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자국[게시판]
[답변:102] 흐름제어와 바람잡이
松巖
1996. 5. 26. 10:52
안녕하세요?
수원 이경입니다.
흐름제어와 바람잡이에 대하여 여쭙겠슈求�
[흐름제어]
흐름제어란 영어로 핸드셰이킹(Handshaking)으로서 컴퓨터와 모뎀간의
데이터 전송방식인 직렬방식 RS-232C 에서 어떠한 형태로 양쪽의 데이
터의 흐름을 제어(조절)할 것인가를 말합니다.
1.흐름제어방식의 종류
1)RTS/CTS
하드웨어적 흐름제어
컴퓨터와 모뎀간의 연결로(RS-232C)의 핀 중에서 RTS와 CTS핀을 이용
해서 흐름제어를 하는 하드웨어적 흐름제어 방식입니다.
한쪽에서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면 RTS핀에서 신호를 발생시키고 다른
한쪽에서 데이터를 보내도 좋다는 신호를 CTS에서 보내면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는 쪽에서 CTS를 감지하고 나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입
니다.
2)Xon/Xoff
소프트웨어적 흐름제어
한쪽에서 다른 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다가 상대측에서 `이제부터 잠시
전송을 중지요청'이라는 Xoff 신호를 받게 되면 전송을 중지하는 것입
니다. 잠시후 다시 `다시 전송요청'의 Xon신호를 수신하면 다시 전송을
합니다.
3)Both
위의 방식을 모두 사용합니다.
`둘다 선택'이라고 표현합니다.
4)NONE
흐름제어 방식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보통은 현재의 수준에서 이 방식을 사용하여도 되나 점점 고속화하는
통신상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즉 고속통신일수록 데이터의 전송을 원할하고 정확하게 하기위하여는
이 4)의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선생님께서는 현재 이 방식인 듯합니다.)
5)자동흐름제어
보통 널모뎀방식에서 사용합니다.
널모뎀이란 가까운(집안,같은 사무실 등)곳에 RS-232C 케이블로 직접
연결해 놓은 모뎀이 없이 데이터교환이 가능한 두 대(또는 그 이상)
의 컴퓨터를 말합니다.즉 널(Null)이란 모뎀없이 라는 뜻입니다.
[바람잡이]
통신프로그램(예:이야기,신세대,DL2 등)에서는 바람잡이라는 것이 있
습니다.(명칭은 다를 수 있습니다.따라서 여기서는 이야기를 중심으
로 설명합니다.)
이야기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데에는 각종 설정값(페러미터)를 설정
해주는 보조프로그램인 baram.exe 라는 것이 필요합니다.
바람잡이를 F10을 눌러 찾아서 실행하면 바람잡이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원하는 상태로 설정해 줍니다.
다른 값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흐름제어부분만을 설명드리면,
바람잡이 화면 중 `모뎀관련'에 커서를 두고 리턴하면 새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대부분 `3-57600-N-8-1-둘다선택'(또는 NONE 등)
으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3-57600-N-8-1-둘다선택'으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순서대로, COM3-57600bps속도-NONE패리티비트-8비트(데이터)-1스톱
비트-둘다선택 흐름제어의 뜻입니다.
(*속도는 반드시 자신의 모뎀속도보다 2-4배로 두어야 좋습니다.)
(*즉 14,000bps모뎀의 경우 57,600bps로)
바람잡이에서 통신 패러미터를 변경하였드래도 이야기 실행 상태 중에
설정값을 일시 변경하려면 Alt+1 를 누르면 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계속 바람잡이의 값을 변경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때
이야기 사용 중인 때만 해당하므로 다시 이야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원래의 바람잡이 값으로 통신됩니다.
즉 이 방법은 사용할 때마다 일시적으로 해주는 방법입니다.
수원 이경입니다.
흐름제어와 바람잡이에 대하여 여쭙겠슈求�
[흐름제어]
흐름제어란 영어로 핸드셰이킹(Handshaking)으로서 컴퓨터와 모뎀간의
데이터 전송방식인 직렬방식 RS-232C 에서 어떠한 형태로 양쪽의 데이
터의 흐름을 제어(조절)할 것인가를 말합니다.
1.흐름제어방식의 종류
1)RTS/CTS
하드웨어적 흐름제어
컴퓨터와 모뎀간의 연결로(RS-232C)의 핀 중에서 RTS와 CTS핀을 이용
해서 흐름제어를 하는 하드웨어적 흐름제어 방식입니다.
한쪽에서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면 RTS핀에서 신호를 발생시키고 다른
한쪽에서 데이터를 보내도 좋다는 신호를 CTS에서 보내면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는 쪽에서 CTS를 감지하고 나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입
니다.
2)Xon/Xoff
소프트웨어적 흐름제어
한쪽에서 다른 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다가 상대측에서 `이제부터 잠시
전송을 중지요청'이라는 Xoff 신호를 받게 되면 전송을 중지하는 것입
니다. 잠시후 다시 `다시 전송요청'의 Xon신호를 수신하면 다시 전송을
합니다.
3)Both
위의 방식을 모두 사용합니다.
`둘다 선택'이라고 표현합니다.
4)NONE
흐름제어 방식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보통은 현재의 수준에서 이 방식을 사용하여도 되나 점점 고속화하는
통신상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즉 고속통신일수록 데이터의 전송을 원할하고 정확하게 하기위하여는
이 4)의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선생님께서는 현재 이 방식인 듯합니다.)
5)자동흐름제어
보통 널모뎀방식에서 사용합니다.
널모뎀이란 가까운(집안,같은 사무실 등)곳에 RS-232C 케이블로 직접
연결해 놓은 모뎀이 없이 데이터교환이 가능한 두 대(또는 그 이상)
의 컴퓨터를 말합니다.즉 널(Null)이란 모뎀없이 라는 뜻입니다.
[바람잡이]
통신프로그램(예:이야기,신세대,DL2 등)에서는 바람잡이라는 것이 있
습니다.(명칭은 다를 수 있습니다.따라서 여기서는 이야기를 중심으
로 설명합니다.)
이야기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데에는 각종 설정값(페러미터)를 설정
해주는 보조프로그램인 baram.exe 라는 것이 필요합니다.
바람잡이를 F10을 눌러 찾아서 실행하면 바람잡이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원하는 상태로 설정해 줍니다.
다른 값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흐름제어부분만을 설명드리면,
바람잡이 화면 중 `모뎀관련'에 커서를 두고 리턴하면 새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대부분 `3-57600-N-8-1-둘다선택'(또는 NONE 등)
으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3-57600-N-8-1-둘다선택'으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순서대로, COM3-57600bps속도-NONE패리티비트-8비트(데이터)-1스톱
비트-둘다선택 흐름제어의 뜻입니다.
(*속도는 반드시 자신의 모뎀속도보다 2-4배로 두어야 좋습니다.)
(*즉 14,000bps모뎀의 경우 57,600bps로)
바람잡이에서 통신 패러미터를 변경하였드래도 이야기 실행 상태 중에
설정값을 일시 변경하려면 Alt+1 를 누르면 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계속 바람잡이의 값을 변경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때
이야기 사용 중인 때만 해당하므로 다시 이야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원래의 바람잡이 값으로 통신됩니다.
즉 이 방법은 사용할 때마다 일시적으로 해주는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