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 3. 24. 03:56
내발자국[동호회]
--------------------------------------------------------------------------
제공:월간 PC월드 95년 11월호
제목:[별책부록/부록②] 인터넷 관련 용어
--------------------------------------------------------------------------
□숫자,알파벳 A∼L까지 수록
--------------------------------------------------------------------------
⊙ 56K 라인
56,000bps 전송이 가능한 디지틀 전화선 접속(전용 회선). 이
속도에서는 1MB를 전송하는 데 3분 정도 소요되며, 이는 14,400bps
모뎀보다 4배 빠른 것이다.
참조: Bandwidth, T-1
⊙ ADN(Advanced Digital Network)
주로 56Kbps 전용 회선을 의미한다.
⊙ Archie
anonymous FTP 사이트에 저장된 파일을 찾기 위한 툴.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파일 이름이나 문자열을 알고 있어야 한다.
⊙ ARPANet
60년대 후반과 70년대 초반에 미 국방성에서 개발한 광역 네트워크로,
인터넷의 선조라고 할 수 있다.
참조: Internet
⊙ Anonymous FTP
FTP(File Transfer Protocol) 참조.
⊙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셈틀에서 라틴어의 대소문자, 숫자, 구두점 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실상의 세계 표준 코드. 0000000에서 1111111까지의
일곱자리 이진수로 128개의 문자를 표현한다.
⊙ Backbone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서 중요한 통로 역할을 하는 고속 라인이나
일련의 접속 라인. 백본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소규모 네트워크의 백본이
대형 네트워크의 비백본 라인보다 작을 수 있다.
참조: Network
⊙ Bandwidth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자료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주로 bps로
측정된다. 한 페이지의 영어 텍스트는 대략 16,000비트인데 고속 모뎀의
경우 1초에 15,000비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풀모션의 풀스크린 비디오는
대략 1천만bps를 요구한다.
참조: 56K, Bps, Bit, T-1
⊙ Baud
일반적으로 모뎀의 "baud rate"는 1초에 송수신할 수 있는 비트수를
의미하며, 기술적으로는 캐리어 신호 시프트(carrier signal shifts)가
평가하는 초당 횟수를 뜻한다. 2,400bps 모뎀은 실질적으로 300baud로
운용되어 1baud에 4비트를 전송한다.
참조: Bit, Modem
⊙ BBS(Bulletin Board System)
셈틀에 접속한 사용자가 없어도 알림 기능이 가능한 셈틀 미팅과
알림 시스팀. 현재 수백만개의 BBS가 세계 전역에 존재하며, 이들
대부분은 한개 내지 두개의 전화선을 갖춘 단독 PC에서 운용되는 소규모
형태를 띤다.
⊙ Binhex(BINary HEXadecimal)
비텍스트 파일(non-ASCII)을 ASCII 파일로 전환하는 방법. 인터넷
전자우편이 ASCII 파일만 취급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이 요구된다.
⊙ BIT(Binary DigIT)
이진수의 한자리를 나타내는 말로, 0 또는 1을 의미한다. 셈틀
데이터의 최소 단위. 주로 bits-per-second로 Bandwidth를 측정한다.
참조: Bandwidth, Bps, Byte, Kilobyte, Megabyte
⊙ BITNET(Because It's Time Network)
교육 사이트 네트워크로, 인터넷과는 분리되어 있으나 전자우편 교환은
자유롭다. 전자우편 토론 그룹 중 가장 널리 알려진 Listservs도
BITNET에서 시작됐다. IBM의 VMS 머신을 사용하는 BITNET은
최근들어 유일하게 축소되고 있는 국제 네트워크이다.
⊙ Bps(Bits-Per-Second)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는 단위로, 1초에 주고받을 수 있는
비트수를 뜻한다. 28,800bps 모뎀은 1초에 28,800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참조: Bandwidth, Bit
⊙ Browser
다양한 인터넷 리소스를 찾는 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풀그림.
참조: Client, URL, WWW
⊙ Byte
한개 문자를 표현하는 비트 집합으로 1바이트는 8비트로 구성된다.
⊙ Client
다른 셈틀의 서버 풀그림에 접속해 데이터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풀그림. 각각의 클라이언트 풀그림은 한개 내지는 그 이상의
특정 서버 풀그림과 동작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각각의 서버는
특정한 클라이언트를 요구한다.
참조: Server
⊙ Cyberspace
윌리엄 깁슨의 소설 "Neuromancer"에서 처음 소개되어, 최근에는 셈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이 가능한 정보 리소스 전체를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
⊙ Domain Name
인터넷 사이트를 표시하는 고유 명칭으로 2개 이상의 도트(.)로 분리해
왼쪽에는 인터넷 사이트의 특정 명칭을, 오른쪽에는 일반 명칭을
나타낸다. 각각의 기계는 하나 이상의 명칭을 가질 수 있으나 각
Domain Name은 오로지 한대만을 지정한다. 특정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셈틀은 일정 부분 동일한 이름을 갖는다. 일례로 다음과 같다.
gateway.gbnetwork.com
mail.gbnetwork.com
www.gbnetwork.com
또한 실제로 셈틀에 접속하지 않은 채 Domain Name만 가질 수 있어
그룹이나 기업이 인터넷 사이트를 실제로 개설하지 않고도 인터넷
전자우편 어드레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존하는 인터넷 머신이
명칭뿐인 Domain Name을 대표해 우편을 조작해야 한다.
참조: IP Number
⊙ E-mail(Electronic Mail)
각 사용자가 셈틀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로 수많은
주소(Mailing List)에 자동 전송 또한 가능하다.
참조: Listserv, Maillist
⊙ Ethernet
근거리통신망(LAN)에서 셈틀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10Mbps 속도로
정보를 전송하며, 거의 모든 종류의 셈틀과 사용이 가능하다.
참조: Bandwidth, LAN
⊙ FAQ(Frequently Asked Questions)s
특정한 주제에 관한 가장 일반적인 질문의 답을 모아 놓은 문서.
애완견 손질과 암호 사용법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한 수백개의 FAQ가
존재한다. 주로 FAQ는 반복되는 질문에 대답하는 데 싫증난 사용자가
작성한다.
⊙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광케이블에서 100Mbps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이서넷보다 10배, T-3보다는 두배 정도 빠르다.
참조: Bandwidth, Ethernet, T-1, T-3
⊙ FTP(File Transfer Protocol)
인터넷 사이트 간에 파일을 이동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파일을 검색하거나 전송할 목적으로 다른 인터넷 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에는 "anonymous"란 계정 이름을 사용해
등록함으로써 액세스가 가능한 정보 보관소를 개설하고 있는 사이트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사이트를 "anonymous ftp servers"라고 부른다.
⊙ Finger
다른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소프트웨어 툴로, 종종 비개인 정보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어떤 사용자가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계정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Finger 명령을 허용하지 않는 사이트도 많이
있다.
⊙ Gateway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번역해 주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셋업.
일례로 프로디지는 내부적인 전용 전자우편 포맷과 인터넷 전자우편
포맷을 서로 번역해 주는 게이트웨이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시스팀에 액세스를 제공하는 모든 기법을 의미한다.
⊙ Gopher
인터넷에서 사용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메뉴 방식
풀그림. 클라이언트와 서버 스타일의 풀그림으로 사용자는 Gopher
클라이언트 풀그림을 갖고 있어야 한다. 짧은 시간안에 급성장하여 널리
사용되어 온 Gopher는 최근 하이퍼텍스트에 의해 대체되고 있지만
여전히 수 천개의 서버를 갖고 있다.
참조: Client, Server, WWW, Hypertext
⊙ Host
네트워크와 원거리 통신에서 풀그림이나 데이터 파일을 다른 셈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셈틀. 일반적으로 WWW와 유즈넷 등과
같이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WWW에 사용할 문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코딩 언어로, 텍스트
블럭 테두리를 어떻게 표현할지를 명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외에도
인터넷의 다른 파일과 접속이 이뤄지는 텍스트 블럭이나 단어를 명시할
수도 있다.
참조: HTTP, Hypertext, Mosaic, WWW
⊙ 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
인터넷을 통해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한쪽에
HTTP 클라이언트 풀그림이, 다른 한쪽에 HTTP 서버 풀그림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HTTP는 WWW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가장
중요하다.
참조: Client, Server, WWW
⊙ Hypertext
일반적으로 다른 문서와 접속(link)이 이뤄지도록 구성된 모든 텍스트를
의미한다. 독자는 이미 정의된 단어나 문구를 선택해 관련 문서를
검색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 IMHO(In My Humble Opinion)
온라인 포럼에 작성하는 논평에 추가하는 약자로 이미 토론이 이뤄지고
있는 특정한 주제에 관해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견해를 제시할 때
사용한다. '나의 보잘 것 없는 견해로는'을 뜻하는 IMHO는 온라인 토론
포럼에서 주로 사용된다.
⊙ IP Number
165.113.245.2와 같이 도트(.)로 분리된 4개 요소로 구성되는 고유번호로,
종종 "dotted quad"로 명명된다. 인터넷의 모든 머신은 고유한 IP 번호를
갖고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들이 기억하기 쉽도록 한개 이상의 도메인
이름을 대부분의 머신이 갖고 있다.
참조: Domain Name, Internet
⊙ IRC(Internet Relay Chat)
인터넷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하는 풀그림.
세계 전역에 각 사용자를 연결할 수 있는 IRC 서버가 다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이용해 채널을 생성하거나 생성된 채널에 참여해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비밀 채널을 이용해 전화회의를 개최할 수도 있다.
⊙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기존의 일반 전화선을 이용해 보다 많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64,000bps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 Internet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로,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초에 ARPANET에서 발전됐다.
지난 7월 인터넷은 대략 6만개의 독립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참조: internet
⊙ internet
두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할 때 하나의 인터넷(internet)을
갖는 것이다.
⊙ Kilobyte
1천 바이트. 실제로는 1,024(210) 바이트
⊙ LAN(Local Area Network)
제한된 범위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로, 한 건물이나 건물의 한 층을
연결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참조: Ethernet
⊙ Leased-line
특정 사용자 사이에서만 독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임대한 전화선.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 필수적이다.
참조: 56K, T-1, T-3
⊙ Listserv
가장 일반적인 종류의 메일리스트로 BITNET에서 시작됐으나 지금은
인터넷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참조: BITNET, E-mail, Maillist
⊙ Login
명사로 사용될 경우 셈틀 시스팀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계정
이름으로 패스워드와는 대조적으로 비밀이 아니다. 동사로 사용될 경우
셈틀 시스팀에 들어가는 행위를 의미한다. 일례로 "Login to the WELL
and then go to the GBN conference." 등의 문장으로 사용된다.
참조: Password
------------------------------------------------------------<<계속>>------
제공:월간 PC월드 95년 11월호
제목:[별책부록/부록②] 인터넷 관련 용어
--------------------------------------------------------------------------
□숫자,알파벳 A∼L까지 수록
--------------------------------------------------------------------------
⊙ 56K 라인
56,000bps 전송이 가능한 디지틀 전화선 접속(전용 회선). 이
속도에서는 1MB를 전송하는 데 3분 정도 소요되며, 이는 14,400bps
모뎀보다 4배 빠른 것이다.
참조: Bandwidth, T-1
⊙ ADN(Advanced Digital Network)
주로 56Kbps 전용 회선을 의미한다.
⊙ Archie
anonymous FTP 사이트에 저장된 파일을 찾기 위한 툴.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파일 이름이나 문자열을 알고 있어야 한다.
⊙ ARPANet
60년대 후반과 70년대 초반에 미 국방성에서 개발한 광역 네트워크로,
인터넷의 선조라고 할 수 있다.
참조: Internet
⊙ Anonymous FTP
FTP(File Transfer Protocol) 참조.
⊙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셈틀에서 라틴어의 대소문자, 숫자, 구두점 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실상의 세계 표준 코드. 0000000에서 1111111까지의
일곱자리 이진수로 128개의 문자를 표현한다.
⊙ Backbone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서 중요한 통로 역할을 하는 고속 라인이나
일련의 접속 라인. 백본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소규모 네트워크의 백본이
대형 네트워크의 비백본 라인보다 작을 수 있다.
참조: Network
⊙ Bandwidth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자료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주로 bps로
측정된다. 한 페이지의 영어 텍스트는 대략 16,000비트인데 고속 모뎀의
경우 1초에 15,000비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풀모션의 풀스크린 비디오는
대략 1천만bps를 요구한다.
참조: 56K, Bps, Bit, T-1
⊙ Baud
일반적으로 모뎀의 "baud rate"는 1초에 송수신할 수 있는 비트수를
의미하며, 기술적으로는 캐리어 신호 시프트(carrier signal shifts)가
평가하는 초당 횟수를 뜻한다. 2,400bps 모뎀은 실질적으로 300baud로
운용되어 1baud에 4비트를 전송한다.
참조: Bit, Modem
⊙ BBS(Bulletin Board System)
셈틀에 접속한 사용자가 없어도 알림 기능이 가능한 셈틀 미팅과
알림 시스팀. 현재 수백만개의 BBS가 세계 전역에 존재하며, 이들
대부분은 한개 내지 두개의 전화선을 갖춘 단독 PC에서 운용되는 소규모
형태를 띤다.
⊙ Binhex(BINary HEXadecimal)
비텍스트 파일(non-ASCII)을 ASCII 파일로 전환하는 방법. 인터넷
전자우편이 ASCII 파일만 취급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이 요구된다.
⊙ BIT(Binary DigIT)
이진수의 한자리를 나타내는 말로, 0 또는 1을 의미한다. 셈틀
데이터의 최소 단위. 주로 bits-per-second로 Bandwidth를 측정한다.
참조: Bandwidth, Bps, Byte, Kilobyte, Megabyte
⊙ BITNET(Because It's Time Network)
교육 사이트 네트워크로, 인터넷과는 분리되어 있으나 전자우편 교환은
자유롭다. 전자우편 토론 그룹 중 가장 널리 알려진 Listservs도
BITNET에서 시작됐다. IBM의 VMS 머신을 사용하는 BITNET은
최근들어 유일하게 축소되고 있는 국제 네트워크이다.
⊙ Bps(Bits-Per-Second)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는 단위로, 1초에 주고받을 수 있는
비트수를 뜻한다. 28,800bps 모뎀은 1초에 28,800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참조: Bandwidth, Bit
⊙ Browser
다양한 인터넷 리소스를 찾는 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풀그림.
참조: Client, URL, WWW
⊙ Byte
한개 문자를 표현하는 비트 집합으로 1바이트는 8비트로 구성된다.
⊙ Client
다른 셈틀의 서버 풀그림에 접속해 데이터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풀그림. 각각의 클라이언트 풀그림은 한개 내지는 그 이상의
특정 서버 풀그림과 동작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각각의 서버는
특정한 클라이언트를 요구한다.
참조: Server
⊙ Cyberspace
윌리엄 깁슨의 소설 "Neuromancer"에서 처음 소개되어, 최근에는 셈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이 가능한 정보 리소스 전체를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
⊙ Domain Name
인터넷 사이트를 표시하는 고유 명칭으로 2개 이상의 도트(.)로 분리해
왼쪽에는 인터넷 사이트의 특정 명칭을, 오른쪽에는 일반 명칭을
나타낸다. 각각의 기계는 하나 이상의 명칭을 가질 수 있으나 각
Domain Name은 오로지 한대만을 지정한다. 특정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셈틀은 일정 부분 동일한 이름을 갖는다. 일례로 다음과 같다.
gateway.gbnetwork.com
mail.gbnetwork.com
www.gbnetwork.com
또한 실제로 셈틀에 접속하지 않은 채 Domain Name만 가질 수 있어
그룹이나 기업이 인터넷 사이트를 실제로 개설하지 않고도 인터넷
전자우편 어드레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존하는 인터넷 머신이
명칭뿐인 Domain Name을 대표해 우편을 조작해야 한다.
참조: IP Number
⊙ E-mail(Electronic Mail)
각 사용자가 셈틀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로 수많은
주소(Mailing List)에 자동 전송 또한 가능하다.
참조: Listserv, Maillist
⊙ Ethernet
근거리통신망(LAN)에서 셈틀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10Mbps 속도로
정보를 전송하며, 거의 모든 종류의 셈틀과 사용이 가능하다.
참조: Bandwidth, LAN
⊙ FAQ(Frequently Asked Questions)s
특정한 주제에 관한 가장 일반적인 질문의 답을 모아 놓은 문서.
애완견 손질과 암호 사용법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한 수백개의 FAQ가
존재한다. 주로 FAQ는 반복되는 질문에 대답하는 데 싫증난 사용자가
작성한다.
⊙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광케이블에서 100Mbps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이서넷보다 10배, T-3보다는 두배 정도 빠르다.
참조: Bandwidth, Ethernet, T-1, T-3
⊙ FTP(File Transfer Protocol)
인터넷 사이트 간에 파일을 이동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파일을 검색하거나 전송할 목적으로 다른 인터넷 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에는 "anonymous"란 계정 이름을 사용해
등록함으로써 액세스가 가능한 정보 보관소를 개설하고 있는 사이트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사이트를 "anonymous ftp servers"라고 부른다.
⊙ Finger
다른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소프트웨어 툴로, 종종 비개인 정보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어떤 사용자가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계정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Finger 명령을 허용하지 않는 사이트도 많이
있다.
⊙ Gateway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번역해 주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셋업.
일례로 프로디지는 내부적인 전용 전자우편 포맷과 인터넷 전자우편
포맷을 서로 번역해 주는 게이트웨이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시스팀에 액세스를 제공하는 모든 기법을 의미한다.
⊙ Gopher
인터넷에서 사용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메뉴 방식
풀그림. 클라이언트와 서버 스타일의 풀그림으로 사용자는 Gopher
클라이언트 풀그림을 갖고 있어야 한다. 짧은 시간안에 급성장하여 널리
사용되어 온 Gopher는 최근 하이퍼텍스트에 의해 대체되고 있지만
여전히 수 천개의 서버를 갖고 있다.
참조: Client, Server, WWW, Hypertext
⊙ Host
네트워크와 원거리 통신에서 풀그림이나 데이터 파일을 다른 셈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셈틀. 일반적으로 WWW와 유즈넷 등과
같이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WWW에 사용할 문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코딩 언어로, 텍스트
블럭 테두리를 어떻게 표현할지를 명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외에도
인터넷의 다른 파일과 접속이 이뤄지는 텍스트 블럭이나 단어를 명시할
수도 있다.
참조: HTTP, Hypertext, Mosaic, WWW
⊙ 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
인터넷을 통해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한쪽에
HTTP 클라이언트 풀그림이, 다른 한쪽에 HTTP 서버 풀그림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HTTP는 WWW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가장
중요하다.
참조: Client, Server, WWW
⊙ Hypertext
일반적으로 다른 문서와 접속(link)이 이뤄지도록 구성된 모든 텍스트를
의미한다. 독자는 이미 정의된 단어나 문구를 선택해 관련 문서를
검색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 IMHO(In My Humble Opinion)
온라인 포럼에 작성하는 논평에 추가하는 약자로 이미 토론이 이뤄지고
있는 특정한 주제에 관해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견해를 제시할 때
사용한다. '나의 보잘 것 없는 견해로는'을 뜻하는 IMHO는 온라인 토론
포럼에서 주로 사용된다.
⊙ IP Number
165.113.245.2와 같이 도트(.)로 분리된 4개 요소로 구성되는 고유번호로,
종종 "dotted quad"로 명명된다. 인터넷의 모든 머신은 고유한 IP 번호를
갖고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들이 기억하기 쉽도록 한개 이상의 도메인
이름을 대부분의 머신이 갖고 있다.
참조: Domain Name, Internet
⊙ IRC(Internet Relay Chat)
인터넷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하는 풀그림.
세계 전역에 각 사용자를 연결할 수 있는 IRC 서버가 다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이용해 채널을 생성하거나 생성된 채널에 참여해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비밀 채널을 이용해 전화회의를 개최할 수도 있다.
⊙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기존의 일반 전화선을 이용해 보다 많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64,000bps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 Internet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로,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초에 ARPANET에서 발전됐다.
지난 7월 인터넷은 대략 6만개의 독립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참조: internet
⊙ internet
두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할 때 하나의 인터넷(internet)을
갖는 것이다.
⊙ Kilobyte
1천 바이트. 실제로는 1,024(210) 바이트
⊙ LAN(Local Area Network)
제한된 범위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로, 한 건물이나 건물의 한 층을
연결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참조: Ethernet
⊙ Leased-line
특정 사용자 사이에서만 독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임대한 전화선.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 필수적이다.
참조: 56K, T-1, T-3
⊙ Listserv
가장 일반적인 종류의 메일리스트로 BITNET에서 시작됐으나 지금은
인터넷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참조: BITNET, E-mail, Maillist
⊙ Login
명사로 사용될 경우 셈틀 시스팀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계정
이름으로 패스워드와는 대조적으로 비밀이 아니다. 동사로 사용될 경우
셈틀 시스팀에 들어가는 행위를 의미한다. 일례로 "Login to the WELL
and then go to the GBN conference." 등의 문장으로 사용된다.
참조: Password
------------------------------------------------------------<<계속>>------
'내발자국[동호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LINK(링크)로 다양한 표현을.. (0) | 1996.03.24 |
---|---|
[초보] 인터넷 관련 용어정리 (M-W) (0) | 1996.03.24 |
[WIN95] 윈도우 `95의 개요 (0) | 1996.03.24 |
[답변/138] CGI는 인터페이스.. (0) | 1996.03.24 |
[참고] DNS는 다 맞아요. (0) | 1996.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