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松巖
어떠한 일이 있어도 꿈과 용기를 잃지 말자! 그래, 네 꿈을 펼쳐라.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Tag

1998. 3. 6. 10:49 내발자국[동호회]
Park Sung Seek (sungseek@lgsw.re.kr) wrote:
: SSL구현은 Web Server가 지원하고, Browser가 지원하면 환경설정만
: 알고계시다는 전제하에서) 인증기관들 (예: Verisign, GTE, RSA 등)으로 부터
RSA가 인증기관(CA)이라뇨?
RSA가 공개키암호화 알고리즘의 한 예가 아닌가요?
SSL이나 PGP나 모두 이 RSA를 사용하는 것이죠.
http://www.rsa.com
를 참조하세요.
같군요. 아마 네스케이프에서 사용하는 암호화 전송은 SSL을 사용하지요.
Kyoungryoul Choi, LG EDS Systems,
SSL구현은 Web Server가 지원하고, Browser가 지원하면 환경설정만
하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SSL을 사용하시려면,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알고계시다는 전제하에서) 인증기관들 (예: Verisign, GTE, RSA 등)으로 부터
> RSA가 인증기관(CA)이라뇨?
예, 맞습니다.
수도 있구요.

From: "정재균"
손 정수 이(가) <3472122F.F2985664@sdd.samsung.co.kr> 메시지에서
전자우편은 보안상에 있어 취약점이 많습니다. 어느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http://esperosun.chungnam.ac.kr/~hdpark/PGP/intro.html
PGP의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받으시려면 아래의 사이트로 가시면 됩니다.
http://www.ifi.uio.no/pgp/download.shtml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작성하였습니다...
>실례합니다.(??) 뉴스를 읽다보니 pgp 라는 것이 나오고 내용으로 보아서는
From: seung jun cha
손 정수 작성함:
pgp란 미국의 필 짐머란이란 사람이 개발한 e-mail & file 암호화
그리고 네스케이프 우측하단에 열쇠(또는 자물쇠)를 잠궈놓은 기능을
>궁금합니다.
>
>고맙습니다.
>
From: krchoi@belle.lgcit.com (Kyoungryoul Choi)
From: krchoi@belle.lgcit.com (Kyoungryoul Choi)
Newsgroups: han.comp.security
Subject: Re: [질문] pgp가 뭐에요....???
Date: 19 Nov 1997 04:18:53 GMT

Park Sung Seek (sungseek@lgsw.re.kr) wrote:
: PGP는 Pretty Good Privacy의 약자로 Philip Zimmermann이라는 사람이
: 개발한 암호화 E-메일입니다. 네스케이프하고는 별 관련이 없는 것
: 같군요. 아마 네스케이프에서 사용하는 암호화 전송은 SSL을 사용하지요.

: SSL구현은 Web Server가 지원하고, Browser가 지원하면 환경설정만
: 하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SSL을 사용하시려면,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 알고계시다는 전제하에서) 인증기관들 (예: Verisign, GTE, RSA 등)으로 부터

RSA가 인증기관(CA)이라뇨?

RSA가 공개키암호화 알고리즘의 한 예가 아닌가요?

SSL이나 PGP나 모두 이 RSA를 사용하는 것이죠.

http://www.rsa.com
http://www.pgp.com

를 참조하세요.


--
Kyoungryoul Choi, LG EDS Systems,
E-mail:krchoi@noc.lgcit.com Xorn@{KIDS,ARA} Phone:82-2-526-4737
"Fear no good, Fear eats the soul." - Rainer Werner Fassbinder
in "Ali, Fear eats the Soul"




From: SeongKyu Song
Newsgroups: han.comp.security
Subject: Re: [질문] pgp가 뭐에요....???
Date: Thu, 20 Nov 1997 10:16:22 +0900


Kyoungryoul Choi wrote:

> RSA가 인증기관(CA)이라뇨?
>
> RSA가 공개키암호화 알고리즘의 한 예가 아닌가요?
>
> SSL이나 PGP나 모두 이 RSA를 사용하는 것이죠.
>
> http://www.rsa.com
> http://www.pgp.com
>
> 를 참조하세요.
>

예, 맞습니다.
RSA는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개발자 Rivest, Shamir, Adleman의
이니셜을 따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인증기관으로서의 RSA란 RSA Data Security, Inc. 회사를
말하는 것이겠지요.





From: "정재균"
Newsgroups: han.comp.security
Subject: Re: [질문] pgp가 뭐에요....???
Date: Wed, 19 Nov 1997 15:29:22 +0900

손 정수 이(가) <3472122F.F2985664@sdd.samsung.co.kr> 메시지에서
작성하였습니다...
>실례합니다.(??) 뉴스를 읽다보니 pgp 라는 것이 나오고 내용으로 보아서는
>네스케이프 우측하단에 열쇠(또는 자물쇠)를 잠궈놓은 기능을 하는것
>같은데...
>
>맞나요?? 맞다면 그것을 구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궁금합니다.
>
>고맙습니다.
>

전자우편은 보안상에 있어 취약점이 많습니다. 어느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보내는
전자우편은 목적지에 도달하기 까지 무수한 호스트를 거치게 됩니다. 이런
과정에서
얼마든지 탈취, 변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안을 유지하는 방법은 메시지 내용을 암화화 하여 중간에서
가로챈다
하더라로 다른 사람은 알아 볼 수 없게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PGP(Pretty Good Pricacy)는 보내고자 하는 메시지를 암호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
함으로써 개방구조의 전자우편에 보안요소를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PGP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암호화 알고리즘을 알아야 합니다.
즉 관용암호방식과, 공개키 암호화 방식이라는 것이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알려
드리는 URL을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이 사이트에 가시면 PGP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프리젠테이션
자료도 있고 A4 40여장 분량의 설명도 있습니다. 그리고 관련 사이트도 자세히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esperosun.chungnam.ac.kr/~hdpark/PGP/intro.html

PGP의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받으시려면 아래의 사이트로 가시면 됩니다.

http://www.ifi.uio.no/pgp/download.shtml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From: seung jun cha
Newsgroups: han.comp.security
Subject: Re: [질문] pgp가 뭐에요....???
Date: Wed, 26 Nov 1997 18:56:41 +0900

손 정수 작성함:
>
> 실례합니다.(??) 뉴스를 읽다보니 pgp 라는 것이 나오고 내용으로 보아서는
> 네스케이프 우측하단에 열쇠(또는 자물쇠)를 잠궈놓은 기능을 하는것
> 같은데...
>
> 맞나요?? 맞다면 그것을 구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 궁금합니다.

pgp란 미국의 필 짐머란이란 사람이 개발한 e-mail & file 암호화
프로그램입니다.
잘아시겠지만 인터넷 서비스중 가장 많이 애용되는 e-mail은 보안상의 많은
헛점을
가지고 있지요. 흑심을 품은 사람이 마음만 먹는다면
중간에서 snffing을 하거나 network monitoring tool을 통해 타인의 메일을
충분히
해킹할 수 있습니다.이를 막기위해 e-mail message을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수신자는
복호화하여 통신을 하는것이지요...
pgp는 pretty good privacy의 약자입니다.

그리고 네스케이프 우측하단에 열쇠(또는 자물쇠)를 잠궈놓은 기능을
하는것은 그 site가
ssl(secure socket layer)라는 보안 프로토콜을 지원하느냐,안하느냐를
의미합니다
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mail을 보내주세요.그럼 20000



posted by 松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