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松巖
어떠한 일이 있어도 꿈과 용기를 잃지 말자! 그래, 네 꿈을 펼쳐라.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Tag

1996. 5. 19. 06:20 내발자국[동호회]
■안녕하세요?
단말기에 인터넷맹 이경이어요.
다행히 제가 쬐금 아는 질문이라서 올릴께요.
==========================================================================
◆IP No.
인터넷에 직접 연결된 주인컴퓨터와 네트워크에는 각기 고유한 번호를 갖습니다.
이를 보통 IP Address 또는 Host-Port No. 라고 합니다. 숫자로 표현되며 마치
전화번호와 비교됩니다. 즉 이 번호는 각기 그 컴퓨터에 고유한 것입니다.
하이텔인터넷의 시스템에도 고유한 번호가 있습니다.(뭐더라?)

◆DNS (도메인주소)
그러나 이는 기계적인 해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사람이 일일이 기억하고
사용하기는 어렵지요.(번호니까.헤깔리자녀요.) 그래서 번호에 영문으로 일정한
규칙으로 지역(나라)별,그룹별,시스템별로 구분하여 목록화한 것이 있습니다.
이것이 DNS(도메인주소)라는 것이죠. 이것을 보면 그 컴퓨터가 어느 나라,무슨
네트웍,무슨 이름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한것입니다.
그런데 이 도메인주소는 네트웍 인포메이션 센터(NIC)라는 곳에서 승인을 하여
사용합니다. 이 도메인의 나라별,그룹별 명칭부여에 대해서는 다음표를 보아주
세요.(인터넷이 미국 주도이므로 미국계에 직접 연결되거나 그렇게 승인된 것은
나라표시를 생략합니다.)

[표1.1] 미국중심의 도메인(기관분류)
--------------------------------------------------------------------------
도메인 설 명 ( 분 류 방 식 )
--------------------------------------------------------------------------
mil 군사기관
gov 국가기관
com 상업적 회사
edu 학교와 대학
org 일반기관 등
net 인터넷 관리 그룹 또는 회사
---------------------------------------------------------------------------

[표1.2] 한국의 도메인(기관분류)
---------------------------------------------------------------------------
ac 교육기관,교육계 연구기관
co 기업체,기업체 연구기관
go 정부부처,정부부처 연구기관
nm 네트웍 운영기관
re 연구기관
or 기타 기관
----------------------------------------------------------------------------

[표1.3] 나라별 최상위 레벨의 도메인 예
(미국 및 따로 승인된 레벨은 생략)
------------------------------------------
도메인 나라
------------------------------------------
kr 한국
jp 왜
au 오스트레일리아
ca 카나다
br 브라질(영국 아님)
cn 중화인민공화국
dk 덴마크
fr 프랑스
de 독일
gb 영국
-------------------------------------------
도메인주소는 한번 승인되면 변경이 되지 않지만,위의 IP주소 즉 번호는 수시로
변경을 할 수 있습니다.

◆계정과 인터넷 메일주소
이제 계정에 대해서 드리면,
계정은 마치 하이텔에서의 이용자번호 즉 ID와 비교되는 것입니다.
해당 도메인을 가진 (=인터넷에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원격 접속하
여 이용자로써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받는 것이지요. 일정량의 자기 영역(용량)
을 부여받아 그 공간에서,또는 그 용량에서는 자신의 시스템처럼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때 이러한 계정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E-mail 주소라는 표현을 사용
합니다. 제 경우를 예로 들면,
LEESUN2@hitel.kol.co.kr 인데 이는 뒤에서부터 순서대로 대한민국,상업/기업체
kol 넷웍,하이텔 컴퓨터시스템,LEESUN2 라는 사용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뒤는 우편주소와,앞은 수신자이름에 해당하는 것이죠. 이를 인터넷 전자우편
주소 또는 계정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URL
이때 만약 홈페이지를 개설하면 제 홈페이지 주소가
http://www.kol.co.kr/~LEESUN2/ 로 부여되는데 이것이 URL 중의 하나인 것입니다
즉 많은 경우에 있어서 웹사이트(홈페이지)는 hitel 부분이 www 으로 되듯이 컴퓨
터시스템이 kol분류의 hitel이 아닌 www 을 연결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아마..왜 아마냐?..제가 정확히 아는 것도 아니니...쩝!..하드웨어적인
구분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만 구분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위의 URL 의 예중에서 //뒤의 것이 웹주소이고 /~뒤의 것은 그 시스템 중의 제
디렉토리가 됩니다.즉 /~계정 인 것입니다.
URL 은 접속서비스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갖습니다.
즉 위의 예에서 http:// 는 웹서비스 환경을 말합니다.
한가지를 더들면,ftp:// 는 화일(자료) 환경일 터입니다.
그러므로 결론적으로는 URL 이란
(접속서비스의 환경)://접속컴퓨터이름.소분류(네트웍).제공기관.나라명(미국은
----------------------------------------------------
도메인주소(=IP No.)
생략)/~계정
----ID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지요.
============================================================================
아! 다 맞는 건지 모르겠당!
틀리는 부분 있으면 누구 깨우쳐 주시라요~환영!

posted by 松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