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 5. 7. 00:29
내발자국[동호회]
From sysuh@kigam.re.kr Mon May 05 09:01:05 1997
Newsgroups: han.answers,han.news.users
Subject: FAQ: Why I can't read news except han newsgroups?
From: sysuh@kigam.re.kr (Sang-yong Suh)
Date: Mon, 05 May 1997 00:01:05 GMT+0900
Archive-name: newsAccess
Last-Updated: 96/11/20
Version: 1.7
목차
----
0. 이 글을 읽을 사람?
1. 서 론
2. DNS(Domain Name System)란 무엇인가?
3. 내 컴퓨터 이름은?
4. DNS 등록
5. 주소기록의 등록상태 확인
6. 포인터기록의 등록상태 확인
7. 등록을 했는데도 han.*만 보입니다.
0. 이 글을 읽을 사람?
이 글은 국내에 거주하는 사람으로써 비영리 통신망(예: 교육망, 연구망)을
이용하여 "유즈넷"(Usenet)을 사용하는 사람에게만 해당됩니다. 따라서
데이콤, 코넷, 하이텔, 나우콤, 누리넷, 넥스텔, 엘림넷, 한솔, 인터피아등
상업망 가입자분들은 이 글을 읽으실 필요가 없습니다. 만일 상업망 사용자
여러분께서 "유즈넷"을 사용하는데 불편을 느끼시면 해당 가입기관의 뉴스서버
담당자에게 문의하시는 것이 최선입니다. 일반적으로 뉴스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는 usenet@news.도메인입니다. 참고로 국내 몇몇 상업망 뉴스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콤: usenet@news.dacom.co.kr
코 넷: usenet@news.kornet.nm.kr
하이텔: usenet@news.kol.co.kr
나우콤: usenet@news.nowcom.co.kr
누리넷: usenet@news.nuri.net
넥스텔: usenet@news.nextel.net
엘림넷: usenet@news.elim.net
한 솔: usenet@news.hansol.co.kr
인터피아: usenet@news.ineterpia.net
1. 서 론
국내 유즈넷 사용자의 수가 증가함에따라 뉴스서버가 무척 붐비게되었으며
그 결과 유명 뉴스서버들은 메모리 부족, 디스크 다운, CPU 로드증가등
많은 문제점을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공기관의 일부 공개된 뉴스서버들도
서비스 원칙을 바꾸게 되었습니다.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외국 사용자의 제한입니다. 과거, 무제한으로
뉴스서버를 공개하였던 결과 외국의 많은 사람들이 거꾸로 국내 뉴스서버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들이 국내 뉴스서버를 사용하는 이유는
유즈넷이 원래 무료가 아니기 때문에 돈을 절약하려고하는 점에 나아가서,
자신이 소속된 기관명을 밝힐 수 없는 특별한 글(예: 남을 비방하는 글)을
공개된 뉴스서버를 통해 올리기 위한점입니다. 아직까지 동남아 일부 국가에는
완전공개된 뉴스서버가 있답니다. 그러나 이들 서버들은 유즈넷에 유익한 건설적인
글보다는 유즈넷에 해가되는 글을 더 많이 올리고 있답니다. 뿐만아니라 해외에서
국내 뉴스서버를 접속하면 그렇지않아도 붐비는 해외라인을 더욱 붐비게합니다.
이리하여 연구망을 위시한 일부 공공기관에서는 해외사용자에 대한
무료 서비스를 중단하게되었습니다. 그러나 해외 교포들에게 국내 소식을
전할 필요는 있겠지요. 따라서 해외에서 접속을 시도하는 사람은
han.* 뉴스그룹만을 보여주며, 국내 사용자에게는 아직까지 모든 뉴스그룹
(단 erotic은 제외)을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만일 여러분께서 han.*만을 볼 수 있다면 해당 뉴스서버가 당신의 컴퓨터를
한국내 컴퓨터가 아닌 것으로 오인하였기 때문입니다. 한편 무료로 서비스를
받는 입장에서 자신의 컴퓨터가 한국의 것임을 밝힐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은
최소한의 의무가 아닐까요?
다음은 현재 사용하고 계시는 컴퓨터를 한국내 컴퓨터라고 증명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합니다.
2. DNS(Domain Name System)란 무엇인가?
이제 약간 기술적인 이야기를 해야겠군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IP 주소라는 고유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고 있습니다. 예로써 연구망
제 1 뉴스서버인 news.kreonet.re.kr의 IP 주소는 134.75.15.2입니다.
어떤 컴퓨터는 IP 주소를 2개 이상 갖고 있기도 합니다. 이들은 서로 다른
네트웍을 중계해주는 라우터(router)들이지요.
PC도 인터넷에 연결이 되었다면 고유한 IP 주소를 갖게됩니다.
넷스케이프를 사용하신다면 자신이 사용하시는 PC의 IP 주소는 아시겠지요.
제 아들 녀석이 사용하는 PC도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있지요.
IP 주소가 134.75.144.217입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IP 주소만으로는 그 컴퓨터가 어느 나라 어느 기관의 호스트라고
알기가 힘듭니다. 물론 사용자 자신은 알지요. 그러나 문제는 사용자 본인뿐만
아니라 당신이 서비스를 받을 뉴스서버 관리자등 여러 사람이 그것을 알아야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목적으로 IP 주소를 국가 및 기관별로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을
DNS(Domain Name System)라 합니다.
DNS는 국가코드, 망코드, 기관코드등으로 구성됩니다. 한편 한국의 국가코드는
kr입니다. 우리나라는 20여년 전에 5대 기간망을 설정하였으며 이중 인터넷에
연결된 몇개의 망에 고유한 망코드를 붙였답니다. 즉, 학술망은 ac, 연구망은
re, 상업망은 co등입니다. 이밖에도 정부기관의 행정망에서 사용하는 go도
있고 한국통신에서 사용하는 nm도 있답니다.
DNS하에서 특정 기관의 도메인 이름은 기관코드, 망코드, 국가코드를 각각
점(.)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집니다. 연구망 사무국의 기관코드는 kreonet입니다.
따라서 연구망 사무국의 도메인 이름은 kreonet.re.kr이 됩니다. 제가 소속된
한국자원연구소의 기관코드는 kigam입니다. 따라서 한국자원연구소의
DNS 상의 도메인 이름은 kigam.re.kr입니다. 국내에서 인터넷 활동이
가장 많은 한국과학기술원의 도메인 이름은 kaist.ac.kr이고 서울대학교의
도메인 이름은 snu.ac.kr입니다. (미국은 edu, com, org등의 망코드를
사용하기도하는데 이경우 국가코드 us를 생략한답니다.)
3. 내 컴퓨터 이름은?
컴퓨터도 이름을 갖습니다. 시스템공학연구소에있는 국내 최대의 슈퍼컴퓨터
는 이름이 crayc90입니다. 컴퓨터 이름은 그 주인이 붙이는것으로 같은 기관
(도메인) 내에 중복된 이름만 피하면 됩니다.
여러대의 컴퓨터에 이름을 붙일때는 산이름을 따서 baekdu, sobaek, jiri, worak,
halla등으로 할 수도 있고, 희랍 신화에 나오는 신의 이름을 따서 zeus,
venus, hercules등으로 붙일 수도 있습니다. 인터넷 서버스 기관에서는
컴퓨터가 담당한 업무를 따라 뉴스서버는 news, 웹서버는 www, ftp 서버는
ftp, 메일 서버는 mail, 네임서버는 ns등으로 붙이기도합니다.
저는 연구실에서 탄성파탐사자료 전산처리용 컴퓨터를 여러대 운영하고있는데
이들 이름은 탐사자료 전산처리 공정 이름을 따서 sdp, cdp, nmo, avo, dmo,
mas, mbs, stack등으로 지었습니다. 집에있는 PC들은 hsdp와 hcdp라고
사무실 컴퓨터의 이름 앞에 h(home)를 붙여서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컴퓨터 이름은 그 기관에서만 통용이 가능합니다. 같은 이름의
컴퓨터가 다른 기관에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인터넷에서
컴퓨터 이름을 부를때는 도메인 이름과 함께 사용합니다. 즉, 시스템공학연구소의
슈퍼컴퓨터는 crac90.seri.re.kr 이라하고, 연구망 제 1 뉴스서버는
news.kreonet.re.kr이라 합니다. 제 아들 녀석 PC는 hcdp.kigam.re.kr이지요.
이와같이 호스트명과 도메인명을 한꺼번에 기록한 컴퓨터명을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이라 합니다.
만일 지금 사용하시는 PC에 이름이 없다면 지금 즉시 적당한 이름을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자신의 이름을 따도 무방합니다. 컴퓨터 이름은 영문 알파벳으로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문자를 사용하셔도 무방하나, 많은 소프트웨어들이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않으므로 처음부터 소문자만을 사용하시는 것�좋습니다.
4. DNS 등록
컴퓨터 이름을 지으셨다면 다음은 이것을 남에게 알리는 것입니다.
DNS에 등록하는 것은 새로 태어난 아기의 출생신고와 마찬가지입니다.
DNS 등록은 각 도메인의 주네임서버(primary name server)라는 컴퓨터에
등록합니다. 일반적으로 네임서버는 호스트명이 ns를 갖습니다. 서울대학의
주네임서버는 ns.snu.ac.kr이고, 전자통신연구소의 주네임서버는
ns.etri.re.kr입니다.
소속기관의 주네임서버를 아신다면 보통은 그 컴퓨터의 관리자에게 등록할 컴퓨터의
IP주소와 호스트명을 기록하여 e-mail을 보내시면 됩니다중에는
호스트명, IP주소뿐만아니라 컴퓨터 기종, OS, 시스템 관리자의 전화번호등을
추가로 서비스하기도합니다. 따라서 DNS 등록시에 이상의 정보까지 한꺼번에
기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전화번호를 아신다면 전화를 이용하시는
것이 빠를 수 있습니다.
어떤 기관은 주네임서버의 이름이 ns로 시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
어떤 기관은 해당기관에 네임서버가 없고 다른 기관에 위탁하여 운영하기도합니다.
주네임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를 알려면 우선 가까운 Unix 워크스테이션을
찾습니다. 모든 Unix 워크스테이션에는 nslooku繭遮�네임서버 조회용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주네임서버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공주대학교의 주네임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를 알아보는 예입니다.
----------------------------------------------------------------------------
% nslookup # nslookup 명령을 입력합니다.
> server ns.krnic.net # 한국전산원의 네임서버로 연결합니다.
Default Server: ns.krnic.net
Address: 202.30.64.21
> set q=soa # 전산원에 등록된 authority 기록을 열람.
> kongju.ac.kr # 공주대학교의 주네임서버를 알고싶을때
Non-authoritative answer:
kongju.ac.kr origin = knu.kongju.ac.kr
mail addr = root.knu.kongju.ac.kr #공주대학 네임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
serial=960402, refresh=10800, retry=3600, expire=432000, min=86400
Authoritative answers can be found from:
knu.kongju.ac.kr inet address = 203.253.33.6
image.kongju.ac.kr inet address = 203.253.37.32
baekma.chungnam.ac.kr inet address = 168.188.1.1
> exit # nookup 작업을 끝냅니다.
----------------------------------------------------------------------------
주네임서버를 알아볼때 주의할 점은 반드시 한국전산원의 주네임서버인
ns.krnic.net(202.30.64.21)로 질문하여야한다는 것입니다. 이밖에 다른
네임서버들은 틀린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죠. 위의 예에서
"server ns.krnic.net"라는 명령은 한국전산원의 주네임서버로 연결하는
명령입니다.
다음으로는 "set q=soa"라는 명령을 사용하여 질문 내용이 soa
(Start of Authority) 기록임을 지정합니다. soa 기록이란 특정 도메인의
주네임서버에 관한 기록으로 국내 모든 도메인의 soa 정보는 한국전산원에
등록하기때문입니다.
이제 "kongju.ac.kr"이라는 명령으로 공주대학교 도메인의 soa 기록을
조회합니다. 이때 한국전산원 네임서버는 soa 기록을 보여주는데 그중
"mail addr = root.knu.kongju.ac.kr"이라는 줄이 공주대학교의 주네임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를 담고 있습니다. 관리자의 e-mail 주소는 root
다음에 나오는 점(.)을 "@" 글자로 바꾸면 됩니다. 즉, 공주대학교
주네임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는 root@knu.kongju.ac.kr입니다.
5. 주소기록의 등록뼘 확인
DNS에 등록을 하셨다면 등록이 정확히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겠지요. 이것 역시 Unix 워크스테이션에서 nslookup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다음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자원공학과의 Pentium 컴퓨터
earth.hanyang.ac.kr의 주소기록 즉, IP 번호를 조회하는 예입니다.
----------------------------------------------------------------------------
% nslookup # nslookup 명령을 입력합니다.
> server ns.krnic.net # 한국전산원의 네임서버로 연결합니다.
Default Server: ns.krnic.net
Address: 202.30.64.21
> set q=a # A(Address) 기록을 질문합니다.
> earth.hanyang.ac.kr
Server: ns.krnic.net
Address: 202.30.64.21
Name: earth.hanyang.ac.kr
Address: 166.104.14.7
----------------------------------------------------------------------------
주네임서버를 조회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nslookup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또, "server ns.krnic.net"라는 명령으로 한국전산원 주네임서버에게 직접
물어봅니다. "set q=a"라는 명령으로 조회기록이 A(Address)기록, 즉 IP 玲�BR>기록임을 지정합니다. 한편 nslookup 프로그램은 조회기록을 특별히 지정하지
않으면 "A"기록을 보여주므로 이 명령은 생략하여도 무방합니다.
이제 조회할 컴퓨터의 FQDN 즉, earth.hanyang.ac.kr을 입력하여 IP 주소를
조회합니다. 네임서버는 earth.hanyang.ac.kr의 IP 주소를 166.104.14.7
이라고 정확히 가르쳐줍니다.
6. 포인터기록의 등록상태 확인
포인터 기록은 IP 주소로부터 호스트 이름을 알아내는데 사용됩니다.
뉴스서버가 당신의 컴퓨터를 한국내 컴퓨터로 인식하기위해 이 기록을
참조합니다. 또 해외의 유명 ftp 서버들도 이 기록을 참조하여 미등록
호스트들은 ftp 서비스를 거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은 nslooku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earth.hanyang.ac.kr(166.104.14.7)의
포인터(PTR) 기록을 조회하는 예입니다.
----------------------------------------------------------------------------
% nslookup # nslookup 명령을 입력합니다.
> server ns.krnic.net # 한국전산원의 네임서버로 연결합니다.
Default Server: ns.krnic.net
Address: 202.30.64.21
> set q=ptr # 포인터 기록을 질문합니다.
> .14.104.166.in-addr.arpa
Server: ns.krnic.net
Address: 202.30.64.21
7.14.104.166.in-addr.arpa host name = earth.hanyang.ac.kr
> exit
----------------------------------------------------------------------------
nslookup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ns.krnic.net으로 연결한 후 "set q=ptr"
이라는 명령으로 질문기록을 포인터 기록으로 지정합니다. 다음으로는
IP 주소의 숫자 4개를 거꾸로 적고 그 뒤에 ".in-addr.arpa"를 붙여서
입력합니다. 한국전산원의 네임서버는 해당 IP 번호의 PTR 기록을 조회하여
컴퓨터 이름 earth.hanyang.ac.kr이라고 알려줍니다.
참고: 많은 기관의 인터넷 관리자들이 전문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네임서버를
관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DNS 등록은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바꿔주는
주소(A: Address) 레코드와 반대로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바꿔주는
포인터(PTR: Pointer) 레코드등이 있습니다. 처음 것은 등록한 컴퓨터로
직접 e-mail을 수신코자할떼 필요하며 두번째 것은 뉴스와 ftp 서비스를
받고자할때 필요한 것입니다. han.* 뿐만아니라 모든 세계뉴스를 보시고
싶다면 포인터 레코드가 필요함을 DNS 관리자에게 주지시키시기 바랍니다.
7. 등록을 했는데도 han.*만 보입니다.
그런 경우가 가끔씩 있습니다. 우선 위의 예와같이 한국전산원의 네임서버
ns.krnic.net에 조회하여 등록상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이 없는데도
han.*만 보인다면 해당 뉴스서버가 사용하는 네임서버에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이럴때는 뉴스서버 관리자에게 직접 e-mail을 보내시기바랍니다.
보내실때는 자신의 컴퓨터 이름, IP 주소, 접속 시도 날짜 및 시간등을 같이
적어보내시면 그 원인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글을 쓸 당시 국내 공개�뉴스서버의 관리자 e-mail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usenet@news.kreonet.re.kr
usenet@usenet.seri.re.kr
usenet@worak.kaist.ac.kr
usenet@ccsun2.sogang.ac.kr
참고: 이글은 저자의 무지로 인하여 틀린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글의 내용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시지마시고 중요한 점은
반드시 독자 여러분께서 직접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이 글의 저작권은 서상용(sysuh@kigam.re.kr)에게 있습니다.
이 글을 유즈넷 뉴스그룹이나 BBS등 컴퓨터 온라인 서비스등에서 비영리
목적으로玲淪絿킴摸�본 저작권 문구를 빠뜨리지않으신다는 조건으로
자유롭게 하실 수 있습니다. 또 이 글을 개인적으로 복사하여 보관하시는 것도
자유입니다. 다만 이 글을 상업적인 목적에 사용하시려면 미리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합니다.
--
한국자원연구소 서 상 용 sysuh@kigam.re.kr
Newsgroups: han.answers,han.news.users
Subject: FAQ: Why I can't read news except han newsgroups?
From: sysuh@kigam.re.kr (Sang-yong Suh)
Date: Mon, 05 May 1997 00:01:05 GMT+0900
Archive-name: newsAccess
Last-Updated: 96/11/20
Version: 1.7
목차
----
0. 이 글을 읽을 사람?
1. 서 론
2. DNS(Domain Name System)란 무엇인가?
3. 내 컴퓨터 이름은?
4. DNS 등록
5. 주소기록의 등록상태 확인
6. 포인터기록의 등록상태 확인
7. 등록을 했는데도 han.*만 보입니다.
0. 이 글을 읽을 사람?
이 글은 국내에 거주하는 사람으로써 비영리 통신망(예: 교육망, 연구망)을
이용하여 "유즈넷"(Usenet)을 사용하는 사람에게만 해당됩니다. 따라서
데이콤, 코넷, 하이텔, 나우콤, 누리넷, 넥스텔, 엘림넷, 한솔, 인터피아등
상업망 가입자분들은 이 글을 읽으실 필요가 없습니다. 만일 상업망 사용자
여러분께서 "유즈넷"을 사용하는데 불편을 느끼시면 해당 가입기관의 뉴스서버
담당자에게 문의하시는 것이 최선입니다. 일반적으로 뉴스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는 usenet@news.도메인입니다. 참고로 국내 몇몇 상업망 뉴스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콤: usenet@news.dacom.co.kr
코 넷: usenet@news.kornet.nm.kr
하이텔: usenet@news.kol.co.kr
나우콤: usenet@news.nowcom.co.kr
누리넷: usenet@news.nuri.net
넥스텔: usenet@news.nextel.net
엘림넷: usenet@news.elim.net
한 솔: usenet@news.hansol.co.kr
인터피아: usenet@news.ineterpia.net
1. 서 론
국내 유즈넷 사용자의 수가 증가함에따라 뉴스서버가 무척 붐비게되었으며
그 결과 유명 뉴스서버들은 메모리 부족, 디스크 다운, CPU 로드증가등
많은 문제점을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공기관의 일부 공개된 뉴스서버들도
서비스 원칙을 바꾸게 되었습니다.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외국 사용자의 제한입니다. 과거, 무제한으로
뉴스서버를 공개하였던 결과 외국의 많은 사람들이 거꾸로 국내 뉴스서버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들이 국내 뉴스서버를 사용하는 이유는
유즈넷이 원래 무료가 아니기 때문에 돈을 절약하려고하는 점에 나아가서,
자신이 소속된 기관명을 밝힐 수 없는 특별한 글(예: 남을 비방하는 글)을
공개된 뉴스서버를 통해 올리기 위한점입니다. 아직까지 동남아 일부 국가에는
완전공개된 뉴스서버가 있답니다. 그러나 이들 서버들은 유즈넷에 유익한 건설적인
글보다는 유즈넷에 해가되는 글을 더 많이 올리고 있답니다. 뿐만아니라 해외에서
국내 뉴스서버를 접속하면 그렇지않아도 붐비는 해외라인을 더욱 붐비게합니다.
이리하여 연구망을 위시한 일부 공공기관에서는 해외사용자에 대한
무료 서비스를 중단하게되었습니다. 그러나 해외 교포들에게 국내 소식을
전할 필요는 있겠지요. 따라서 해외에서 접속을 시도하는 사람은
han.* 뉴스그룹만을 보여주며, 국내 사용자에게는 아직까지 모든 뉴스그룹
(단 erotic은 제외)을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만일 여러분께서 han.*만을 볼 수 있다면 해당 뉴스서버가 당신의 컴퓨터를
한국내 컴퓨터가 아닌 것으로 오인하였기 때문입니다. 한편 무료로 서비스를
받는 입장에서 자신의 컴퓨터가 한국의 것임을 밝힐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은
최소한의 의무가 아닐까요?
다음은 현재 사용하고 계시는 컴퓨터를 한국내 컴퓨터라고 증명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합니다.
2. DNS(Domain Name System)란 무엇인가?
이제 약간 기술적인 이야기를 해야겠군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IP 주소라는 고유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고 있습니다. 예로써 연구망
제 1 뉴스서버인 news.kreonet.re.kr의 IP 주소는 134.75.15.2입니다.
어떤 컴퓨터는 IP 주소를 2개 이상 갖고 있기도 합니다. 이들은 서로 다른
네트웍을 중계해주는 라우터(router)들이지요.
PC도 인터넷에 연결이 되었다면 고유한 IP 주소를 갖게됩니다.
넷스케이프를 사용하신다면 자신이 사용하시는 PC의 IP 주소는 아시겠지요.
제 아들 녀석이 사용하는 PC도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있지요.
IP 주소가 134.75.144.217입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IP 주소만으로는 그 컴퓨터가 어느 나라 어느 기관의 호스트라고
알기가 힘듭니다. 물론 사용자 자신은 알지요. 그러나 문제는 사용자 본인뿐만
아니라 당신이 서비스를 받을 뉴스서버 관리자등 여러 사람이 그것을 알아야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목적으로 IP 주소를 국가 및 기관별로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을
DNS(Domain Name System)라 합니다.
DNS는 국가코드, 망코드, 기관코드등으로 구성됩니다. 한편 한국의 국가코드는
kr입니다. 우리나라는 20여년 전에 5대 기간망을 설정하였으며 이중 인터넷에
연결된 몇개의 망에 고유한 망코드를 붙였답니다. 즉, 학술망은 ac, 연구망은
re, 상업망은 co등입니다. 이밖에도 정부기관의 행정망에서 사용하는 go도
있고 한국통신에서 사용하는 nm도 있답니다.
DNS하에서 특정 기관의 도메인 이름은 기관코드, 망코드, 국가코드를 각각
점(.)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집니다. 연구망 사무국의 기관코드는 kreonet입니다.
따라서 연구망 사무국의 도메인 이름은 kreonet.re.kr이 됩니다. 제가 소속된
한국자원연구소의 기관코드는 kigam입니다. 따라서 한국자원연구소의
DNS 상의 도메인 이름은 kigam.re.kr입니다. 국내에서 인터넷 활동이
가장 많은 한국과학기술원의 도메인 이름은 kaist.ac.kr이고 서울대학교의
도메인 이름은 snu.ac.kr입니다. (미국은 edu, com, org등의 망코드를
사용하기도하는데 이경우 국가코드 us를 생략한답니다.)
3. 내 컴퓨터 이름은?
컴퓨터도 이름을 갖습니다. 시스템공학연구소에있는 국내 최대의 슈퍼컴퓨터
는 이름이 crayc90입니다. 컴퓨터 이름은 그 주인이 붙이는것으로 같은 기관
(도메인) 내에 중복된 이름만 피하면 됩니다.
여러대의 컴퓨터에 이름을 붙일때는 산이름을 따서 baekdu, sobaek, jiri, worak,
halla등으로 할 수도 있고, 희랍 신화에 나오는 신의 이름을 따서 zeus,
venus, hercules등으로 붙일 수도 있습니다. 인터넷 서버스 기관에서는
컴퓨터가 담당한 업무를 따라 뉴스서버는 news, 웹서버는 www, ftp 서버는
ftp, 메일 서버는 mail, 네임서버는 ns등으로 붙이기도합니다.
저는 연구실에서 탄성파탐사자료 전산처리용 컴퓨터를 여러대 운영하고있는데
이들 이름은 탐사자료 전산처리 공정 이름을 따서 sdp, cdp, nmo, avo, dmo,
mas, mbs, stack등으로 지었습니다. 집에있는 PC들은 hsdp와 hcdp라고
사무실 컴퓨터의 이름 앞에 h(home)를 붙여서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컴퓨터 이름은 그 기관에서만 통용이 가능합니다. 같은 이름의
컴퓨터가 다른 기관에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인터넷에서
컴퓨터 이름을 부를때는 도메인 이름과 함께 사용합니다. 즉, 시스템공학연구소의
슈퍼컴퓨터는 crac90.seri.re.kr 이라하고, 연구망 제 1 뉴스서버는
news.kreonet.re.kr이라 합니다. 제 아들 녀석 PC는 hcdp.kigam.re.kr이지요.
이와같이 호스트명과 도메인명을 한꺼번에 기록한 컴퓨터명을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이라 합니다.
만일 지금 사용하시는 PC에 이름이 없다면 지금 즉시 적당한 이름을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자신의 이름을 따도 무방합니다. 컴퓨터 이름은 영문 알파벳으로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문자를 사용하셔도 무방하나, 많은 소프트웨어들이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않으므로 처음부터 소문자만을 사용하시는 것�좋습니다.
4. DNS 등록
컴퓨터 이름을 지으셨다면 다음은 이것을 남에게 알리는 것입니다.
DNS에 등록하는 것은 새로 태어난 아기의 출생신고와 마찬가지입니다.
DNS 등록은 각 도메인의 주네임서버(primary name server)라는 컴퓨터에
등록합니다. 일반적으로 네임서버는 호스트명이 ns를 갖습니다. 서울대학의
주네임서버는 ns.snu.ac.kr이고, 전자통신연구소의 주네임서버는
ns.etri.re.kr입니다.
소속기관의 주네임서버를 아신다면 보통은 그 컴퓨터의 관리자에게 등록할 컴퓨터의
IP주소와 호스트명을 기록하여 e-mail을 보내시면 됩니다중에는
호스트명, IP주소뿐만아니라 컴퓨터 기종, OS, 시스템 관리자의 전화번호등을
추가로 서비스하기도합니다. 따라서 DNS 등록시에 이상의 정보까지 한꺼번에
기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전화번호를 아신다면 전화를 이용하시는
것이 빠를 수 있습니다.
어떤 기관은 주네임서버의 이름이 ns로 시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
어떤 기관은 해당기관에 네임서버가 없고 다른 기관에 위탁하여 운영하기도합니다.
주네임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를 알려면 우선 가까운 Unix 워크스테이션을
찾습니다. 모든 Unix 워크스테이션에는 nslooku繭遮�네임서버 조회용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주네임서버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공주대학교의 주네임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를 알아보는 예입니다.
----------------------------------------------------------------------------
% nslookup # nslookup 명령을 입력합니다.
> server ns.krnic.net # 한국전산원의 네임서버로 연결합니다.
Default Server: ns.krnic.net
Address: 202.30.64.21
> set q=soa # 전산원에 등록된 authority 기록을 열람.
> kongju.ac.kr # 공주대학교의 주네임서버를 알고싶을때
Non-authoritative answer:
kongju.ac.kr origin = knu.kongju.ac.kr
mail addr = root.knu.kongju.ac.kr #공주대학 네임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
serial=960402, refresh=10800, retry=3600, expire=432000, min=86400
Authoritative answers can be found from:
knu.kongju.ac.kr inet address = 203.253.33.6
image.kongju.ac.kr inet address = 203.253.37.32
baekma.chungnam.ac.kr inet address = 168.188.1.1
> exit # nookup 작업을 끝냅니다.
----------------------------------------------------------------------------
주네임서버를 알아볼때 주의할 점은 반드시 한국전산원의 주네임서버인
ns.krnic.net(202.30.64.21)로 질문하여야한다는 것입니다. 이밖에 다른
네임서버들은 틀린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죠. 위의 예에서
"server ns.krnic.net"라는 명령은 한국전산원의 주네임서버로 연결하는
명령입니다.
다음으로는 "set q=soa"라는 명령을 사용하여 질문 내용이 soa
(Start of Authority) 기록임을 지정합니다. soa 기록이란 특정 도메인의
주네임서버에 관한 기록으로 국내 모든 도메인의 soa 정보는 한국전산원에
등록하기때문입니다.
이제 "kongju.ac.kr"이라는 명령으로 공주대학교 도메인의 soa 기록을
조회합니다. 이때 한국전산원 네임서버는 soa 기록을 보여주는데 그중
"mail addr = root.knu.kongju.ac.kr"이라는 줄이 공주대학교의 주네임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를 담고 있습니다. 관리자의 e-mail 주소는 root
다음에 나오는 점(.)을 "@" 글자로 바꾸면 됩니다. 즉, 공주대학교
주네임서버 관리자의 e-mail 주소는 root@knu.kongju.ac.kr입니다.
5. 주소기록의 등록뼘 확인
DNS에 등록을 하셨다면 등록이 정확히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겠지요. 이것 역시 Unix 워크스테이션에서 nslookup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다음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자원공학과의 Pentium 컴퓨터
earth.hanyang.ac.kr의 주소기록 즉, IP 번호를 조회하는 예입니다.
----------------------------------------------------------------------------
% nslookup # nslookup 명령을 입력합니다.
> server ns.krnic.net # 한국전산원의 네임서버로 연결합니다.
Default Server: ns.krnic.net
Address: 202.30.64.21
> set q=a # A(Address) 기록을 질문합니다.
> earth.hanyang.ac.kr
Server: ns.krnic.net
Address: 202.30.64.21
Name: earth.hanyang.ac.kr
Address: 166.104.14.7
----------------------------------------------------------------------------
주네임서버를 조회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nslookup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또, "server ns.krnic.net"라는 명령으로 한국전산원 주네임서버에게 직접
물어봅니다. "set q=a"라는 명령으로 조회기록이 A(Address)기록, 즉 IP 玲�BR>기록임을 지정합니다. 한편 nslookup 프로그램은 조회기록을 특별히 지정하지
않으면 "A"기록을 보여주므로 이 명령은 생략하여도 무방합니다.
이제 조회할 컴퓨터의 FQDN 즉, earth.hanyang.ac.kr을 입력하여 IP 주소를
조회합니다. 네임서버는 earth.hanyang.ac.kr의 IP 주소를 166.104.14.7
이라고 정확히 가르쳐줍니다.
6. 포인터기록의 등록상태 확인
포인터 기록은 IP 주소로부터 호스트 이름을 알아내는데 사용됩니다.
뉴스서버가 당신의 컴퓨터를 한국내 컴퓨터로 인식하기위해 이 기록을
참조합니다. 또 해외의 유명 ftp 서버들도 이 기록을 참조하여 미등록
호스트들은 ftp 서비스를 거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은 nslooku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earth.hanyang.ac.kr(166.104.14.7)의
포인터(PTR) 기록을 조회하는 예입니다.
----------------------------------------------------------------------------
% nslookup # nslookup 명령을 입력합니다.
> server ns.krnic.net # 한국전산원의 네임서버로 연결합니다.
Default Server: ns.krnic.net
Address: 202.30.64.21
> set q=ptr # 포인터 기록을 질문합니다.
> .14.104.166.in-addr.arpa
Server: ns.krnic.net
Address: 202.30.64.21
7.14.104.166.in-addr.arpa host name = earth.hanyang.ac.kr
> exit
----------------------------------------------------------------------------
nslookup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ns.krnic.net으로 연결한 후 "set q=ptr"
이라는 명령으로 질문기록을 포인터 기록으로 지정합니다. 다음으로는
IP 주소의 숫자 4개를 거꾸로 적고 그 뒤에 ".in-addr.arpa"를 붙여서
입력합니다. 한국전산원의 네임서버는 해당 IP 번호의 PTR 기록을 조회하여
컴퓨터 이름 earth.hanyang.ac.kr이라고 알려줍니다.
참고: 많은 기관의 인터넷 관리자들이 전문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네임서버를
관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DNS 등록은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바꿔주는
주소(A: Address) 레코드와 반대로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바꿔주는
포인터(PTR: Pointer) 레코드등이 있습니다. 처음 것은 등록한 컴퓨터로
직접 e-mail을 수신코자할떼 필요하며 두번째 것은 뉴스와 ftp 서비스를
받고자할때 필요한 것입니다. han.* 뿐만아니라 모든 세계뉴스를 보시고
싶다면 포인터 레코드가 필요함을 DNS 관리자에게 주지시키시기 바랍니다.
7. 등록을 했는데도 han.*만 보입니다.
그런 경우가 가끔씩 있습니다. 우선 위의 예와같이 한국전산원의 네임서버
ns.krnic.net에 조회하여 등록상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이 없는데도
han.*만 보인다면 해당 뉴스서버가 사용하는 네임서버에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이럴때는 뉴스서버 관리자에게 직접 e-mail을 보내시기바랍니다.
보내실때는 자신의 컴퓨터 이름, IP 주소, 접속 시도 날짜 및 시간등을 같이
적어보내시면 그 원인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글을 쓸 당시 국내 공개�뉴스서버의 관리자 e-mail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usenet@news.kreonet.re.kr
usenet@usenet.seri.re.kr
usenet@worak.kaist.ac.kr
usenet@ccsun2.sogang.ac.kr
참고: 이글은 저자의 무지로 인하여 틀린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글의 내용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시지마시고 중요한 점은
반드시 독자 여러분께서 직접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이 글의 저작권은 서상용(sysuh@kigam.re.kr)에게 있습니다.
이 글을 유즈넷 뉴스그룹이나 BBS등 컴퓨터 온라인 서비스등에서 비영리
목적으로玲淪絿킴摸�본 저작권 문구를 빠뜨리지않으신다는 조건으로
자유롭게 하실 수 있습니다. 또 이 글을 개인적으로 복사하여 보관하시는 것도
자유입니다. 다만 이 글을 상업적인 목적에 사용하시려면 미리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합니다.
--
한국자원연구소 서 상 용 sysuh@kigam.re.kr
'내발자국[동호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ONE(Multicast-Bone) FAQ 한글 (1) (0) | 1997.05.07 |
---|---|
[뉴스] 한글과 한국의 인터넷 FAQ(목차) (0) | 1997.05.07 |
[뉴스] han.* 뉴스그룹 목록입니다. (0) | 1997.05.07 |
[뉴스] han newsgroups and mailing lists (0) | 1997.05.07 |
[뉴스] How to write Article Headers (0) | 1997.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