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松巖
어떠한 일이 있어도 꿈과 용기를 잃지 말자! 그래, 네 꿈을 펼쳐라.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Tag

1997. 5. 10. 04:37 내발자국[동호회]
FROM: Kornet

◈ Archie 사용법 ◈

1. Archie Server 란?

Archie 서버 는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컴퓨터상의 데이타들을
수집하고 열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웍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 도구
시스템 입니다. Archie server는 자료에 대한 수집, 열거와 보존을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써 정보제공자들에게 향상된 정보 발견과 접근을 제공하며,
사용자들에게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와 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아서 이용하도록 도와줍니다.
현재 인터넷에 연결된 수 많은 호스트들로 인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는다는
것은 무척힘든 일입니다. 필요한 정보가 어딘가 있다는것은 알지만 그것을
찾기가 쉽지는 않읍니다. 인터넷상의 수많은 서비스 정보제공원으로부터 이미

사용가능한 데이타베이스는 현재 수천개가 넘는 anonymous FTP archive sites
에 수백만개가 넘는 파일의 이름을 수록 하고 있읍니다. 이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수십내지 수백개의 호스트에 일일이 접속 할 필요 없이
신속하게 원하는 파일을 찾을수 있읍니다. 현재 이 데이타베이스를 제공하는

archie 서버들은 하루에 50,000건이 넘는 요청을 처리하고 있읍니다.



2. 사용방법

1) Archie 서버로 접속하여 검색

사용자들이 한국통신에서 운영하는 archie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읍니다.
우선 telnet 이나 rlogin 을 이용하여 archie.kornet.nm.kr에 접속
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아래의 그림은 telnet 을 사용하여 archie 서버로 접속한 것 입니다.
"login" prompt 가 나타나면 archie 를 입력 하면 됩니다.
Archie 시스템 내에서 사용할수 있는 중요한 사용자 명령어는 2절에
설명된 내용을 보시면 알 수 있고, 그외의 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help' 를 치면 볼수 있읍니다.





┌────────────────────────────┐
│ [soback:/user1/yilee]# telnet archie │
│ Trying 168.126.63.10 ... │
│ Connected to archie.kornet.nm.kr. │
│ Escape character is '^]'. │
│ │
│ │
│ UNIX(r) System V Release 4.0 (archie) │
│ │
│ login: archie │
│ Last login: Fri Nov 15 13:12:00 from 202.30.146.126 │
│ # Bunyip Information Systems, Inc., 1993, 1994, 1995 │
│ │
│ # Terminal type set to `vt220 24 80'. │
│ # `erase' character is `^H'. │
│ # `search' (type string) has the value `sub'. │
│ [KORNET] archie> │
└────────────────────────────┘

2) 유용한 명령어

① find (또는 'prog') : 지정된 형식으로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는데
사용합니다.
┌────────────┐
│ 예) find
└────────────┘

② list : 데이타베이스 내의 각 site의 목록과 그들이 가장 최근에 갱신된
시간을 알려줍니다. 특정 site의 목록을 제한하기 위해서 옵션으로

정규수식인수(regular expression argument)가 제공됩니다.
┌──────────────────────────────┐
│ 사용법 : list [] │
│ 사용예 1 : KORNET:archie> list │
│ 이것은 데이타베이스내의 모든 site들을 보여준다. │
│ 사용예 2 : KORNET:archie> list \.de$ │
│ 이것은 모든 독일 site들을 보여준다. │
└──────────────────────────────┘


③ mail : 'mail' 명령어에는 두가지 형태가 있읍니다.
┌──────────────────────────────┐
│ KORNET:archie> mail
│ 이것은 마지막 사용한 명령의 결과를 지정된 │
│ 주소로 전송합니다. │
│ KORNET:archie> mail │
│ 또한 이것은 'mailto' 변수에 지정된 주소로 │
│ 결과를 전송합니다. │
└──────────────────────────────┘
모든 다양한 인터넷 주소 형식들이 사용 가능합니다.

BITNET site는 아래와 같은 형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user@sitename.bitnet

UUCP 주소는 다음과 같이 지정될 수 있읍니다.

user@sitename.uucp


만약 IP 주소를 사용하여 메일을 보내고 싶으면 '[]' 를 사용하면 됩니다.

사용예 : mail yourlogin@[132.206.44.5]

④ search
'search' 변수는 'prog' 명령어에 의해 데이타베이스에서 수행되어 지는
search 의 종류를 결정하며 search 의 시간과 범위에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search' 는 다음의 것들 중에서 하나인 문자열 변수를 갖읍니다.

(1) "sub"
Substring (case insensitive). 간단하며 모든글자의 문자열 선택 방법
입니다. 데이타베이스 안에 있는 file(또는 directory) 이름이
사용자가 준 substring 을 갖고있으면 선택됩니다.

예: "is" 는 "islington", "this" 그리고 "poison" 을 선택 합니다.

(2) "subcase"
Substring (case sensitive). 위의 경우와 같으나 문자열의 case가 가려
집니다.


예 : "Tex" 는 "LaTeX" 와는 선택 되나 "Latex" 또는 "TExTroff" 와는
선택되지 않읍니다.


(3) "exact"
Exact. 가장 빠른 선택 방법입니다. 사용자 문자열 ('prog' 명령어 의
argument) 이 데이타베이스 안의 문자열 과 완전히 같아야 합니다.
이것은 정확하게 자기가 무엇을 찾는지 아는 사용자에게 적합 합니다.


예 : 모든 "xlock.tar.Z" 파일 들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고 싶을때 사용

할 수 있는 방법 입니다.


(4) "regex" 이것은 현재 맞추어져 있는 search 방법입니다.
ed(1) regular expressions. ed(1) regular expression 의 형태 안에서
주어진 사용자 문자열 과 함께 데이타베이스 를 선택 합니다.


⑤ sortby
'sortby' 변수는 'find' 명령으로 부터 출력이 어떻게 정리 되어 질것
인지를 결정합니다. 5 개의 값 (그리고 그것들의 역 순서) 중에서
하나를 가질 수 있읍니다. 각 방법에 대하여 "natural" 정리 순서가
현재 맞추어져 있읍니다.
여기서 설명된 역 순서 정리방식은 "sortby" 가 갖는 값에 "r" 을 앞에
붙여주면 됩니다. (즉, "hostname"의 역 hostname 순서는 "rhostname"
입니다.)

(1) "hostname"
출력은 알파베트 상의 archive hostname 순으로 정리 됩니다.

(2) "time"
출력은 발견 되어지는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가장 최근에 수정 되어서
나타내지는 순으로 정리 됩니다 (youngest -> oldest).

(3) "size"
출력은 발견 되어지는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가장 큰것이 우선순으로
정리 됩니다.


(4) "filename"
파일이나 디렉토리 이름의 순서대로 정리 됩니다.

(5) "none" 현재의 맞춰진 값 입니다.
정리 하지 않는다. 역 순서가 없읍니다.

⑦ whatis

사용법 : whatis

'whatis' 명령어는 주어진 substring을 archie 소프트웨어 서술 데이타베이

(archie Software Description database)에서 검색합니다(무시되는 경우도

있음). 이 데이타베이스는 많은 소프트웨어 패키지들과 RFC나 교육자료와

같은문서들, 그리고 Internet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 화일들의 이름과
간략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읍니다.

예 : whatis uucp


⑦ help
'help' 명령은 사용가능한 모든 명령어와 이들의 사용법을 포함하여
여러 주제에 관한 정보를 알려 줍니다. 'help'를 사용하기 위해 archie
server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의 종류와 크기("term" 변수를
사용하여)를 알려줄 필요는 없지만 이렇게 하면 보다 좋은 사용자
환경을 재공 받을 수 있읍니다.
'help help'를 입력하면 이용가능한 도움말 주제어들의 목록을 볼 수
있읍니다.



3. 그 밖의 사용법
archie client 를 자신의 호스트에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gopher 와 같은
다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접속 하는 방법과 WWW server의 cgi-bin
gateway를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archie client - archie client를 이용한 사용
gopher - KORNET gopher (168.126.63.9) 메뉴이용
WWW - KORNET WWW (168.126.63.5)
(http://www.kornet.nm.kr/archie-gateway.html)


4. Archie Server List

현재 세계에는 17개의 archie server system이 운영되고 있으며 서로간
에 Internet 상의 정보의 탐색을 나누어 하고 있으며, 또한 수집된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있읍니다. 아래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Internet상의 archie
sites를 보여주고 있읍니다.

-------------< List of active archie servers >---------------
archie.kornet.nm.kr* 168.126.63.10 Korea
archie.sogang.ac.kr* 163.239.1.11 Korea
archie.au 139.130.4.6 Australia
archie.edvz.uni-linz.ac.at* 140.78.3.8 Austria
archie.univie.ac.at* 131.130.1.23 Austria
archie.uqam.ca* 132.208.250.10 Canada
archie.funet.fi 128.214.6.100 Finland
archie.cs.huji.ac.il 132.65.6.15 Israel
archie.wide.ad.jp 133.4.3.6 Japan
archie.luth.se* 130.240.18.4 Sweden
archie.switch.ch* 130.59.1.40 Switzerland
archie.ncu.edu.tw 140.115.19.24 Taiwan
archie.doc.ic.ac.uk 146.169.11.3 United Kingdom
archie.unl.edu 129.93.1.14 USA (NE)
archie.rutgers.edu* 128.6.18.15 USA (NJ)
archie.ans.net 147.225.1.2 USA (NY)
archie.sura.net 128.167.254.179 USA (MD)

Sites marked with an asterisk '*' run archie version 3.0

5. 기타사항

Archie에 관한 Comments, bug 등은

archie-group@bunyip.com

으로 전달 할수 있읍니다. Archie가 운용하지않는 관심있는 anonymous ftp
site 가 있거나 데이타베이스 의 첨가나 수정이 있을 경우에는 다음의 주소로

메일을 보낼수 있읍니다.

archie-admin@archie.kornet.nm.kr

Archie 프로그램은 Alan Emtage (bajan@bunyip.com) 과 Bill Heelan
(wheelan@cs.mcgill.ca) 에 의하여 쓰여졌읍니다.


posted by 松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