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松巖
어떠한 일이 있어도 꿈과 용기를 잃지 말자! 그래, 네 꿈을 펼쳐라.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Tag

1998. 2. 26. 13:54 내발자국[동호회]
From - Tue Feb 24 05:17:44 1998
Path: usenet.kornet.nm.kr!news.kigam.re.kr!usenet.seri.re.kr!usenet
From: "Kang, Kyung-soo"
Newsgroups: han.comp.mail,han.comp.hangul
Subject: [문답] 한글 메일에 관련된 세 가지 문제
Date: Sat, 21 Feb 1998 17:15:13 +0900
Organization: System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SERI)
Lines: 404
Message-ID: <34EE8D10.C5B19085@chollian.net>
NNTP-Posting-Host: pppch142097.du.dacom.co.kr
Mime-Version: 1.0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EUC-KR
Content-Transfer-Encoding: 8bit
X-Mailer: Mozilla 4.03 [ko] (Win95; I)
Xref: usenet.kornet.nm.kr han.comp.mail:7570 han.comp.hangul:6461

== [문답] 한글 메일에 관련된 세 가지 문제

1998. 1. 14. (수) 문답으로 작성
1998. 2. 14. (토) 수정


(주석 : 이 문답은 세 가지 '한글' 메일 문제를 윈도용 Netscape
v4.*와 Outlook Express를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Netscape 및 Internet Explorer v3.*대 버전은 모두 한글 지원 기
능에 문제를 안고 있어요. v3.*대 버전 사용자들은,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v4.*대로 업그레이드하기 바랍니다.
또, 여기에서 참조하라는 글은, 서명의 링크 가운데 'HiTEL OS동
우회 / 인터넷 강좌'란에 실려 있습니다.)

이 문답은 다음 세 글을 토대삼습니다.

"[문답] 메일-뉴스기사를 텍스트로 보내기"
"[FAQ] Netscape와 일본어,중국어,유럽어"
"Netscape v4.*의 기본 설정"


1.

[물음 1-1]

Netscape Messenger v4.03 한글판으로 메일을 써서 친구한테 보냈
습니다. 그런데 그 친구가 한글이 깨져 보여 읽을 수 없다는 답장을
보냈어요.
제가 어떻게 하면 한글 메일을 안 깨지게 보낼 수 있을까요?

[답변 1-1]

Netscape Messenger v4.03은 한글 메일의 경우, 무조건 7비트 방
식인 ISO-2022-KR로 인코딩하게 됩니다. ISO-2022-KR은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표준을 정확히 따른 거예요.
(이와는 달리, Netscape Collabra가 한글 뉴스기사를 보낼 때는
EUC-KR 8비트 방식으로 보냅니다.)
ISO-2022-KR 7비트 방식으로 인코딩된 메일을 읽으려면, 다시 8비
트 방식으로 디코딩해서 봐야 하는데요. 아마 받는-읽는 쪽에서 디
코딩하지 못할 조건이거나(해외 웹-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메
일 읽기 프로그램에서 디코딩하지 못하는(Eudora 같은 경우) 모양입
니다.
말하자면, 7비트 방식으로 보낸 메일 내용이 '깨져 보이는' 건 받
는-읽는 쪽에서 제대로 디코딩하지 못한 탓입니다. 이런 일은 국내
에서 생길 수가 없고, 또 생겨서도 안 되겠지요.

이런 문제를 일시적으로 피해 가는 트릭은, 내용은 한글로 쓰고
인코딩을 영어(ISO-8859-1)로 하는 방법입니다(그러면 8비트 방식으
로 인코딩하기 때문이에요). 그렇더라도 이렇게 보내면 모든 경우에
한글이 안 깨진다는 보장을 하지 못할뿐더러, 한글 메일을 영어로
인코딩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겠어요.

가장 좋은 방법은, EUC-KR 8비트 그대로 한글을 보내는 방식입니
다. 현재는 Outlook Express에서 이 방식으로 보낼 수 있어요.
Outlook Express에서 보내기 옵션을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면 됩
니다.

도구 / 옵션 / '보내기' 탭 / 메일 보내기 형식 -->
일반 텍스트 --> '설정' 탭 --> 메시지 형식 : MIME
텍스트 인코딩 방식 : 없음

OE에서 보내기 옵션을 이처럼 텍스트-MIME-'텍스트 인코딩 없음'
으로 정하게 되면, '텍스트-한글-8비트' 방식으로 보내게 되는 것입
니다.

Netscape Messenger에서 한글 메일을 ISO-2022-KR 7비트 방식으로
인코딩하는 건, 옛날 메일 서버에서 그 방식으로 처리했기 때문인데
요. 요즘 추세를 반영하여 조만간 8비트 방식으로 보내게끔 고쳐야
하겠습니다.

[참고] 신정식(jshin@pantheon.yale.edu) 님의 논평

일본어의 경우에는 Usenet News도 ISO-2022-JP를 씁니다. 그것은
EUC-KR을 주요 세 플랫폼에서 널리 쓰는 한국과 달리, 일본은 서로
다른 인코딩이 다른 플랫폼에서 쓰여 왔기 때문입니다.
(SJIS와 그 변형은 Mac과 MS-DOS/MS-Win에서, EUC-JP는 Unix에서.
일부 NEC 기종은 또 다른 인코딩을).
거기다가 이들 서로 다른 인코딩이 표시할 수 있는 글자셋(이것은
EUC-KR, ISO-2022-JP 등과 같은 MIME charset이 아니라 KS C 5601,
KS C 5636, JIS X 201, JIS X 208 등과 같은 CCS:coded character
set을 의미합니다)의 수와 종류도 틀립니다.
따라서, 어느 하나를 인터넷 정보 교환에 쓰자고 하는 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SMTP가 7bit only인 탓도 있지만, 이런 문제도 일본에
서 iso-2022-jp를 고안해서 메일과 뉴스에 공히 쓰기로 정한 이유로
저는 알고 있습니다.(RFC 1468)
.... 일본어는 위에 적은 이유로 Unicode가 완전히 정착될 때까지
는 ISO-2022-JP를 계속 써야 합니다.


-----

[물음 1-2]

한글을 인코딩할 때 ISO-2022-KR 7비트 방식, EUC-KR 8비트 방식
이 어떻게 다른지 잘 이해하지 못하겠어요.
좀더 알기 쉽게 그 차이점을 설명해 주겠습니까?

[답변 1-2]

예. 저도 참 이해하기가 어려운 내용입니다.
뭐, 전문적인 설명은 컴퓨터 책자 같은 걸 참조하고 말이죠. 여기
서는 사용자가 알아둬야 할 내용에만 한정시켜 간단히 다루겠어요.
현재 한글 편지를 인코딩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보아 세 가지 방
식을 들 수 있겠어요.

ISO-2022-KR 7비트 방식
EUC-KR/Base64 MIME인코딩 방식
EUC-KR 8비트 방식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란 한글 문장이 이 세 가지 인코딩 방법
에서 각각 어떻게 보이는지 잠깐 들여다볼까요? Netscape에서는
'보기 / 페이지 소스'에서, OE에서는 '파일 / 등록 정보 / '자세히'
탭 / '메시지 원본' 탭()에서 볼 수 있습니다.
(편의상 ISO-2022-KR 보기는 실제 코드와 약간 다릅니다.)

ISO-2022-KR >H3gGO< EUC-KR/Base64 vsiz58fPvLy/5D8NCg0KDQoNCg0K
EUC-KR 안녕하세요?

이제 한눈에 그 차이점을 볼 수 있겠지요?
ISO-2022-KR이나 EUC-KR/Base64 인코딩 방식은, 한글을 특별한 방
식으로 취급하는 겁니다. 말하자면, 오로지 데이터를 보내는 데만
초점을 맞춘 방식입니다.
따라서 뭐니뭐니해도 EUC-KR 8비트 그대로 보내는 방식이 여러모
로 좋겠지요.

ISO-2022-KR이나 EUC-KR/Base64 방식으로 인코딩된 편지는, 받는-
읽는 사람이 디코딩해서 봐야 한글이 제대로 보입니다. 만약 온라인
상에서 디코딩하지 못할 경우에는, 디코딩을 도와주는 유틸리티를
써야 해요.
윈도용으로는 'cvt8.exe'이라는 게 나와 있는데, 다음 주소에서
받으세요 :

http://ain.icube.co.kr/~jhlee/cvt8.html

마지막으로, 한 가지 이야기를 더 덧붙이겠어요.
한글 메일을 EUC-KR 8비트로 인코딩해서 보냈다고 쳐요. 이때 받
는 메일 서버가 8비트를 처리하지 못하는 구닥다리 메일 서버인 데
다 보내는 메일 서버가 그걸 확인하지 못한 채 8비트 그대로 보내버
리는 경우, 그 한글 메일은 글자 그대로 '와장창' 깨지고 맙니다.
원상 회복이 안 되는 겁니다.
뭐, 이런 골치아픈 문제는 메일 서버 관리자들에게 맡겨놓아야겠
지만 말이에요.


----

[물음 1-3]

7비트-8비트 방식이 다른 데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기는군요.
어쨌든 그런 문제점들을 일일이 다 이해하기는 너무 어렵고 말이죠.
일반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주의해야 할 점들에 관해 뭔가 조언해 줄
이야기는 없습니까?

[답변 1-3]

몇 가지 기본적인 사항들만 언급하겠어요.

(1) 한글 메일을 어떤 방식으로 보내더라도 자기 메일 서버가 다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Netscape와 Outlook Express를 함께 생각할 때, 한글 편지를 경우
의 수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보내는 방식 : 텍스트 방식
HTML 방식 (Text and HTML 포함)

메시지 형식 : MIME
Uuencode

한글 인코딩 방식 : ISO-2022-KR (7비트 방식)
EUC-KR/Base64 (MIME인코딩 방식)
EUC-KR (8비트 방식)

"머리글에 8비트 문자 사용" 옵션 : 체크함
비워둠

파일 첨부-삽입 : Base64 (MIME 방식)
Uuencode

말하자면, 이 모든 경우를 메일 서버에서 아무 문제 없이 처리해
줘야 하겠죠.
만약 이 가운데 한 경우에라도 문제가 생긴다면, 내일 당장 메일
서버를 교체하기 바랍니다. 조금 과장해서 말한다면, 요즘 발길에
챌 만큼 널려 있는 게 인터넷 서비스 업체이고 메일 서버예요. 이런
개명천지에 깨진 편지를 받아본대서야 이야기가 되겠어요?

(2) 파일을 첨부-삽입하지 않을 경우, 한글 편지에는 다음과 같은
MIME 머리글이 나타나는 게 좋습니다.

Content-Type:text/plain; charset=EUC-KR
Content-Transfer-Encoding:8bit

이 '텍스트-한글-8비트'로 보내는 방식이 일반 사용자에게 권장됩니
다.

(3) HTML 방식(Text and HTML 포함)이나 Uuencode 방식은 될 수
있는 대로 삼가주세요.
HTML 방식은 영어 사용권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겠으나, 한글 공
동체에는 상당한 짐이 됩니다. 뭔가 절실한 이유가 없는 한, 한글
편지를 HTML 방식으로 보내는 건 자제해 주기 바랍니다.
Uuencode 방식은 100% 호환된다고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인터넷
표준인 MIME 방식을 따르는 게 좋겠지요.


2.

[물음 2-1]

(1) 저는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할 때 일본 웹 사이트의 글자
가 깨져서 MS사 홈 페이지에서 일본어 폰트(MS Gothic)를 다운받아
서 문제를 해결했어요.
그런데 문제는 아웃룩 익스프레스에서인데요. 내용을 보는 데에는
아무 문제가 없는 반면, 바로 상단의 모든 제목들은 글자가 깨져서
나옵니다. 이를 해결할 방법은 없는지요?

(2) 저는 불어판 윈도 95에서 불어판 아웃룩을 쓰고 있습니다.
(영문판에서와 별다른 차이는 없을 것으로 압니다.)
문제는 편지 읽기입니다. 저는 MS의 비한글판 윈도용 한글지원 폰
트(gulimche)를 깔고, OE의 한글 설정을 그 폰트로 했습니다. 그래
서 Unionway 없이도 편지글의 본문은 OE에서 한글로 변화시켜 보여
줍니다.
근데 이상하게도 편지머리는 그렇게 안 되는군요. 참 이상합니다.
"비한글판 윈도 + OE + MS 한글지원 폰트" 조합에서 편지머리와
본문 모두 한글로 보이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유니온웨이를 안 쓰면 본문만 한글로 보이는데요.)

[답변 2-1]

Outlook Express에서 메일-뉴스기사 머리글에 해당하는 글꼴은,
바탕화면에서 '아이콘'에 지정된 글꼴을 씁니다.

제어판 / Display / '화면배색' 탭 / 항목 --> 아이콘

한글 WIN95에서는 보통 '굴림'으로 지정하고, 서양판 WIN95에서는
당연히 알파벳 글꼴로 지정하게 되지요. 따라서 이런 글꼴들이 일본
어를 표시하지 못하므로, 특별한 방법이 없겠습니다.
한글 WIN95에서는 일본어-중국어 머리글이 깨지고, 서양판 WIN95
에서는 CJK(Chinese-Jananese-Korean) 글자 머리글이 모두 '러시아
식' 알파벳으로 깨지게 마련입니다.
OE에서 이런 머리글을 보고 싶다면, NJWIN 같은 외부 Viewer의 도
움을 받는 수밖에 없어요.

MS사에서 이처럼 머리글을 '아이콘' 글꼴에서 따온 까닭은, 아마
화면을 세 갈래로 나누기 위해서였을 걸로 짐작됩니다. 하지만 결과
적으로 머리글과 본문이 따로 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안겨줍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테면 본문이 'UTF-8'인데 머리글
은 'EUC-KR'로 인코딩되는 이상한 일도 생길 수 있습니다.
어쨌든 이 문제는, MS사에서 앞으로 어떻게 처리할지...를 좀더
두고봐야 할 것 같습니다.


-----

[물음 2-2]

저는 Outlook Express의 머리글을 보는 데 Unionway를 쓰는데요.
그런데 약간 이상한 문제가 있습니다.
어쩔 때는 Unionway가 일본어 머리글을 잘 변화시키지만, 또 어쩔
때는 일본어로 바꾸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그래요.
Unionway의 옵션 설정을 뭔가 잘못했을까요?

[답변 2-2]

문제가 다소 복잡한데요. 일단, CJK 지원 프로그램의 특성을 잘
알아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1) 중국어-일본어-한국어 글자를 다루는 데는 흔히 Unionway(읽
고 쓰기)나 NJWIN(읽기만)을 씁니다. 이런 프로그램은 2바이트 글자
지원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어요.
이런 CJK 지원 프로그램은 1바이트 글자(알파벳)와 궁합이 잘 맞
고, 다른 2바이트 글자를 만날 때는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점에 비추어 보면, Unionway나 NJWIN 같은 프로그램은 서양판 윈도
에서 제약 없이 쓸 수 있어요.
말하자면, 한글 WIN31/95/NT에서 쓰기에는 기능상 제약이 따른다
는 걸 염두에 둬야 합니다.

(2) IE-OE는 자체적으로 글꼴을 엄격하게 통제하기 때문에, 본 페
이지에서는 외부 Viewer를 쓸 수 없어요. 이를테면, 일본어 웹 페이
지를 보는 데 Unionway 같은 외부 Viewer를 쓸 수 없다는 이야깁니
다. MS 홈페이지에서 IE '일본어 지원 팩'을 추가로 설치해 줘야 하
겠어요.
이런 점에서, IE-OE와 CJK 지원 프로그램의 궁합을 맞추어내기는
다소 까다로운 일이겠습니다.
그래서 일본어-중국어를 (읽는 데 그치지 않고) 자주 입력할 사용
자들은 Netscape를 쓰는 쪽이 속편하겠어요.

(3) OE의 머리글은 바탕화면의 '아이콘' 글꼴에서 따와요. 따라서
이 부분은 IE-OE가 직접 통제하는 게 아니라, 시스템의 통제를 따르
는 겁니다.
따라서 시스템에서 통제하는 부분에 CJK 외부 Viewer가 제대로 끼
어들기 위해서는, 시스템이 1바이트 단위로 글꼴을 통제해야 톱니바
퀴가 맞아들어갈 수 있어요. 말하자면, 외부 Viewer가 끼어들 때 한
글 윈도를 영문 윈도처럼 취급해야만, 아이콘 글꼴을 자기 뜻대로
바꿀 수 있는 거예요.
이런 점에 비추어 볼 때, Unionway나 NJWIN이 한글 윈도를 영문
윈도처럼 취급할 수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게 바로 문제의 초점입
니다.

(4) NJWIN의 경우는 아주 손쉬워요. 바로 '옵션' 항목에서 '영문
윈도'로 바꿔줄 수 있습니다.
(보통은 '한글 윈도'로 맞춰놓고 써야 해요. 왜냐하면 한글 윈도
를 영문 윈도처럼 다루게 되면, 한글 메뉴 같은 게 전부 깨져버리니
까요.)
따라서 OE에서 일본어-중국어 머리글을 보기만 할 경우는, NJWIN
을 '영문 윈도'로 맞춰놓고 쓰면 되겠어요.

(5) 이에 반해, Unionway의 경우는 다소 석연치 않습니다.
Unionway를 써서 OE의 일본어-중국어 머리글을 보려면, 다음 두
가지 조치가 필요합니다.
첫째, 메뉴에서, '?' 아이콘 / 'System' 탭 / "Map CJK Windows
sys font to DBCS sys font" 항목을 체크해 줍니다. 그런데 이 옵션
뜻이 NJWIN의 '영문 윈도' 옵션처럼 명쾌하지는 않은 듯싶어요.
둘째, 서비스팩을 덧설치하면 좀더 낫습니다.

그렇더라도, 언제나 잘 작동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잘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아무 메뉴에라도 들어갔다 나오면 다시 일본어-중국
어 글자로 변환시켜 주기는 해요.
하지만 NJWIN을 '영문 윈도'로 맞춰놓고 쓰는 경우에 비해, 다소
불편하겠어요.
또, OE에서 일본어-중국어를 입력한다는 건 무척 까다로울 듯싶고
말이에요.

(6) 일본어-중국어를 무리 없이 다루는 데는 Netscape 쪽이 여러
모로 좋아요. 여기에서 한 가지 상식적인 이야기를 해두겠어요.
예를 들어, 일본어 웹 페이지를 Unionway로 볼 경우를 생각해 보
죠. 이 경우, Netscape에서 인코딩을 한국어로 하면 일본어를 볼 수
없어요. 영어로 인코딩해야 Unionway가 비로소 힘을 써서 일본어를
제대로 보여주는 겁니다.
(아무튼 CJK 지원 프로그램은 1바이트짜리 알파벳과 궁합이 잘 맞
는다는 걸 잊지 마세요.)

이상, 몇 가지 이야기를 간단히 적었어요.
OE에서 일본어-중국어 머리글을 읽기만 할 경우에는 NJWIN의 도움
을 받으면 돼요. 하지만 쓰기까지를 생각한다면, 아무래도 Netscape
를 이용하는 쪽이 좋을 듯싶군요.

최근 MS사에서 IE-OE v4.*에 쓸 수 있는 일본어-한글 입력기를 내
놓았습니다.

"download Internet Explorer Japanese and Korean IME 4.0" :
http://www.microsoft.com/ie/ie40/?/ie/ie40/ime.htm

하지만 OE의 '머리글'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불편한 건 여
전하겠지요. 이 IE v4.0 일본어-한글 입력기는 본문 입력 창에만 적
용됩니다.


3.

[물음 3]

(1) 저는 HTML 편집기로 MS FrontPage 2.0을 씁니다. 몇 가지 그
림에다가 아기자기하게 편집한 홈 페이지를 꾸몄는데요. 일부 사용
자들이 한글이 깨져 보인다고들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한글이 안 깨지게 편집할 수 있는가요?

(2) Outlook Express로 이것저것 꾸며서 편지를 보냈는데요. 제
친구는 Netscape v3.*을 쓰거든요. 그런데 한글이 깨져서 읽을 수
없대요. 무엇을 잘못했을까요?

[답변 3]

현재 MS사에서 한글 인코딩 표기를 독불장군식으로 적어넣는 게
문제가 됩니다.

MS FrontPage 2.0은 " charset=ks_c_5601-1987 " 식으로 적어넣
는데요. 이걸 " charset=EUC-KR " 식으로 바꿔주면 만사가 형통됩
니다.
어쨌든 MS FrontPage로 편집한 후에는, charset을 위와 같이 고
쳐주세요.

Outlook Express에서 HTML 방식으로 보낸 편지에는 다음과 같은
태그가 들어가요.

http-equiv=3DContent-Type>

여기에서 "charset=3Dks_c_5601-1987"을 다른 프로그램에서 못 알
아듣는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겠어요. 어쨌든 OE에서 HTML 편지 보
내기는 삼가는 게 좋겠습니다.

참고삼아, Netscape사가 'charset=ks_c_5601-1987'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인용하겠어요. 이건 v4.0 International Features Notes
에 나오는 이야깁니다 :

" Communicator supports official IANA MIME Charset names.
Improperly labeled pages, e.g. 'euc-kr' as 'ks_c_5601-1987',
'big5' as 'x-x-big5', and 'gb2312' as 'gb_2312-80', may not
display properly. "

'인터넷 표준'이라는 기준에 비추어 봐도, 이 입장이 옳다고 봐야
겠어요.
이 'charset' 문제는, MS사에서 하루빨리 패치판을 내놓아야 한다
...는 데 두말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습니다.


--
강경수
kangksoo@chollian.net

HiTEL OS동우회 http://www1.hitel.net/dong/o/osc.html
뉴스 기사를 한글로 찾기 http://news.netple.com/
뉴스 기사를 영어로 찾기 http://www.dejanews.com/
Netscape 받기 ftp://ftp.netscape.com/pub/communicator/


posted by 松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