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 3. 17. 08:14
내발자국[동호회]
---------------------------------------------------------------------------
제 목 : [9510]www가 기가막혀(2)
---------------------------------------------------------------------------
위에서 예시한 7가지 방법들의 공통점을 살펴보자. 먼저 처음
에는 접속할 곳의 접근 방법을 나타낸다. 이는 file(파일을 읽어
들인다), ftp(ftpd 프로토콜과 접속한다), http(httpd 프로토콜과 접
속한다), gopher(gopherd 프로토콜과 접속한다), news(NNTP와
접속한다), telnet(telnetd 프로토콜과 접속한다)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들과 접속이 가능하게 해준다. 그리고 접속방법 다음에
는 ':' 이 오게 된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접속방법에 따라 다양
하게 해석이 된다. 하지만 보통 ':' 다음에는 '//' 이 오게 되고(N
NTP 프로토콜 과 접속하는 경우는 예외) 그 다음에는 접속할 ho
st의 이름이 오게 된다. 좀더 자세히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① File : 이는 지정한 장소의 파일을 읽어 오기 위해서 사용한
다. file://hostname/directory/(filename)의 형태로 위치를 지정하
게 되는데 filename을 안 적어 주면 디렉토리를 보여주게 된다.
예를 들어 file://whereis.it.com/somewhere/target/file/is와 같으며
server가 default로 파일을 설정해 줄 경우 그냥 file://whereis.it.c
om라고 하기만 하면 된다. 이는 모든 url에 대해서 같이 적용될
수 있다.
② FTP :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원격지의 파일을 가져오는
프로토콜로 ftp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보를 가져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ftp://hostname/directory의 형태를 갖게
되며 이렇게 하면 directory에 있는 내용을 보여주게 된다. 예를
들어, ftp://whereis.it.com/somewhere/ resource/existfile 과 같이
파일을 지정하면 그 파일을 가져오게 된다.
③ gopher : gopher는 다양한 정보서버들을 연결시키기 위해 메
뉴화한 시도였는데 gopher://gopher.server.com와 같은 식으로 연
결한다. 한 서버가 여러 개의 gopher server daemon을 띄워 둘
경우는 특별히 port번호를 정해줄 수가 있다. 즉 서버 gopher.ser
ver.com의 8080포트에 떠 있는 daemon으로 연결을 하려면 goph
er://gopher.server.com:8080과 같은 식으로 하면 된다.
④ news : news는 공통된 기호를 가진 사람들 사이에 의견을 교
환하는 장으로 쓰이는 인터네트 서비스이며, HDTV, 이집트 문화
등 다양한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news프로토콜은 NNTP/NNR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구성되며 이들도 url에 포함된다. news의
경우는 news://news.kaist.ac.kr화 같은 식으로 서버를 정할 수 있
으며 특정한 newsgroup을 지칭할 경우 가령 comp.lang.lisp를 지
칭할 경우는 news:comp.lang.lisp와 같은 식으로 하면 된다.
⑤ http : http는 Hyper Text Transport Protocol로써 말 그대로
hyper text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며 www의 경우 이 Url을 가
장 많이 이용한다. http://www.yahoo.com과 같은 식으로 지정하
며 port 번호가 80번이 아닌 경우에는 http://www.yahoo.com:808
0과 같이 지정해서 8080포트로의 연결을 하게 된다. 또 어떤 특
정한 파일을 가리킬 경우(daemon이 access를 허가하는 파일에
대해서)는 http://www.kaist.ac.kr/pub/thisfile.html와 같이 원하는
파일을 지정해 준다.
⑥ telnet : telnet은 원격지의 컴퓨터에 접속하는 명령어이며 teln
et://hostname 또는 telnet://userID@hostname과 같은 형태를 가
지게 된다. 두 번째 형태와 같이 userID를 표시해 주는 경우에는
ID를 안내해 주는 윈도가 하나 뜨게 된다.
⑦ mailto : 인터네트의 가장 보편적인 서비스인 전자 우편을 W
WW에서 그대로 할 수 있는데 mailto:kong@adam.kaist.ac.kr과
같이 해주면 편지 내용을 쓰는 윈도가 뜨고 다 쓰면 kong@ada
m.kaist.ac.kr로 메일이 가게 된다.
정리하면 URL의 포맷은 다음과 같으며 지금까지의 모든 인터네
트 서비스를 지정할 수 있다.
(형식)
프로토콜://로그인이름:패스워드:컴퓨터이름:포트번호/디렉토리
이름/파일이름
(예) http://www.yahoo.com
ftp://mgt.kaist.ac.kr/pub/network/file.hqx
http://www.cern.ch:8080/home.html
gopher://143.248.90.125/doc/captured/news
news://han.comp.www
예를 들어 http://www.yahoo.com/과 같이 지정하면 www.yah
oo.com에 접속하는데 로그인 이름과 패스워드는 필요 없고 프로
토콜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로 즉 뒤의 포트 번호 지
정이 없다면 80번 포트(구멍)로 접속한다는 이야기이며 액세스하
는 디렉토리와 파일 이름은 www.yahoo.com에서 지정한 곳으로
가게 한다는 뜻이다. 다른 예로 ftp://whereis.it.com/somewhere/
과 같이 지정하면 whereis.it.com라는 컴퓨터로 f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whereis.it.com에서 미리 지정하고 있는 디렉토리에서
밑으로 somewhere/에 있는 파일들을 가져오라는 의미를 가진다.
프로토콜로 가능한 것으로는 다음과 같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ftp: file transfer protocol
file: file transfer protocol
gopher: The gopher protocol
mailto: electronic mail address
mid: message identifiers for electronic mail
cid: content identifiers for MIME body part
news: USENET news
nntp: USENET news for local NNTP access only
prospero: access using the prospero protocol
telnet: access to interactive sessions
wais: wide area information servers
이러한 URL의 개념 (즉 인터네트에 물려 있는 모든 호스트에
있는 파일을 URL 하나로 모두 참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한
디렉토리 내에서 파일 이름이 유일하듯이 URL 이라는 것은 인터
네트의 모든 오브직트들에 관하여 유일한 것이 된다)은 WWW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File 메뉴에 대해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New Window
똑같은 history item을 가진 새로운 윈도를 만든다. 이때 HOm
e Page가 있는 미국의 호스트까지 연결하여 Home Page 문서를
새로 가져와서 보여준다.
Open Location ...
사용자가 원하는 Uniform Resource Locator(이하 URL)를 지
정하여 특정 페이지를 보여주거나 특정 호스트에 접근하도록 한
다. 이 메뉴를 고른 후에 URL을 위에서 배운 URL을 써 주면 되
는데 실제 예를 <그림 4>에서 보이고 있다. <그림 4>에서 보듯
이 Open Location 메뉴를 클릭한 후에 mailto:kong@adam.kaist.a
c.kr라는 URL을 지정해 준 것이며 다른 URL을 지정하고 싶으면
http://www.yahoo.com/, ftp://cair-archive.kaist.ac.kr/등과 같이
써 주면 된다. 그리고 매번 메뉴를 고를 필요 없이 바로 위에 보
이는 Location 란에다 똑같은 방법으로 써 주면 된다.
그림 파일명 : url.gif
그림 4: netscape을 이용하여 URL을 지정하는 예
Open File ... Dialogue box로 사용자가 파일을 지정하면
그 파일을 열게끔 해준다.
Save As ...
Dialogue box에 나타난 파일을 Text, HTML Source, Postscri
pt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게끔 한다.
Save Next Link As ...
이것을 선택한 다음에 갖고 오는 첫 번째 문서는 화면에 보여
주지 않고 바로 저장하게끔 한다. 이 기능은 단 한 번 동작한다.
다시 이용하려면 또 다시 선택을 해야 한다.
Mail Document ...
사용자가 메일을 특정인에게 보내게 한다. 메일의 본문 형식도
다르게 보낼 수 있다.
Document Information
현재 문서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즉 문서의 URL, title, 문서
를 수정한 최근의 날짜, security status, security key size, serve
r name, issuer name 등을 보여준다.
Print ..
현재 Netscape 페이지의 내용을 프린트한다.
Close
메뉴에서 선택한 윈도만 닫는다. 즉 New Window를 해서 여러
윈도가 스크린 상에 있다면 선택한 윈도만 없애는 것이다.
Exit
지정된 윈도뿐만 아니라 Netscape application까지도 없앤다.
즉 모든 Netscape가 사라지게 된다.
다음은 netscape을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 중에 몇 가지 잘라
두고 싶은 정보가 있을 때 할 수 있는 Edit 메뉴를 살펴보기로
한다.
나. Edit 메뉴
Undo
사용자가 실행한 일을 취소한다.
Cut...
현재 선택한 것을 제거하고 clipboard에 복사본을 둔다.
Copy
현재 선택한 것의 복사본을 clipboard에 둔다.
Paste
clipboard의 내용을 현재의 Netscape 페이지에 올리는 것이다.
Find ...
현재의 Netscape 페이지 내에서 특정한 단어나 구를 찾는다.
Find dialog box에는 Case Sensitive option과 Find Backwards
option이 있다. Case Sensitive option을 선택하면 대문자 소문자
를 구별해서 특정한 단어나 구를 찾는다. Find Backwards option
을 선택하면 선택 막대가 있는 곳에서 페이지의 시작 부분으로
거꾸로 특정한 단어나 구를 찾아가는 것이다.
Find Again
Find를 한 다음에 다른 현재의 Netscape 페이지 내에서 특정한
단어나 구를 찾을 때 Find dialog box를 거치지 않고 바로 찾을
때 사용한다.
다음은 검색하고 있는 WWW 문서를 기술하는 HTML로 기술
된 문서를 보고 싶을 때 쓸 수 있는 View 메뉴에 대해서 살펴보
기로 한다.
다. View 메뉴
Reload
현재의 페이지를 다시 가져오는 것이다. 만약 source가 변경되
었다면 변경된 내용이 수정되어 화면에 나타난다.
Load Images
Options 메뉴에서 Auto Load Images가 선택이 안 되었을 때
현재의 페이지에 images를 보여주게 한다. Auto Load Images가
선택이 안 되었을 때 만약 현재의 페이지에 images가 있다면 작
은 icon이 그림의 자리임을 표시한다.
Refresh
현재의 페이지를 원래 장소로부터 다시 가져오는 것이 아니고
임시로 저장되어 있는 문서를 다시 화면에 보여주는 것이다. 즉
화면 Redraw와 같은 기능이다. 매킨토시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기능이다.
Source...
현재의 페이지의 HTML 소스를 보여준다.
----------------------------------------------------
알아두면 좋은 팁
Open이라는 메뉴와 Reload라는 메뉴가 있는데 Reload는 정말
원래 URL을 다시 뒤져서 가져오는 것이고 OPen은 이미 가져온
것이 저장된 Cache에서 읽어 들이는 것이다. Open은 주로 다른
작업으로 그림이 지워졌거나 할 때 유용하며 Reload는 HTML파
일이 바뀐 경우에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그림 5>를 보면 이해
가 쉬울 것이다.
그림 파일명 : park6.bmp <그림 5> Open과 Reload
----------------------------------------------------
다음은 인간의 사고 과정과 유사하게 링크를 따라 이리저리 움
직일 때 검색자가 길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해주는 다양한 가이드
메뉴인 GO 메뉴를 살펴보자.
띵. GO 메뉴
Back
History list에서 현재 화면으로 출력된 Netscape 페이지의 이
전 페이지로 가게 한다.
Forward
History list에서 현재 화면으로 출력된 Netscape 페이지의 다
음 페이지로 가게 한다. Home
Netscape Home 페이지로 가게 한다. 사용자가 임의로 Home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정된 곳으로 Home이 바뀐다. 이것
은 Preferences 메뉴에서 지정하게끔 되어 있다.
Stop Loading
특정 문서를 현재 가져오고 있을 때 이것을 그만두게 한다.
View History ...
사용자가 보았던 페이지를 최근 것부터 저장해 놓은 것이다.
즉 문서의 발자취를 보여주는 것이다. View History dialog box
는 각 페이지의 tiltle과 URL을 보여준다.
History item1
history list에서의 첫 번째 페이지를 나타낸다.
History item2
history list에서의 두 번째 페이지를 나타낸다.
-----------------------------------------------------------------------------
계속됩니다. (14)번까지...
제 목 : [9510]www가 기가막혀(2)
---------------------------------------------------------------------------
위에서 예시한 7가지 방법들의 공통점을 살펴보자. 먼저 처음
에는 접속할 곳의 접근 방법을 나타낸다. 이는 file(파일을 읽어
들인다), ftp(ftpd 프로토콜과 접속한다), http(httpd 프로토콜과 접
속한다), gopher(gopherd 프로토콜과 접속한다), news(NNTP와
접속한다), telnet(telnetd 프로토콜과 접속한다)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들과 접속이 가능하게 해준다. 그리고 접속방법 다음에
는 ':' 이 오게 된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접속방법에 따라 다양
하게 해석이 된다. 하지만 보통 ':' 다음에는 '//' 이 오게 되고(N
NTP 프로토콜 과 접속하는 경우는 예외) 그 다음에는 접속할 ho
st의 이름이 오게 된다. 좀더 자세히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① File : 이는 지정한 장소의 파일을 읽어 오기 위해서 사용한
다. file://hostname/directory/(filename)의 형태로 위치를 지정하
게 되는데 filename을 안 적어 주면 디렉토리를 보여주게 된다.
예를 들어 file://whereis.it.com/somewhere/target/file/is와 같으며
server가 default로 파일을 설정해 줄 경우 그냥 file://whereis.it.c
om라고 하기만 하면 된다. 이는 모든 url에 대해서 같이 적용될
수 있다.
② FTP :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원격지의 파일을 가져오는
프로토콜로 ftp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보를 가져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ftp://hostname/directory의 형태를 갖게
되며 이렇게 하면 directory에 있는 내용을 보여주게 된다. 예를
들어, ftp://whereis.it.com/somewhere/ resource/existfile 과 같이
파일을 지정하면 그 파일을 가져오게 된다.
③ gopher : gopher는 다양한 정보서버들을 연결시키기 위해 메
뉴화한 시도였는데 gopher://gopher.server.com와 같은 식으로 연
결한다. 한 서버가 여러 개의 gopher server daemon을 띄워 둘
경우는 특별히 port번호를 정해줄 수가 있다. 즉 서버 gopher.ser
ver.com의 8080포트에 떠 있는 daemon으로 연결을 하려면 goph
er://gopher.server.com:8080과 같은 식으로 하면 된다.
④ news : news는 공통된 기호를 가진 사람들 사이에 의견을 교
환하는 장으로 쓰이는 인터네트 서비스이며, HDTV, 이집트 문화
등 다양한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news프로토콜은 NNTP/NNR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구성되며 이들도 url에 포함된다. news의
경우는 news://news.kaist.ac.kr화 같은 식으로 서버를 정할 수 있
으며 특정한 newsgroup을 지칭할 경우 가령 comp.lang.lisp를 지
칭할 경우는 news:comp.lang.lisp와 같은 식으로 하면 된다.
⑤ http : http는 Hyper Text Transport Protocol로써 말 그대로
hyper text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며 www의 경우 이 Url을 가
장 많이 이용한다. http://www.yahoo.com과 같은 식으로 지정하
며 port 번호가 80번이 아닌 경우에는 http://www.yahoo.com:808
0과 같이 지정해서 8080포트로의 연결을 하게 된다. 또 어떤 특
정한 파일을 가리킬 경우(daemon이 access를 허가하는 파일에
대해서)는 http://www.kaist.ac.kr/pub/thisfile.html와 같이 원하는
파일을 지정해 준다.
⑥ telnet : telnet은 원격지의 컴퓨터에 접속하는 명령어이며 teln
et://hostname 또는 telnet://userID@hostname과 같은 형태를 가
지게 된다. 두 번째 형태와 같이 userID를 표시해 주는 경우에는
ID를 안내해 주는 윈도가 하나 뜨게 된다.
⑦ mailto : 인터네트의 가장 보편적인 서비스인 전자 우편을 W
WW에서 그대로 할 수 있는데 mailto:kong@adam.kaist.ac.kr과
같이 해주면 편지 내용을 쓰는 윈도가 뜨고 다 쓰면 kong@ada
m.kaist.ac.kr로 메일이 가게 된다.
정리하면 URL의 포맷은 다음과 같으며 지금까지의 모든 인터네
트 서비스를 지정할 수 있다.
(형식)
프로토콜://로그인이름:패스워드:컴퓨터이름:포트번호/디렉토리
이름/파일이름
(예) http://www.yahoo.com
ftp://mgt.kaist.ac.kr/pub/network/file.hqx
http://www.cern.ch:8080/home.html
gopher://143.248.90.125/doc/captured/news
news://han.comp.www
예를 들어 http://www.yahoo.com/과 같이 지정하면 www.yah
oo.com에 접속하는데 로그인 이름과 패스워드는 필요 없고 프로
토콜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로 즉 뒤의 포트 번호 지
정이 없다면 80번 포트(구멍)로 접속한다는 이야기이며 액세스하
는 디렉토리와 파일 이름은 www.yahoo.com에서 지정한 곳으로
가게 한다는 뜻이다. 다른 예로 ftp://whereis.it.com/somewhere/
과 같이 지정하면 whereis.it.com라는 컴퓨터로 f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whereis.it.com에서 미리 지정하고 있는 디렉토리에서
밑으로 somewhere/에 있는 파일들을 가져오라는 의미를 가진다.
프로토콜로 가능한 것으로는 다음과 같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ftp: file transfer protocol
file: file transfer protocol
gopher: The gopher protocol
mailto: electronic mail address
mid: message identifiers for electronic mail
cid: content identifiers for MIME body part
news: USENET news
nntp: USENET news for local NNTP access only
prospero: access using the prospero protocol
telnet: access to interactive sessions
wais: wide area information servers
이러한 URL의 개념 (즉 인터네트에 물려 있는 모든 호스트에
있는 파일을 URL 하나로 모두 참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한
디렉토리 내에서 파일 이름이 유일하듯이 URL 이라는 것은 인터
네트의 모든 오브직트들에 관하여 유일한 것이 된다)은 WWW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File 메뉴에 대해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New Window
똑같은 history item을 가진 새로운 윈도를 만든다. 이때 HOm
e Page가 있는 미국의 호스트까지 연결하여 Home Page 문서를
새로 가져와서 보여준다.
Open Location ...
사용자가 원하는 Uniform Resource Locator(이하 URL)를 지
정하여 특정 페이지를 보여주거나 특정 호스트에 접근하도록 한
다. 이 메뉴를 고른 후에 URL을 위에서 배운 URL을 써 주면 되
는데 실제 예를 <그림 4>에서 보이고 있다. <그림 4>에서 보듯
이 Open Location 메뉴를 클릭한 후에 mailto:kong@adam.kaist.a
c.kr라는 URL을 지정해 준 것이며 다른 URL을 지정하고 싶으면
http://www.yahoo.com/, ftp://cair-archive.kaist.ac.kr/등과 같이
써 주면 된다. 그리고 매번 메뉴를 고를 필요 없이 바로 위에 보
이는 Location 란에다 똑같은 방법으로 써 주면 된다.
그림 파일명 : url.gif
그림 4: netscape을 이용하여 URL을 지정하는 예
Open File ... Dialogue box로 사용자가 파일을 지정하면
그 파일을 열게끔 해준다.
Save As ...
Dialogue box에 나타난 파일을 Text, HTML Source, Postscri
pt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게끔 한다.
Save Next Link As ...
이것을 선택한 다음에 갖고 오는 첫 번째 문서는 화면에 보여
주지 않고 바로 저장하게끔 한다. 이 기능은 단 한 번 동작한다.
다시 이용하려면 또 다시 선택을 해야 한다.
Mail Document ...
사용자가 메일을 특정인에게 보내게 한다. 메일의 본문 형식도
다르게 보낼 수 있다.
Document Information
현재 문서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즉 문서의 URL, title, 문서
를 수정한 최근의 날짜, security status, security key size, serve
r name, issuer name 등을 보여준다.
Print ..
현재 Netscape 페이지의 내용을 프린트한다.
Close
메뉴에서 선택한 윈도만 닫는다. 즉 New Window를 해서 여러
윈도가 스크린 상에 있다면 선택한 윈도만 없애는 것이다.
Exit
지정된 윈도뿐만 아니라 Netscape application까지도 없앤다.
즉 모든 Netscape가 사라지게 된다.
다음은 netscape을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 중에 몇 가지 잘라
두고 싶은 정보가 있을 때 할 수 있는 Edit 메뉴를 살펴보기로
한다.
나. Edit 메뉴
Undo
사용자가 실행한 일을 취소한다.
Cut...
현재 선택한 것을 제거하고 clipboard에 복사본을 둔다.
Copy
현재 선택한 것의 복사본을 clipboard에 둔다.
Paste
clipboard의 내용을 현재의 Netscape 페이지에 올리는 것이다.
Find ...
현재의 Netscape 페이지 내에서 특정한 단어나 구를 찾는다.
Find dialog box에는 Case Sensitive option과 Find Backwards
option이 있다. Case Sensitive option을 선택하면 대문자 소문자
를 구별해서 특정한 단어나 구를 찾는다. Find Backwards option
을 선택하면 선택 막대가 있는 곳에서 페이지의 시작 부분으로
거꾸로 특정한 단어나 구를 찾아가는 것이다.
Find Again
Find를 한 다음에 다른 현재의 Netscape 페이지 내에서 특정한
단어나 구를 찾을 때 Find dialog box를 거치지 않고 바로 찾을
때 사용한다.
다음은 검색하고 있는 WWW 문서를 기술하는 HTML로 기술
된 문서를 보고 싶을 때 쓸 수 있는 View 메뉴에 대해서 살펴보
기로 한다.
다. View 메뉴
Reload
현재의 페이지를 다시 가져오는 것이다. 만약 source가 변경되
었다면 변경된 내용이 수정되어 화면에 나타난다.
Load Images
Options 메뉴에서 Auto Load Images가 선택이 안 되었을 때
현재의 페이지에 images를 보여주게 한다. Auto Load Images가
선택이 안 되었을 때 만약 현재의 페이지에 images가 있다면 작
은 icon이 그림의 자리임을 표시한다.
Refresh
현재의 페이지를 원래 장소로부터 다시 가져오는 것이 아니고
임시로 저장되어 있는 문서를 다시 화면에 보여주는 것이다. 즉
화면 Redraw와 같은 기능이다. 매킨토시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기능이다.
Source...
현재의 페이지의 HTML 소스를 보여준다.
----------------------------------------------------
알아두면 좋은 팁
Open이라는 메뉴와 Reload라는 메뉴가 있는데 Reload는 정말
원래 URL을 다시 뒤져서 가져오는 것이고 OPen은 이미 가져온
것이 저장된 Cache에서 읽어 들이는 것이다. Open은 주로 다른
작업으로 그림이 지워졌거나 할 때 유용하며 Reload는 HTML파
일이 바뀐 경우에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그림 5>를 보면 이해
가 쉬울 것이다.
그림 파일명 : park6.bmp <그림 5> Open과 Reload
----------------------------------------------------
다음은 인간의 사고 과정과 유사하게 링크를 따라 이리저리 움
직일 때 검색자가 길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해주는 다양한 가이드
메뉴인 GO 메뉴를 살펴보자.
띵. GO 메뉴
Back
History list에서 현재 화면으로 출력된 Netscape 페이지의 이
전 페이지로 가게 한다.
Forward
History list에서 현재 화면으로 출력된 Netscape 페이지의 다
음 페이지로 가게 한다. Home
Netscape Home 페이지로 가게 한다. 사용자가 임의로 Home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정된 곳으로 Home이 바뀐다. 이것
은 Preferences 메뉴에서 지정하게끔 되어 있다.
Stop Loading
특정 문서를 현재 가져오고 있을 때 이것을 그만두게 한다.
View History ...
사용자가 보았던 페이지를 최근 것부터 저장해 놓은 것이다.
즉 문서의 발자취를 보여주는 것이다. View History dialog box
는 각 페이지의 tiltle과 URL을 보여준다.
History item1
history list에서의 첫 번째 페이지를 나타낸다.
History item2
history list에서의 두 번째 페이지를 나타낸다.
-----------------------------------------------------------------------------
계속됩니다. (14)번까지...
'내발자국[동호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 WWW 이 기가 막혀! (3) (0) | 1996.03.17 |
---|---|
Happy Birthday To Wordservser ! (0) | 1996.03.17 |
[기사] WWW 이 기가 막혀! (1) (0) | 1996.03.17 |
[하이텔] 계정용량 `슬그머니(?)` 바뀌어. (0) | 1996.03.17 |
[어린이] 인터넷으로 영어를 배우자! (0) | 1996.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