿨습니다. 그런데, nca.or.kr은 sendmail.cf는 여전히
8.6.9로군요. 강원대나 서울대의 plaza,연구망의 garam처럼 부지런히
8.8.6에서 8.8.8로 업그레이드를 한 곳이 있는가 하면, 전북대나 충북대처럼
여전히 7bit만 통과시키는 sendmail 4.x나 5.x를 쓰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
부산대의 hyowon은 아직도 8.6.11이고 자갈치는 4.1에서 바꾼 것이
Sun이 만든 버그 투성이의 SMI 8.6이군요. 제주대,경상대,KIST,서울대의 한
호스트(ercc.snu는 mailhub인데, - plaza.snu는 부지런히 바꾸면서 - 왜 아직도
안 바꾸는지 알 수 없습니다) 등은 아직도 SMI 8.6이고, 한림대도 그대로
8.6.11,경북대 역시 그대로 8.6.12로군요. 연세대는 바꾼다고 바꾼 것이
8.6.9h1에서 8.6.12h1로 올렸군요. 한국의 Bell Lab을 목표로 하는 ETRI는
왜 바로 앞집인 표준연은 8.8로 바꿨는데, 여전히 8.6.9h1일까요? 한 집에
있는 garam.kreonet.re.kr은 8.8인데 seri.re.kr은 여전히 8.6.12인지도 모를
일이고요.(물론, 관리자가 다른 탓이겠지요 :-)) 전남대는 8.8이기는
하지만, 버그가 있는 8.8.4를 그때나 지금이나 쓰고 있군요.

이제 ISP를 살펴 봅시다.

mail.nuri.net 8.8.7H1 8.8.7H1
mail.interpia.net 8.8.5 8.8.7/8.8.5
mail.hitel.net 8.6.9H1 8.8.6H1
soback.kornet.nm.kr 8.8.6h1 8.8.7H1
nownuri.net 8.6.12h2 8.8.7H1
mail.shinbiro.net 8.8.5H1 8.8.5H1
mail.unitel.net 8.6(SMI) 8.6(SMI)
imail01.unitel.co.kr 8.7.5
mx1.dacom.co.kr 8.8.6 8.8.7
mail.netsgo.co.kr MS SMTP Mail MS SMTP Mail

그 사이에 하이텔, 나우누리 등 8.6을 쓰던 곳이 8.8로 바꿨습니다. ( 작년
가을부터 바꾸라고 그렇게 해도 안 바꾸더니 드디어 바꿨습니다.참, 오래
걸렸지요?) Dacom과 Kornet은 8.8.6에서 부지런히 8.8.7로 바꿨군요.(8.8.8과
8.8.7의 차이는 미미합니다). 인터피아 역시 8.8.5에서 8.8.7로 올렸군요.
문제는 SDS가 운영하는 Unitel입니다. 하나는 8.6(SMI)이고 다른 하나는
8.7입니다. 전에는 8.6.9h1을 쓰더니 바꾼 것이 8.6(SMI)입니다(이것은
오히려 퇴보입니다). Unitel 쓰시는 분들은 관리자를 좀더 들들 볶으셔야 할
듯....

자신이 관리하는 시스템이 아직도 sendmail 4.x, 5.x, 8.6.x, 8.7.x 등을
쓰고 있다면 최대한 빨리 8.8(최신은 8.8.8)+procmail for hangul 이나 8.8
한글 패치판(최신은 8.8.8H1)으로 업그레이드를 하시고, 다른 이가 관리하는
시스템이라면(그것이 자신이 속한 학교나 연구소, ISP의 것이라면) 하루 속히
업그레이드해 달라고 강력히 요구하시기 바랍니다. 8.8+procmail 설치법은
에 있고, 8.8H1은
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8.8 original + procmail을 더 좋아합니다.
(당연한 얘기인가요 :-) ?) procmail이라는 훌륭한 도구를 사용자에게 쓸 수
있게 해 주는 덤까지 있고, RFC 1652를 더 충실히 지키니까요(송신 시 한글
메일 헤더 인코딩은 한글 패치판이 더 낫습니다)

신정식

P.S. han.net.{kreonet,kren,misc},han.comp.mail에 같이 올리고
따라 올릴 그룹은 han.comp.mail로 제한합니다.


--
Celebrate 100 Years of Electron and 50 Years of Transistor !!
1897: Electron, J.J. Thompson :
1947: Transistor, Bardeen, Brattain, Shockley at Bell La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