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 5. 7. 00:39
내발자국[동호회]
http://magazine.hnc.net/mag/internet/faq/faq1.html
[서울에어쇼 '96]
[Image]
인터넷 FAQ
이미 알고있는 사람에게는 누워서 떡먹기. 그러나 초보자에게는
꼬불꼬불 굽은 험한 산자락 같은 존재. 이것이 바로 인터넷이다.
지금부터는 인터넷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주는 인터넷
FAQ를 통해 과감하게 인터넷에 선제공격을 퍼부어 보자.
글. 장평권(hessed@maincc.hufs.ac.kr)
글쓴이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 재학중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웹서버를 관리하고 있다.
-----------------------------------------------------------------
일반적인 인터넷에 관하여
1. 인터넷에 관한 개괄적인 설명을 부탁합니다.
1970년대에 개발된 컴퓨터 네트웍의 집합에서부터 시작됐으며
미국방성에서 지원하는 알파넷(ARPANET)이라 불리는 네트웍에서
유래했습니다. 알파넷은 오랜 세월 동안 확장되어 왔는데, 그 결과가
오늘날 우리가 인터넷이라고 부르는 전 세계적인 통신망이 된
것입니다.
따라서 인터넷은 모든 종류의 컴퓨터 사이에 직접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주고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세계적인 통신망입니다.
전 세계의 컴퓨터 시스템들은 각각의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인터넷은 이러한 네트웍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네트웍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네트웍들은 전세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 세계의 사람들과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전 세계적인
네트웍 시스템인 인터넷을 통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원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 안에 획득할 수 있고 주고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직접 뉴욕에 있는 국립도서관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한국의 서울에 있는 컴퓨터 모니터 앞에 앉아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주요 서비스는 www,
e-mail, FTP, Usenet, Archie, IRC 등이 있습니다.
e-mail에 관하여
1. ftp를 이용하지 않고 e-mail로 이진파일(binary파일)을 보내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유닉스 쉘 상태에서 전자우편을 이용할 경우
이진파일은 8비트를 사용하지만 인터넷 전자우편 시스템은 7비트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전자우편을 통해 이진파일을 편지를 보낼 때는
이를 7비트로 encode해주어야 하며, 받은 편지의 내용 즉, binary
파일의 내용을 복원할 때는 decode를 해야합니다.
uuencode나 wincode 등 encode나 decode를 위한 프로그램은 많이
선보이고 있습니다. uuencode를 사용하여 encode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uuencode source_file file_label
source_file은 ascii로 변환시켜야 할 이진파일 이름이고,
file_label은 나중에 uudecode로 다시 환원시킬 때 생성되는 파일
이름입니다. 위의 형식으로 uuencode 명령을 사용하면 화면으로 바로
출력되며 파일로 만들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uuencode source_file file_label >
ascii_file
예를 들어 'uuencode ccc.gif ddd.gif > aaa.uu'라고 하면,
aaa.uu라는 파일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인터넷 전자우편으로 보내면
됩니다. 수신자의 경우에는 uudecode aaa.uu라고 명령을 내려주면
ddd.gif라는 이름의 파일로 재생됩니다. 따라서 source_file과
file_label을 같게 해주면 받는 쪽에서 rename할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보내는 쪽
# uuencode aaa.gif aaa.gif >
aaa.uu
받는 쪽
# uudecode aaa.uu
라고 하면 aaa.gif가 생성됩니다. uudecode를 했을 때 에러가 나오면
에디터를 이용하여 begin 바로 위의 라인까지 지우고 다시 하시면
됩니다.
넷스케이프 메일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메일 등을 이용할 경우
유도라, 넷스케이프 메일, 마이크로소프트 메일 등 인터넷 전자우편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번거로운 edcode, decode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편리하게 이진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들 전자우편
전용 프로그램은 이진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는 첨부기능(Attach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유도라를 사용할 경우 tools-option 메뉴 중 Attachments 항목에서
Encoding Method를 Mime로 설정해주면 됩니다(그림 1 참조).
넷스케이프 메일을 사용한다면 편지보내기 대화상자에 있는
Attachment 버튼을 클릭한 후 보내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이때 파일을 Plain Text로 변환할 것인지, 원래 상태대로
보낼 것인지(As it is) 지정해주는 라디오 버튼이 보이는데,
여기에서 As is를 선택해주면 됩니다(그림 2 참조).
[Image] [Image]
그림 1 : 유도라에서의 그림 2 : 넷스케이프 메일에서 파일을
Attachments 설정 첨부하는 모습
2. 시스템의 운영자의 e-mail address를 알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프롬프트 상태에서 nslookup을 치게 되면 프롬프트 상태가 '>'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 domain-name
을 지정하면 호스트의 책임 postmaster와 e-mail address list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가지고 운영자에게 e-mail을 보내
보십시오.
3. 메일을 보낼 때 자주 unknown host라는 메일이 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모든 서버들은 domain name server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 곳에서
domain name을 IP address로 바꾸게 됩니다. 예를 들면
www.hufs.ac.kr라는 도메인 네임을 203.253.64.10라는 IP address로
바꾸는데 만일 네트웍에 접속이 많을 경우 domain name server가
올바른 IP를 찾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네트웍의 접속이
한가한 시간을 이용하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domain name server에 등록되지 않은 domain이나 IP address라면
올바른 주소를 적어야 할 것입니다. 이것을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닉스 쉘 상태에서,
# nslookup [domain-name]
또는
# nslookup [domain-name] 147.46.80.1
으로 알 수 있습니다. 보통 nslookup이라고�하면 프롬프트가
나오며 기본 입력은 domain name으로 처리됩니다. 이것을 바꾸려면,
# server [server-name]
명령을 쓰면 됩니다.
4. 메일을 보냈는데 중요한 메일이라 확실히 전달되었는지 알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메일이 정확히 전달 되었는지 알 수 있을까요?
mail 명령어로 메일을 보낼 경우 -v 옵션을 주게 되면 정확하게
메일이 전달이 되었는지, 주소가 올바르게 쓰여졌는지 알 수
있습니다.
# mail -v hessed@maincc.hufs.ac.kr
이렇게 하면 메일이 전달되는 경로가 표시됩니다. 여기서 메시지
뒤에 Sent라는 글이 나왔다면 메일이 정확히 전달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메일을 보낸 곳의 사정에 의해서 메일이 전송되지
않았거나 보내고자 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 메일은 며칠 이내로
되돌아옵니다.
5. 실수로 지운 메일의 복구방법은?
[Image] mail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d 명령어를 통해서 지울 수
있고 이렇게 지운 편지를 복구하려면 u 명령을 이용하면
됩니다. 하지만 mail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에는 복구할 수 없으니
mail프로그램을 종료하기 鰥�u 명령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mail프로그램을 끝낼 때 q 명령으로
종료하지 말고, x 명령으로 종료하시면 됩니다. x 명령으로 종료하면
mail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이전의 상태로 돌려놓습니다.
넷스케이프 메일을 사용할 경우 받은편지의 목록에 선택막대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Del키를 누르거나 Edit-Delete Message를
선택하면 해당 편지가 지워지게 됩니다. 이렇게 지워진 편지는
곧바로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화면 왼쪽에 있는 Mail Folder의
Trash에 저장됩니다.따라서 삭제한 편지를 다시 보고싶으면 Trash를
클릭하면 됩니다. Trash를 선택했을 때 나타나는 편지목록에서 다시
편지를 지우게 되면 해당 편지는 영원히 삭제됩니다(그림 3 참조).
FTP에 관하여
1. FTP를 사용할 때 유용한 명령어를 알고 싶습니다.
유닉스 쉘 상태에서 ftp라고 명령을 내리게 되면 ftp> 프롬프트
상태가 됩니다. 여기서 help라는 명령을 내리면 다음과 같이 각
명령어에 대한 설명이 출력됩니다.
# ascii 문서파일을 받을 때 사용합니다. 이 모드가 기본
모드입니다.
# bin 이진파일을 받을 때 사용합니다. bin은 ascii까지 포괄하므로
보통 시작할 때 이것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cd dir 접속한 컴퓨터의 디렉토리를 변환할 때 사용합니다.
# lcd dir 이쪽 컴퓨터의 디렉토리를 변환할 때 사용합니다.
이것들이 모드와 디렉토리에 관련된 명령입니다.
# get file 접속한 컴퓨터에서 파일 한 개를 받아 옵니다.
# mget files 파일을 여러개 받아올 때 사용합니다. 와일드카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put file 접속한 컴퓨터로 파일 한 개를 전송할 때 사용합니다.
# mput files 접속한 컴퓨터로 파일 여러개를 전송할 때 사용합니다.
와일드카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open host 컴퓨터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 close 접속을 끊을 때 사용합니다.
2. 현재의 파일 전송상황을 보려면?
파일을 전송받는 명령어인 get(mget) 명령을 사용하기 전에 ftp
프롬프트에서 hash명령을 내려주면 됩니다.
ftp> hash
hash명령은 파일 전송시 일정 길이의 전송단위마다 #을 출력하여
현재 어느 정도 전송이 되었는지 알 수 있게 합니다. 그 단위는
신肪떪�다르며 이것을 해제하려면 한번 더 hash를 입력하면
됩니다.
국내 통신 서비스가 제공하는 인터넷에 관하여
1. e-mail에서 자꾸 한글이 깨지는데 어떻게 하면 한글을 깨지지
않게 mail을 보낼 수 있으며 깨진 한글을 복구시켜 볼 수 있을까요?
e-mail은 받는 쪽과 보내는 쪽을 제외하고도 많은 호스트를 거치게
됩니다. 따라서 경유하는 호스트 중 하나의 호스트라도 8비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깨지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영문은 7비트를
사용하지만 한글은 8비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8비트를 지원하지 않는
호스트를 경유하게 되면 한글은 깨지고 마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글을 깨지지 않게 보내는 방법은 encode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e-mail에 관하여...'에서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깨진 mail을 복구하려면 복구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관련 소프트웨어는 유니텔, 천리안과 같은 통신망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로 CVT8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PC통신망에서 CVT8.ZIP이라는 이름의 파일을 내려받아서
압축을 풀어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용방법은 깨진 mail의 내용을
보는 상태에서 마우스로 블록을 설정한 다음 Ctrl+C를 눌러 복사한
다음 CTV8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그곳에 붙여넣기(Ctrl+V)하여
각각의 메뉴단추를 하나하나 눌러보면 됩니다.
그밖의 것들(Web Browser)
1. 인터넷에서 일본 사이트에 접속을 하면 영어는 보이는데 일본어는
이상하게 나타납니다. 일본어를 볼 수는 없을까요?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자체에서는 일본어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물론 일본어판 넷스케이프는 제외하고 말이죠. 따라서 영문판과
한글화된 넷스케이프 등을 사용할 경우 별도의 환경설정 작업은 물론
일본어 보기용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PC통신망을 통해 njwin10.zip이나 유니온웨이 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면 영문 윈도우에서도 웹브라우저를 통해 일본어와 중국어를
볼 수 있습니다.
---------------------------------------------------------------------------
[Image] [Image] [Image]
이전 페이지 홈페이지인터넷 홈페이지
[서울에어쇼 '96]
[Image]
인터넷 FAQ
이미 알고있는 사람에게는 누워서 떡먹기. 그러나 초보자에게는
꼬불꼬불 굽은 험한 산자락 같은 존재. 이것이 바로 인터넷이다.
지금부터는 인터넷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주는 인터넷
FAQ를 통해 과감하게 인터넷에 선제공격을 퍼부어 보자.
글. 장평권(hessed@maincc.hufs.ac.kr)
글쓴이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 재학중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웹서버를 관리하고 있다.
-----------------------------------------------------------------
일반적인 인터넷에 관하여
1. 인터넷에 관한 개괄적인 설명을 부탁합니다.
1970년대에 개발된 컴퓨터 네트웍의 집합에서부터 시작됐으며
미국방성에서 지원하는 알파넷(ARPANET)이라 불리는 네트웍에서
유래했습니다. 알파넷은 오랜 세월 동안 확장되어 왔는데, 그 결과가
오늘날 우리가 인터넷이라고 부르는 전 세계적인 통신망이 된
것입니다.
따라서 인터넷은 모든 종류의 컴퓨터 사이에 직접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주고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세계적인 통신망입니다.
전 세계의 컴퓨터 시스템들은 각각의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인터넷은 이러한 네트웍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네트웍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네트웍들은 전세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 세계의 사람들과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전 세계적인
네트웍 시스템인 인터넷을 통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원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 안에 획득할 수 있고 주고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직접 뉴욕에 있는 국립도서관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한국의 서울에 있는 컴퓨터 모니터 앞에 앉아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주요 서비스는 www,
e-mail, FTP, Usenet, Archie, IRC 등이 있습니다.
e-mail에 관하여
1. ftp를 이용하지 않고 e-mail로 이진파일(binary파일)을 보내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유닉스 쉘 상태에서 전자우편을 이용할 경우
이진파일은 8비트를 사용하지만 인터넷 전자우편 시스템은 7비트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전자우편을 통해 이진파일을 편지를 보낼 때는
이를 7비트로 encode해주어야 하며, 받은 편지의 내용 즉, binary
파일의 내용을 복원할 때는 decode를 해야합니다.
uuencode나 wincode 등 encode나 decode를 위한 프로그램은 많이
선보이고 있습니다. uuencode를 사용하여 encode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uuencode source_file file_label
source_file은 ascii로 변환시켜야 할 이진파일 이름이고,
file_label은 나중에 uudecode로 다시 환원시킬 때 생성되는 파일
이름입니다. 위의 형식으로 uuencode 명령을 사용하면 화면으로 바로
출력되며 파일로 만들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uuencode source_file file_label >
ascii_file
예를 들어 'uuencode ccc.gif ddd.gif > aaa.uu'라고 하면,
aaa.uu라는 파일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인터넷 전자우편으로 보내면
됩니다. 수신자의 경우에는 uudecode aaa.uu라고 명령을 내려주면
ddd.gif라는 이름의 파일로 재생됩니다. 따라서 source_file과
file_label을 같게 해주면 받는 쪽에서 rename할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보내는 쪽
# uuencode aaa.gif aaa.gif >
aaa.uu
받는 쪽
# uudecode aaa.uu
라고 하면 aaa.gif가 생성됩니다. uudecode를 했을 때 에러가 나오면
에디터를 이용하여 begin 바로 위의 라인까지 지우고 다시 하시면
됩니다.
넷스케이프 메일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메일 등을 이용할 경우
유도라, 넷스케이프 메일, 마이크로소프트 메일 등 인터넷 전자우편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번거로운 edcode, decode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편리하게 이진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들 전자우편
전용 프로그램은 이진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는 첨부기능(Attach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유도라를 사용할 경우 tools-option 메뉴 중 Attachments 항목에서
Encoding Method를 Mime로 설정해주면 됩니다(그림 1 참조).
넷스케이프 메일을 사용한다면 편지보내기 대화상자에 있는
Attachment 버튼을 클릭한 후 보내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이때 파일을 Plain Text로 변환할 것인지, 원래 상태대로
보낼 것인지(As it is) 지정해주는 라디오 버튼이 보이는데,
여기에서 As is를 선택해주면 됩니다(그림 2 참조).
[Image] [Image]
그림 1 : 유도라에서의 그림 2 : 넷스케이프 메일에서 파일을
Attachments 설정 첨부하는 모습
2. 시스템의 운영자의 e-mail address를 알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프롬프트 상태에서 nslookup을 치게 되면 프롬프트 상태가 '>'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 domain-name
을 지정하면 호스트의 책임 postmaster와 e-mail address list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가지고 운영자에게 e-mail을 보내
보십시오.
3. 메일을 보낼 때 자주 unknown host라는 메일이 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모든 서버들은 domain name server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 곳에서
domain name을 IP address로 바꾸게 됩니다. 예를 들면
www.hufs.ac.kr라는 도메인 네임을 203.253.64.10라는 IP address로
바꾸는데 만일 네트웍에 접속이 많을 경우 domain name server가
올바른 IP를 찾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네트웍의 접속이
한가한 시간을 이용하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domain name server에 등록되지 않은 domain이나 IP address라면
올바른 주소를 적어야 할 것입니다. 이것을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닉스 쉘 상태에서,
# nslookup [domain-name]
또는
# nslookup [domain-name] 147.46.80.1
으로 알 수 있습니다. 보통 nslookup이라고�하면 프롬프트가
나오며 기본 입력은 domain name으로 처리됩니다. 이것을 바꾸려면,
# server [server-name]
명령을 쓰면 됩니다.
4. 메일을 보냈는데 중요한 메일이라 확실히 전달되었는지 알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메일이 정확히 전달 되었는지 알 수 있을까요?
mail 명령어로 메일을 보낼 경우 -v 옵션을 주게 되면 정확하게
메일이 전달이 되었는지, 주소가 올바르게 쓰여졌는지 알 수
있습니다.
# mail -v hessed@maincc.hufs.ac.kr
이렇게 하면 메일이 전달되는 경로가 표시됩니다. 여기서 메시지
뒤에 Sent라는 글이 나왔다면 메일이 정확히 전달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메일을 보낸 곳의 사정에 의해서 메일이 전송되지
않았거나 보내고자 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 메일은 며칠 이내로
되돌아옵니다.
5. 실수로 지운 메일의 복구방법은?
[Image] mail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d 명령어를 통해서 지울 수
있고 이렇게 지운 편지를 복구하려면 u 명령을 이용하면
됩니다. 하지만 mail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에는 복구할 수 없으니
mail프로그램을 종료하기 鰥�u 명령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mail프로그램을 끝낼 때 q 명령으로
종료하지 말고, x 명령으로 종료하시면 됩니다. x 명령으로 종료하면
mail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이전의 상태로 돌려놓습니다.
넷스케이프 메일을 사용할 경우 받은편지의 목록에 선택막대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Del키를 누르거나 Edit-Delete Message를
선택하면 해당 편지가 지워지게 됩니다. 이렇게 지워진 편지는
곧바로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화면 왼쪽에 있는 Mail Folder의
Trash에 저장됩니다.따라서 삭제한 편지를 다시 보고싶으면 Trash를
클릭하면 됩니다. Trash를 선택했을 때 나타나는 편지목록에서 다시
편지를 지우게 되면 해당 편지는 영원히 삭제됩니다(그림 3 참조).
FTP에 관하여
1. FTP를 사용할 때 유용한 명령어를 알고 싶습니다.
유닉스 쉘 상태에서 ftp라고 명령을 내리게 되면 ftp> 프롬프트
상태가 됩니다. 여기서 help라는 명령을 내리면 다음과 같이 각
명령어에 대한 설명이 출력됩니다.
# ascii 문서파일을 받을 때 사용합니다. 이 모드가 기본
모드입니다.
# bin 이진파일을 받을 때 사용합니다. bin은 ascii까지 포괄하므로
보통 시작할 때 이것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cd dir 접속한 컴퓨터의 디렉토리를 변환할 때 사용합니다.
# lcd dir 이쪽 컴퓨터의 디렉토리를 변환할 때 사용합니다.
이것들이 모드와 디렉토리에 관련된 명령입니다.
# get file 접속한 컴퓨터에서 파일 한 개를 받아 옵니다.
# mget files 파일을 여러개 받아올 때 사용합니다. 와일드카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put file 접속한 컴퓨터로 파일 한 개를 전송할 때 사용합니다.
# mput files 접속한 컴퓨터로 파일 여러개를 전송할 때 사용합니다.
와일드카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open host 컴퓨터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 close 접속을 끊을 때 사용합니다.
2. 현재의 파일 전송상황을 보려면?
파일을 전송받는 명령어인 get(mget) 명령을 사용하기 전에 ftp
프롬프트에서 hash명령을 내려주면 됩니다.
ftp> hash
hash명령은 파일 전송시 일정 길이의 전송단위마다 #을 출력하여
현재 어느 정도 전송이 되었는지 알 수 있게 합니다. 그 단위는
신肪떪�다르며 이것을 해제하려면 한번 더 hash를 입력하면
됩니다.
국내 통신 서비스가 제공하는 인터넷에 관하여
1. e-mail에서 자꾸 한글이 깨지는데 어떻게 하면 한글을 깨지지
않게 mail을 보낼 수 있으며 깨진 한글을 복구시켜 볼 수 있을까요?
e-mail은 받는 쪽과 보내는 쪽을 제외하고도 많은 호스트를 거치게
됩니다. 따라서 경유하는 호스트 중 하나의 호스트라도 8비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깨지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영문은 7비트를
사용하지만 한글은 8비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8비트를 지원하지 않는
호스트를 경유하게 되면 한글은 깨지고 마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글을 깨지지 않게 보내는 방법은 encode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e-mail에 관하여...'에서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깨진 mail을 복구하려면 복구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관련 소프트웨어는 유니텔, 천리안과 같은 통신망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로 CVT8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PC통신망에서 CVT8.ZIP이라는 이름의 파일을 내려받아서
압축을 풀어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용방법은 깨진 mail의 내용을
보는 상태에서 마우스로 블록을 설정한 다음 Ctrl+C를 눌러 복사한
다음 CTV8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그곳에 붙여넣기(Ctrl+V)하여
각각의 메뉴단추를 하나하나 눌러보면 됩니다.
그밖의 것들(Web Browser)
1. 인터넷에서 일본 사이트에 접속을 하면 영어는 보이는데 일본어는
이상하게 나타납니다. 일본어를 볼 수는 없을까요?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자체에서는 일본어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물론 일본어판 넷스케이프는 제외하고 말이죠. 따라서 영문판과
한글화된 넷스케이프 등을 사용할 경우 별도의 환경설정 작업은 물론
일본어 보기용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PC통신망을 통해 njwin10.zip이나 유니온웨이 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면 영문 윈도우에서도 웹브라우저를 통해 일본어와 중국어를
볼 수 있습니다.
---------------------------------------------------------------------------
[Image] [Image] [Image]
이전 페이지 홈페이지인터넷 홈페이지
'내발자국[동호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컴온라인매거진의 인터넷 FAQ (3) (0) | 1997.05.07 |
---|---|
한컴온라인매거진의 인터넷 FAQ (2) (0) | 1997.05.07 |
MBONE(Multicast-Bone) FAQ 한글 (2) (0) | 1997.05.07 |
MBONE(Multicast-Bone) FAQ 한글 (1) (0) | 1997.05.07 |
[뉴스] 한글과 한국의 인터넷 FAQ(목차) (0) | 1997.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