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松巖
어떠한 일이 있어도 꿈과 용기를 잃지 말자! 그래, 네 꿈을 펼쳐라.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Tag

1996. 6. 26. 06:26 내발자국[동호회]
<> 게 시 일 : 96/05/06 <> 번 호 : 73 <> 게시자 : 허창영 (escargo)
<> 제 목 : 필수 윈속 어플리케이션(3)
<> 내 용 :

Archie 클라이언트
WsArchie

FTP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것이 archie일 것이다.
archie란 전세계의 수없이 많은 FTP 서버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담고
있는 셈틀(archie 서버라 한다)에서 자신이 원하는 파일의 위치(즉 담고
있는 FTP 서버와 디렉토리명 등)를 찾아 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에게 필요한 파일을 찾기 위해서는 필히 수행해야 하는 작업 중의
하나가 이 archie라는 데에는 두말할 나위가 없다.

위에서 말한 이러한 목록을 담고 있는 Archie 서버는 전세계적으로 몇
개가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두 개의 archie 서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나는 서강대에 있는 것으로 archie.sogang.ac.kr라 하고, 또다른
하나는 코넷에 있는 것으로 archie.kornet.nm.kr이다. archie를 하는
데는 보통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첫번째는 telnet을 이용해 직접
archie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다.

보다 효과적이면서 archie 서버의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는 두 번째
방법은 바로 Archie 클라이언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곳에서 설명할
wsarchie는 그 중에서도 윈도우 3.1 의 윈속 환경에서 작동되는 archie
클라이언트이다. 이 풀그림은 archie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 없이도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고, 검색 결과에서 바로 FTP 클라이언트를 작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인터넷 상에서 자료를 찾는 사람들에게는 꼭
필요한 풀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세계의 여러 archie 서버가
등록되어 있어 여러 서버들에 조회하기 때문에 자신이 찾는 파일을 찾을
가능성이 더 높다.

구할 수 있는 곳

이 풀그림은 심텔(SIMTEL), Winsock-l 등의 유명한 FTP 사이트에서
구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wsarchie 0.8a 버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치하기

설치 및 실행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자. 압축 파일을 풀면
wsarchie.exe라는 풀그림이 생기는데, 이 풀그림을 프로그램관리자에서
등록한 후 더블클릭하면 바로 실행된다.

<> archie.sogang.ac.kr에 ws_ftp라는 풀그림을 검색한
결과

사용하기

그림은 이 풀그림으로 archie.sogang.ac.kr에 ws_ftp라는 풀그림을
검색한 결과이다. Search for에 자신이 찾는 풀그림의 이름을 넣어
준다. Archie Server는 되도록이면 자신에게서 가까운 것이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한국에 있는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도메인(Domain)은
자신이 찾는 풀그림의 검색 결과 중 특정한 도메인에 있는 것만 나타내게
하고 싶을 때 적어 준다. 옆에 있는 Check box는 자신이 찾고 있는
문자에 대한 옵션 설정이다.

이제 준비가 되었으면 search를 눌러 준다. 그러면 얼마 간의 시간이
지난 후 밑에 검색결과가 나타난다. 호스트, 디렉토리, 파일 등의
정보와 그 밑에는 그 파일의 정보가 나타나 있다. 후에 얘기하겠지만
이제 Options/FTP setup 을 제대로 한 이후라면 하나를 골라
더블클릭하면 Ws_FTP과 같은 FTP 클라이언트가 뜨면서 전송을 받게 된다.

<> FTP Setup 화면

Options/FTP Setup은 그림과 같이 한다. 디렉토리는
c:\internet\wsftp\.와 같이 자신의 FTP 클라이언트가 있는 디렉토리를
적어 주고 .(comma)를 찍어 주면 된다. 패스워드는 자신의 전자메일
주소를 써 주면 된다. 이와 같이 해 준 후 archie 검색 결과 중 하나를
더블클릭하면 Ws_FTP이 떠서 백그라운드로 이 파일을 받아 준다.


>> Telnet 풀그림 <<
Winterm

뭐니뭐니해도 인터넷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telnet일 것이다.
아무리 WWW가 많아지고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인터넷 서비스들이 telnet에 의지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수많은 telnet 풀그림이 있는데, 인터넷이 영어이다
보니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 telnet 클라이언트가 많다. 대부분의 윈속용
응용 풀그림 분야에서 한국 프로그래머들의 활동이 부진하나, 이 telnet
클라이언트 분야에서 우리나라 윤영선(나우누리 아이디 ysyun) 씨가 만든
Winterm은 상용으로 팔고 있는 다른 어떤 소프트웨어와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 좋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1.0.7c 버전이 나와
있다.


장점
Winterm은 모뎀과 윈속을 같이 사용할 수 있고, 한글윈도우나 영문
윈도우 + 한메한글에서 로 한/영 전환이 되어
편리하고, 다중 접속을 허용하고, telnet과 rlogin을 지원한다. 특히
크기가 작아서 넷스케이프 같은 웹브라우저의 telnet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물론 상용으로 나오는 CommNet이나 Neterm 같이 telnet 이 zmodem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zmodem 다운로드를 가능하게 하는 화려한 기능은
없지만, 가장 추천하고 싶은 telnet 클라이언트라고 말할 수 있다.

<> 실행하면 telnet을 이용할 목록이 나타난다.

실행하기
윈속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처음에 시작하면 그림과 같이 나타난다.
원하는 호스트 이름을 적어 주고 telnet이나 rlogi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접속한다. 이때 모뎀으로 접속하기를 원한다면 cancel을 누르고 다음에
나오는 물음에서 풀그림을 끝내지 않으면 화면이 뜨게 되는데, 이때
settings/connection에서 모뎀을 설정해 주면 된다.

<< winterm2.tif>> 접속 화면

Action - New Host : 새로운 호스트로 연결 시도
Same Host : 현재의 호스트로 한번 더 연결
Text Upload : 자신이 작성한 텍스트 파일을 업로드
Capture : 화면 및 코드 갈무리 기능

Settings - Erase : 지우기 문자 지정
Connection : 모뎀 및 TCP/IP 네트워크 설정
Screen : 화면 색깔, 폰트 등 지정

Chat : 이야기에서의 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대화창을 사용할


━━━━━━━━━━━━━━━━━━━━━━━━━━━━━━━━━━━━━━
안전하고 편리한 인터넷 항해는 GO IUG 인터넷 유저 그룹에서 출발합니다!
GO IUG GO IUG GO IUG GO IUG GO IUG GO IUG GO IUG GO IUG
━━━━━━━━━━━━━━━━━━━━━━━━━━━━━━━━━━━━━━
E-Mail: LEESUN2@hitel.kol.co.kr

posted by 松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