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 6. 27. 15:06
내발자국[동호회]
<> 게시일 : 95/11/06 <> 번 호 : 2 <> 게시자 : 안종석 (hilt)
<> 제 목 : 트럼펫윈속 설치하는방법
<> 내 용 :
Trumpet Winsock 설치방법
SLIP/PPP를 직접 연결하든, 아니면 TIA, TwinSock, RemSock, SlipKnot
등을 통해서 유사 SLIP 환경을 만들든 간에 일단 호스트 컴퓨터와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이제는 TCP/IP 스택을 구성해야 한다. 그래야만 텔넷,
FTP, 전자메일, 그리고 각종 Web 브라우저 등이 구동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트럼펫(Trumpet)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PC용 TCP/IP 스택
(Stack) 프로그램입니다. 이것은 쉐어웨어(Shareware)로서 어디서든 구할
수 있지만, 30일 간의 시험 사용 기간이 후에도 계속 사용하려면 25달러를
지불해야합니다.
트럼펫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성입니다. 자신의 PC가 LAN을 통해 인터넷
호스트에 연결되어 있는 학교나 기업체와 같은 곳에서도 설치할 수 있고,
또 전화선을 통해 SLIP이나 PPP 프로토콜로 인터넷 호스트에 연결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단 트럼펫이 설치되면, 자신의 PC가 LAN
케이블을 통해서건 전화선을 통해서건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면 인터넷의 거의 모든 기능을 다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는 것입니다.
우선 할 일은 트럼펫 프로그램을 구하는 것입니다. 천리안이나 나우누리,
하이텔 등의 인터넷과 관련된 동호회 등에 가면 트럼펫을 비롯해 인터넷
연결과 관련된 여러 가지 다른 자료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구할 수 있는 트럼펫의 최신 버전은 2.0입니다. 이것은 1994년
말경에 버전업된 것인데, 이전까지는 SLIP만 구현되고 PPP 기능은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2.0 버전에서는 PPP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트럼펫 2.0 버전의 파일명은 twsk20b.zip이며, 압축을 풀었을 때 생성되는
파일 가운데 꼭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winsock.dll ☜ TCP/IP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tcpman.exe ☜ 윈도우즈 소켓을 제어하는 실행 프로그램
hosts ☜ 호스트 컴퓨터의 목록
services ☜ 인터넷 서비스의 목록
protocol ☜ 프로토콜의 목록
적당한 디렉토리를 하나 만들어 twsk20b.zip 파일의 압축을 풀고 위의
화일만 남깁니다. 그 다음에는 윈도우즈 상에서 tcpman.exe 화일을
실행시켜서 셋업(Setup)을 할 차례입니다. 메뉴바의 'File' 항목을선택한
다음 'Setup' 항목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셋업 윈도우가 나타납니다.
·IP address : TCP/IP를 통해 연결되는 모든 컴퓨터에는 IP 어드레스가
필요합니다. SLIP/PPP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긴 하지만,
실제로는 별 의미가 없습니다. 그래서 그냥 0.0.0.0으로 쓰기만 해도
됩니다. 특히 PPP 방식을 사용해서 연결할 때는 이 항목은 그대로
무시되므로 그저 0.0.0.0으로 메워 넣도록 합니다.
·Name server : 연결하고자 하는 호스트 컴퓨터의 이름을 oak.oakland.edu
등과 같이 문자열로 주었을 때 이것을 141.210.10.117이라는 어드레스로
변환해야 합니다. 네임 서버는 이 일을 해 주는 호스트 컴퓨터로서
사용자가 접속한 호스트 컴퓨터는 이 네임 서버(또는 DNS, 즉 Domain Name
Server)를 통해 실제 주소를 얻습니다. 네임 서버의 주소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마다 다르므로 주의하세요.
·Time server : 이것은 쓸 필요 없으니 빈 칸으로 내버려둡니다
·Domain suffix : 이것도 사실상 쓰지 않습니다.
·MTU : 256으로 입력합니다.
·TCP RWIN : 2048로 입력합니다. SLIP일 경우 848 권장 합니다.
·TCP MSS TCP : 212로 입력합니다.
·Internal SLIP, Internal PPP : 연결하는 서비스에서 SLIP을 지원하는지
아니면 PPP를 지원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둘중 하나를 지정하면 됩니다.
TIA나 TwinSock과 같은 유사 SLIP을 이용한다면 당연히 SLIP 항목을
지정해야 합니다.
·SLIP port : 사용하는 모뎀의 COM 포트 번호입니다. 윈도우즈에서 설정한
값과 일치해야 합니다.
·baud rate : 컴퓨터와 모뎀 간의 전송속도로, 115200bps까지 지원됩니다.
사용하는 컴퓨터에게 맞는 값을 적어 넣도록 합니다. 14400bps 모뎀이라면
57600을, 28800bps 모뎀이라면 115200으로 설정하는게 바람직합니다.
·hardware handshake : 이 항목은 반드시 설정되어야 합니다.
·Van Jacobson CSLIP Compression : 표준적인 SLIP 방식에서는 데이터
압축을 하지 않지만, CSLIP 방식에서는 데이터 압축을 통해 더 빠른 전송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하지만 보통은 CSLIP이 지원되지 않으므로
이것을 체크할 필요는 없습니다.
·Online Status Detection : None으로 설정해도 문제없이 동작합니다.
DCD난이 DSR난으로 설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모뎀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지
않을 때는 그냥 None으로 놓아둡니다.
이상과 같이 모두 설정했으면 이제 OK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설정한
값이 trumpwsk.ini 라는 파일로 저장됩니다. 나중에 트럼펫을 다시
셋업하고 싶을 때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tcpman.exe를 실행시켜서
셋업해도 되고, trumpwsk.ini 파일을 텍스트 에디터로 수정해도 됩니다.
처음으로 셋업을 했거나 아니면 나중에 다시 수정했다면 tcpman프로그램에서
빠져 나와서 다시 수행시켜야 합니다.
그래야 셋업한 내용이 프로그램에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다시 tcpman
프로그램을 수행시키면 셋업한 내용이 윈도우 안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는 실제로 인터넷 호스트 컴퓨터와 연결을 해 볼 차례입니다. tcpman
프로그램에는 자동 스크립트 기능이 있어서 전화걸기에서 로긴(login)까지의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시킬 수있지만, 여기서는 수동으로 해 봅니다.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tcpman의 메뉴바에서 'Dialer'를 선택 하고 풀다운
메뉴에서 'Manual login'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Slip Disabled'라는
메시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됩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tcpman 프로그램을 처음 실행시킬 때는
디폴트(default)로 SLIP 가능한 상태로 실행됩니다는 점입니다.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모뎀을 통해 명령을 내려야 하므로 SLIP 모드에서
모뎀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로 빠져 나와야 하는 것입니다.
이제 atdt 명령과 전화번호를 입력해서 전화를 겁니다.
접속이 되고 나면 자신의 로긴 어카운트와 패스워드를 입력해서 유닉스
쉘 상태로 들어가거나 메뉴 화면이 됩니다. 만약 TIA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쉘 상태에서 Nowcom의 SLIP/PPP 회선에서라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진행될 것 입니다.
atdt 508-7100
connected 14400/V.42bis
Login: pppuser
Passwd:
[1] NuriNet >
그 다음에 자신의 설정에 맞게 SLIP 또는 PPP라고 입력하고 나서
키를 입력하면 곧'SLIP Enabled' 혹은 'PPP Enabled'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이후부터는 어떤 윈소켓 프로그램도 모두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쉽게 테스트하는 방법은 네트스케이프를 실행하는 것입니다.
아무런 설정 변경도 없이 일단은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tcpman 프로그램을 통해서 유닉스의 쉘로 완전한 연결이 이루어지면,
인터넷이 제공하는 거의대부분의 기능을 쓸 수 있습니다. 이런 기능들은
텔넷, FTP, 전자메일 등의 기능은 물론 기본이고, 모자이크와 네트스케이프
등의 WWW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진 것만 해도 WinQVT,
WS_FTP, WinPing, Eudora, Agent등 수십 가지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TCP/IP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수행됩니다.
tcpman 프로그램은 SLIP/PPP 연결 방식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이 마치 인터넷
호스트에서 직접 사용하고 있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이런 환경을 TCP/IP 스택이라고 합니다.
텔넷, FTP, 전자메일 등 세 가지 기능을 한꺼번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WinQVT가 있습니다. trumpet이 PC용의 TCP/IP 스택 환경 구축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라고 한다면, WinQVT는 PC용의 TCP/IP 응용
프로그램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중 하나라고 하겠습니다.
<> 게 시 일 : 95/11/06 <> 번 호 : 3 <> 게시자 : EFWWW (efwww)
<> 제 목 : [trumpet winsock]종석님의 글에 이어서..
<> 내 용 :
안녕하세요.
종석님의 글 잘 봤습니다.
차분하고 자세한 설명이 많이 도움이 되겠군요.
종석님에게 박수를...
누리넷의 경우를 들어 설명을 하셨네요.
종석님의 글 중에서 주의 하셔야 할 점을 잠깐 말씀 드리지요.
1. 트럼펫 윈속의 최신버젼..
최신 버젼이 꼭 좋은건 아님니다만, 제가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
으로 쓰고 있는 버젼은 2.1f 입니다.
2.설치시 주의..
적당한 디렉토리에 압축을 풀고 설치를 하면 됩니다만..
물론 별 문제 없습니다. 그러나..
AUTOEXEC.BAT 화일에 설치되어 있는 디렉토리와 화일 이름ㅇ르
명시 해 주는것이 좋습니다.
흔히 사용중에 정의 되지 않은 링크를 호출했다거나, 윈소 어플리
케이션의 에러 메세지를 예방하게 됩니다.
3. Setup 시 주의..
MTU 값은 대부분의 호스트 쪽이 1500이 디폴트로 되어있습니다.
속도면에서의 효율을 원하시면 처음엔 1500 정도로 잡아주시고..
사용중에 이상이 생기면..
MTU 와 MRU 값을 552 정도로 줄여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참 !1 빼먹을 뻔 했군요.
IP Address를 0.0.0.0 으로 잡아주시는것이 맞습니다만, 이건
PPP 이용시의 경우이구요. slip 사용시에는 호스트에서 받은
그러니까 slip접속시 받은 IP Address 로 다시 바꿔 줘야 합니다.
지나가다 들렸습니다.
그럼..
<> 제 목 : 트럼펫윈속 설치하는방법
<> 내 용 :
Trumpet Winsock 설치방법
SLIP/PPP를 직접 연결하든, 아니면 TIA, TwinSock, RemSock, SlipKnot
등을 통해서 유사 SLIP 환경을 만들든 간에 일단 호스트 컴퓨터와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이제는 TCP/IP 스택을 구성해야 한다. 그래야만 텔넷,
FTP, 전자메일, 그리고 각종 Web 브라우저 등이 구동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트럼펫(Trumpet)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PC용 TCP/IP 스택
(Stack) 프로그램입니다. 이것은 쉐어웨어(Shareware)로서 어디서든 구할
수 있지만, 30일 간의 시험 사용 기간이 후에도 계속 사용하려면 25달러를
지불해야합니다.
트럼펫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성입니다. 자신의 PC가 LAN을 통해 인터넷
호스트에 연결되어 있는 학교나 기업체와 같은 곳에서도 설치할 수 있고,
또 전화선을 통해 SLIP이나 PPP 프로토콜로 인터넷 호스트에 연결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단 트럼펫이 설치되면, 자신의 PC가 LAN
케이블을 통해서건 전화선을 통해서건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면 인터넷의 거의 모든 기능을 다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는 것입니다.
우선 할 일은 트럼펫 프로그램을 구하는 것입니다. 천리안이나 나우누리,
하이텔 등의 인터넷과 관련된 동호회 등에 가면 트럼펫을 비롯해 인터넷
연결과 관련된 여러 가지 다른 자료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구할 수 있는 트럼펫의 최신 버전은 2.0입니다. 이것은 1994년
말경에 버전업된 것인데, 이전까지는 SLIP만 구현되고 PPP 기능은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2.0 버전에서는 PPP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트럼펫 2.0 버전의 파일명은 twsk20b.zip이며, 압축을 풀었을 때 생성되는
파일 가운데 꼭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winsock.dll ☜ TCP/IP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tcpman.exe ☜ 윈도우즈 소켓을 제어하는 실행 프로그램
hosts ☜ 호스트 컴퓨터의 목록
services ☜ 인터넷 서비스의 목록
protocol ☜ 프로토콜의 목록
적당한 디렉토리를 하나 만들어 twsk20b.zip 파일의 압축을 풀고 위의
화일만 남깁니다. 그 다음에는 윈도우즈 상에서 tcpman.exe 화일을
실행시켜서 셋업(Setup)을 할 차례입니다. 메뉴바의 'File' 항목을선택한
다음 'Setup' 항목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셋업 윈도우가 나타납니다.
·IP address : TCP/IP를 통해 연결되는 모든 컴퓨터에는 IP 어드레스가
필요합니다. SLIP/PPP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긴 하지만,
실제로는 별 의미가 없습니다. 그래서 그냥 0.0.0.0으로 쓰기만 해도
됩니다. 특히 PPP 방식을 사용해서 연결할 때는 이 항목은 그대로
무시되므로 그저 0.0.0.0으로 메워 넣도록 합니다.
·Name server : 연결하고자 하는 호스트 컴퓨터의 이름을 oak.oakland.edu
등과 같이 문자열로 주었을 때 이것을 141.210.10.117이라는 어드레스로
변환해야 합니다. 네임 서버는 이 일을 해 주는 호스트 컴퓨터로서
사용자가 접속한 호스트 컴퓨터는 이 네임 서버(또는 DNS, 즉 Domain Name
Server)를 통해 실제 주소를 얻습니다. 네임 서버의 주소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마다 다르므로 주의하세요.
·Time server : 이것은 쓸 필요 없으니 빈 칸으로 내버려둡니다
·Domain suffix : 이것도 사실상 쓰지 않습니다.
·MTU : 256으로 입력합니다.
·TCP RWIN : 2048로 입력합니다. SLIP일 경우 848 권장 합니다.
·TCP MSS TCP : 212로 입력합니다.
·Internal SLIP, Internal PPP : 연결하는 서비스에서 SLIP을 지원하는지
아니면 PPP를 지원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둘중 하나를 지정하면 됩니다.
TIA나 TwinSock과 같은 유사 SLIP을 이용한다면 당연히 SLIP 항목을
지정해야 합니다.
·SLIP port : 사용하는 모뎀의 COM 포트 번호입니다. 윈도우즈에서 설정한
값과 일치해야 합니다.
·baud rate : 컴퓨터와 모뎀 간의 전송속도로, 115200bps까지 지원됩니다.
사용하는 컴퓨터에게 맞는 값을 적어 넣도록 합니다. 14400bps 모뎀이라면
57600을, 28800bps 모뎀이라면 115200으로 설정하는게 바람직합니다.
·hardware handshake : 이 항목은 반드시 설정되어야 합니다.
·Van Jacobson CSLIP Compression : 표준적인 SLIP 방식에서는 데이터
압축을 하지 않지만, CSLIP 방식에서는 데이터 압축을 통해 더 빠른 전송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하지만 보통은 CSLIP이 지원되지 않으므로
이것을 체크할 필요는 없습니다.
·Online Status Detection : None으로 설정해도 문제없이 동작합니다.
DCD난이 DSR난으로 설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모뎀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지
않을 때는 그냥 None으로 놓아둡니다.
이상과 같이 모두 설정했으면 이제 OK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설정한
값이 trumpwsk.ini 라는 파일로 저장됩니다. 나중에 트럼펫을 다시
셋업하고 싶을 때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tcpman.exe를 실행시켜서
셋업해도 되고, trumpwsk.ini 파일을 텍스트 에디터로 수정해도 됩니다.
처음으로 셋업을 했거나 아니면 나중에 다시 수정했다면 tcpman프로그램에서
빠져 나와서 다시 수행시켜야 합니다.
그래야 셋업한 내용이 프로그램에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다시 tcpman
프로그램을 수행시키면 셋업한 내용이 윈도우 안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는 실제로 인터넷 호스트 컴퓨터와 연결을 해 볼 차례입니다. tcpman
프로그램에는 자동 스크립트 기능이 있어서 전화걸기에서 로긴(login)까지의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시킬 수있지만, 여기서는 수동으로 해 봅니다.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tcpman의 메뉴바에서 'Dialer'를 선택 하고 풀다운
메뉴에서 'Manual login'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Slip Disabled'라는
메시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됩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tcpman 프로그램을 처음 실행시킬 때는
디폴트(default)로 SLIP 가능한 상태로 실행됩니다는 점입니다.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모뎀을 통해 명령을 내려야 하므로 SLIP 모드에서
모뎀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로 빠져 나와야 하는 것입니다.
이제 atdt 명령과 전화번호를 입력해서 전화를 겁니다.
접속이 되고 나면 자신의 로긴 어카운트와 패스워드를 입력해서 유닉스
쉘 상태로 들어가거나 메뉴 화면이 됩니다. 만약 TIA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쉘 상태에서 Nowcom의 SLIP/PPP 회선에서라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진행될 것 입니다.
atdt 508-7100
connected 14400/V.42bis
Login: pppuser
Passwd:
[1] NuriNet >
그 다음에 자신의 설정에 맞게 SLIP 또는 PPP라고 입력하고 나서
나옵니다. 이후부터는 어떤 윈소켓 프로그램도 모두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쉽게 테스트하는 방법은 네트스케이프를 실행하는 것입니다.
아무런 설정 변경도 없이 일단은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tcpman 프로그램을 통해서 유닉스의 쉘로 완전한 연결이 이루어지면,
인터넷이 제공하는 거의대부분의 기능을 쓸 수 있습니다. 이런 기능들은
텔넷, FTP, 전자메일 등의 기능은 물론 기본이고, 모자이크와 네트스케이프
등의 WWW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진 것만 해도 WinQVT,
WS_FTP, WinPing, Eudora, Agent등 수십 가지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TCP/IP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수행됩니다.
tcpman 프로그램은 SLIP/PPP 연결 방식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이 마치 인터넷
호스트에서 직접 사용하고 있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이런 환경을 TCP/IP 스택이라고 합니다.
텔넷, FTP, 전자메일 등 세 가지 기능을 한꺼번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WinQVT가 있습니다. trumpet이 PC용의 TCP/IP 스택 환경 구축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라고 한다면, WinQVT는 PC용의 TCP/IP 응용
프로그램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중 하나라고 하겠습니다.
<> 게 시 일 : 95/11/06 <> 번 호 : 3 <> 게시자 : EFWWW (efwww)
<> 제 목 : [trumpet winsock]종석님의 글에 이어서..
<> 내 용 :
안녕하세요.
종석님의 글 잘 봤습니다.
차분하고 자세한 설명이 많이 도움이 되겠군요.
종석님에게 박수를...
누리넷의 경우를 들어 설명을 하셨네요.
종석님의 글 중에서 주의 하셔야 할 점을 잠깐 말씀 드리지요.
1. 트럼펫 윈속의 최신버젼..
최신 버젼이 꼭 좋은건 아님니다만, 제가 지금까지 가장 안정적
으로 쓰고 있는 버젼은 2.1f 입니다.
2.설치시 주의..
적당한 디렉토리에 압축을 풀고 설치를 하면 됩니다만..
물론 별 문제 없습니다. 그러나..
AUTOEXEC.BAT 화일에 설치되어 있는 디렉토리와 화일 이름ㅇ르
명시 해 주는것이 좋습니다.
흔히 사용중에 정의 되지 않은 링크를 호출했다거나, 윈소 어플리
케이션의 에러 메세지를 예방하게 됩니다.
3. Setup 시 주의..
MTU 값은 대부분의 호스트 쪽이 1500이 디폴트로 되어있습니다.
속도면에서의 효율을 원하시면 처음엔 1500 정도로 잡아주시고..
사용중에 이상이 생기면..
MTU 와 MRU 값을 552 정도로 줄여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참 !1 빼먹을 뻔 했군요.
IP Address를 0.0.0.0 으로 잡아주시는것이 맞습니다만, 이건
PPP 이용시의 경우이구요. slip 사용시에는 호스트에서 받은
그러니까 slip접속시 받은 IP Address 로 다시 바꿔 줘야 합니다.
지나가다 들렸습니다.
그럼..
'내발자국[동호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IL] Eudora 유도라 메일러 설치방법 (0) | 1996.06.27 |
---|---|
[WSOCK] 트럼펫윈속, 한달에 한번 귀찮죠? (0) | 1996.06.27 |
Real-Audio 웹에서 소리를 들어요. (0) | 1996.06.27 |
[TIPS] ztelnet 으로 화일다운로드 (0) | 1996.06.27 |
[TIPS] ftp 에서 텍스트 화일 보기 (0) | 1996.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