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松巖
어떠한 일이 있어도 꿈과 용기를 잃지 말자! 그래, 네 꿈을 펼쳐라.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Tag

1996. 6. 27. 14:58 내발자국[동호회]
<> 게 시 일 : 95/11/01 <> 번 호 : 1 <> 게시자 : EFWWW1 (efwww1)
<> 제 목 : unix 기초명령어
<> 내 용 :


기초 유닉스 명령어

인터넷은 기본적으로 유닉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
서 기초적인 유닉스 명령어는 반드시 익혀 두어야 합니다. 인터넷을
위해서 유닉스의 모든 명령어를 알아둘 필요는 없지만 다음에 나와있
는 명령어들은 일상적으로 흔히 이용되는 명령어들입니다. 많이 알아
두면 좋겠지만, 우선 11개의 명령어를 소개합니다.

login
유닉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multi-user개념에서 시작하였기 때
문에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로그인을 하여야 합니
다. 로그인은 PC 통신에서도 많이 사용되어져 왔기 때문에 그 개
념 설정에 그다지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흔히 말하는 ID를 입
력하는 과정입니다.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영문자의 대소문자 구별이 엄격합니다. 이
점 주의 해주시기 바랍니다.

passwd
유닉스, 특히 인터넷의 세계에서는 일반 컴퓨팅 상황에 비하여
훨씬 해킹에 대한 위험이 높습니다. 패스워드는 완성된 단어 보
다는 단어 중간에 숫자나 키보드의 ^, #, ' 등과 같은 쉽게 연상
할 수 없는 기호를 삽입하여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ls - 디렉토리의 파일 표시
도스의 dir명령과 흡사한 명령입니다. 일반적으로 ls라고 입력했
을 때에는 디렉토리와 파일만을 표시해 줍니다. ls에는 도스의 d
ir과는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 옵션이 많습니다.

모든 옵션을 외울 수는 없겠지만, 몇가지 자주 사용되는 옵션을
소개합니다.

ls -al : Hidden속성의 파일을 표시해주는 a옵션과 파일의 종류,
사용권한 등 자세한 정보를 보여주는 옵션 l을 함께 사용하여
보다 자세한 정보를 보고자 할 때 이용합니다.

ls -aC : Hidden속성의 파일을 보여주되, 도스의 dir/w명령과 같
이 한줄에 여러개의 정보를 보여주도록 C옵션을 함께 사용하여
이용합니다.

ls -R : 도스의 dir/s 명령과 같이 서브디렉토리의 모든 명령어
를 보여주는 옵션 R과 같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cd - Change Directory
cd 명령어는 도스의 cd와 그 쓰임새도 같고 사용할 때에 한가지
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그것은, 도스에서는 cd\dos와 같이 사용하지만, 유닉스에서는 반
드시 cd 뒤에 한칸을 띄우고 '\' 대신 '/'를 사용한다는 것입니
다.

예) cd temp

유닉스의 디렉토리는 말 그대로 거미줄 같이 복잡하게 얽혀 있습
니다. 따라서 개인의 홈디렉토리로의 이동을 위하여 HNCNET에서
는 'cd ~'를 입력하면 자신의 홈디렉토리로 이동을 하도록 준비
가 되어 있습니다. 잘 이용하시면 꽤 쓸모있게 사용될 것입니다.


mkdir - 도스의 MD, Make Directory
이 기능 역시 도스의 MD와 같은 기능을 하는 명령어입니다. 옛날
도스책을 보신 분들은 'MD (Make Directory-MKDIR)이라는 설명이
기억 나실 수도 있겠는데, 유닉스에서는 md라는 명령어가 아니라
반드시 mkdir로 디렉토리를 만드셔야 합니다.

rmdir - 도스의 RD, Remove Directory
rmdir 명령어는 도스의 RD 명령어와 동일하게 사용하실 수 있는
명령어로 rmdir로 이용하시면 된다는 것외에는 다른 점이 없습니
다. 주의하실 점은 절대로 자신의 홈디렉토리를 지우시면 안된다
는 것입니다. 자신의 홈디렉토리는 '/user/개인아이디'의 이름으
로 존재합니다.

mv - move, 도스의 move?
마치 도스의 move와 같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을 다른곳
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름을 바꿀때 이용하는 명령어입니다.

cp - copy
도스의 copy 명령어와 같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도스
의 일반 옵션을 이용할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옵션을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옵션을 보시고 싶으실 때에는 주저없이 man
cp라고 입력하십시오. 유닉스에서는 아주 자세한 help파일이 존
재합니다.

rm - remove
파일을 지울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도스의 DEL명령어와 같이
사용하시면 되지만, 주의하실 점은 유닉스에서는 도스와 같이 un
delete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유닉스 시스템을 이용하

pwd - 현재의 디렉토리 표시
현재 디렉토리를 표시할 필요가 왜 있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일일이 현재 디렉
토리를 가르쳐 주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스등 개인 사용자
를 위주로 하는 시스템에서는 디렉토리의 길이가 그리 길지 않아
서 디렉토리를 모두 보여주어도 큰 지장이 없지만 유닉스 시스템
의 경우 아예 디렉토리의 길이만 한줄을 넘기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현재 자신이 작업을 하고 있는 디렉토리가
어디인지 알수 없을 때 이용하는 명령어입니다.

alias - doskey alias와 비슷하게 이용할 수 있는 쉘 명령어
alias는 말그대로 별명입니다. 사용자는 alias를 이용하여 긴 유
닉스 명령어를 간단하게 줄여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들 알
리아스는 [alias ls 'ls -al']등과 같이 사용하시면 되는데, 한
번 지정한 alias를 계속해서 이용하시려면,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cshrc(Hidden 속성)을 pico등의 에디터를 이용하여 변경시
키면 됩니다.


posted by 松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