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松巖
어떠한 일이 있어도 꿈과 용기를 잃지 말자! 그래, 네 꿈을 펼쳐라.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Tag

1996. 4. 11. 02:15 내발자국[동호회]
□인터넷 서비스

먼저 인터넷서비스에 대한 오해를 좀 풀어드립니다.
메뉴서비스니 계정서비스니 하는 것은 요금을 부과하는 측의 편의에 의한
분류입니다.사실상 메뉴서비스는 종량제(분당 얼마하는 방식)로 E-mail을
제외하고는 하이텔서비스의 게시판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방식입니다. 즉
예를들면 하이텔에서 go kinds를 하면 다른 DB에 접속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그것이 인터넷인 것입니다.
계정서비스는 하이텔인터넷 컴퓨터의 일정용량을 임대(이때 계정을 받습니
다)하는 방식입니다.하이텔은 1계정당 5메가를 받습니다.이것을 활용하여
때로는 하이텔인터넷 컴퓨터를 일부분 공유하면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즉 이것은 하이텔서비스에 자신의 게시판을 가진 경우로 비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SLIP 이나 PPP 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식(접속프로토콜)들에 불과합니다.
둘다 직접 하이텔인터넷으로 전화연결을 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점은 같
습니다. 그런데 slip은 메뉴서비스나 계정서비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정도
이고(하이텔의 경우임;다른 학교,연구소 등 인터넷 접속서비스의 경우는
다를 수 있음)다른 사람이 내 시스템(pc)로 직접 연결되어 들어올 수는 없
습니다.
그러나 PPP는 Point to Point Protocol로서 하이텔에서 부여하는 계정(id)
외에 직접 자신만의 시스템 주소(address:도메인)을 가지고 독립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하이텔인터넷을 연결하기는 하지만 자신의 시스템
(pc)도 인터넷의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대접받게 됩니다.그러므로 내가 인
터넷을 통해 주소를 가지고 다른 시스템에 들어가듯이 거꾸로 다른 사람이
나의 PC에 직접 들어올 수도 있게 됩니다.
즉 PPP는 서비스의 종류가 아니라 접속방식,인터넷에서의 `내 시스템'의
존재방식임을 구분해야 할 것입니다. 다른 사람이 내 컴퓨터에 들어와서
작업하기를 꺼리는 사람은 PPP를 이용하지 않아야 하겠죠?

━━━殷人作誓而民始畔、周人作會而民始疑━━━禮記:檀弓下에서
Lee,Kyoung|LEESUN2@hitel.kol.co.kr| http://www.kol.co.kr/~LEESUN2/serv1.htm

posted by 松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