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 6. 8. 01:24
내발자국[게시판]
'청산하지 못한 역사'에 수록 된 인사명단 및 약력
-한국현대사를 움직인 친일파 60인-
[[[ 제1권]]]]
박정희(박정희, 1917-1979)-그 치욕과 영광의 삶
1942-만주 신경군관학교 졸업
1944-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
1946-조선경비사관학교 졸업
1961-5.16군부 쿠데타 주도
1963-제5대 대통령 당선
#일제의 패망을 만주군 제8단 단장의 부관으로 있으면서 맞음.
최규하(최규하, 1919- )-역사의 키를 버린 조타수
만주 대동학원 출신
1946-중앙식량행정처 기획과장
1959-외무부 차관
1967-외무부 장관
1971-대통령 외교담당 특별보좌관
1976-국무총리
1979-대통령 직무대행. 제10대 대통령
1981-국정자문회의 의장
1991-민족사 바로찾기 국민회의 의장
1992-안중근의사 여순순국유적성역화사업 추진위원회 고문
#만주대동학원은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를 강점한 일제가 세운
만주국의 고위 관리를 양성한 속성관료 양성학교임. 1970년대
이학교 출신으로 친일 인맥의 구조인 만주 인맥을 이룸.
윤치영(윤치영, 1898- )-외세와 독재권력에 아부하면서
'잘먹고 잘산'자의 표본
1941-임전대책 협의회 참가
1948-내무부 장관
1948,52-국회부의장
1963-서울특별시장
1948,51,54,63,67-5선 국회의원
#1941년 12월 20일에 '동양지광'주최 [미.영 타도 좌담회]에
참가하여 연설함. 해방후 친일파의 집합소였던 '한국민주당'의
창당 발기인과 중앙 집행위원으로 활동. 5.16군부 쿠데타로
탄생한 군부세력과 민주공화당 창당. 3선 개헌과 유신 헌법에
적극 찬성. 80년 신군부가 정권을 잡자 여기에 또한 적극 찬성,
국정자문위원이 됨.
진의종(진의종, 1921- )-백민의 반백민적 삶
1945-일본 북해도청 농무과장.
1948-상공부 전정과장
1952-상공부 광무국장
1971,73,81,85-국회의원
1979-보건사회부 장관
1981-11대 민정당 국회의원
1983-국무총리
#친일관료로 입신하여 해방이후에도 관료를 지내다가 야당(신민당)
국회의원 후보로 당선된후 최규하 정권시에 장관으로입각. 이후
신군부의 국무총리 역임. 변신을 거듭함.
김동원(김동원, 1884- ?)-독립 운동과는 무관했던 국회부의장.
1924-평안고무공업사 사장
1941-조선임전보국단 평의원
1945-미군정 행정고문, 한민당 총무
1948-국회부의장
#일제의 비호아래 서북지방의 거부로 성장.
임영신(임영신, 1988-1977)-이승만에 대한 애정과 반공의 신념.
1942-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지도위원
1948-상공부 장관
1948-중앙대학교 총장, 이사장을 지냄
1949-국회의원
#조선임전보국단에 중앙보육학교 대표로 참여함. 대구 메리야스
공장과 대구아남 상사로부터 2백만원과 백만원의 뇌물, 대구방적과
적산 브로커로부터 뇌 물을 받아 감찰위원회에 고발로 상공부
장관에서 경질됨. 4.19학생 혁명에 의하여 탄생한 장면 정권에 대하여는
신랄하게 비판하였으나, 5.16군부 쿠데타에 의하여 탄생한 정권에
대하여는 극찬하며 지지하고, 그후 3선 개헌과 유신시대에 대하여
적극 지지 참여함.
정운갑(정운갑, 1913- )-한 권력 엘리트의 굴절된 출세기.
1943-고문 행정과 합격
1954-총무부처장
1955-내무차관
1955-7:농림부 장관
1958,67,71,78-5선 국회의원
1979-신민당 전당대회 의장 및 총재대행
#친일관료로 입신하여 해방후에도 관료와 장관을 지냄.
정일권(정일권, 1917-1994)-탁사(탁사)로 얼룩진 '한국의 부도웅
만주국 봉천군관학교와 일본 육군사관학교 출신.
1947-조선경비대 참모총장, 조선경비사관학교장
1950-3군총사령관 겸 육군참모총장
1957,59-터키대사, 프랑스 대사
1960-허정 과도정부 주미대사
1961-5.16군부쿠데타 주미대사
1963-제3공화국 외무부 장관. 64년 국무총리. 66년 외무부장관 겸임
1973-국회의원. 국회의장
1976-국회의원. 국회의장
#태평양 전쟁 종전시 만주국 헌병 대위.
이응준(이응준, 1890- )-군국주의 정신 투철한 일본군 대좌.
1912-일본 육군사관학교 입학
1945-해방 당시 일본군 육군 대좌(대령)
1945-미군정청 국방사령부 고문
1948-초대 육군참모총장
1955-체신부 장관
#해방 전 일본군 대좌(대령)로 원산 항만 및 철도사령관을 지냄.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병에 참전. 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에도 출정. 독립군과 조선인 항일무장투쟁부대와맞서 싸움.
김창룡(김창룡, 1916-1956)-일제 관동군 헌병에서 대한민국 특무대장까지.
1940-일본 관동군 헌병대 입대. 반일 저항세력 색출
1947-조선경비대 소위, 군의 좌익세력 소탕
1948-남로당 소탕으로 이승만의 절
1952-부산정치파동을 연출
1953-초대 헌병 총사령관
1953-반공포로 탈출 방조
1954-불온 문서 투입사건 사주
1954-김성주 살해. 시체유기로 구속
#1932년 만주로 건너가 일제의 괴뢰군으로 1932년 3월 수립된 만주국의
군대에 군의(군의)장교로 입대. 부산정치파동시에 계엄사령관으로서
국회의원 48명이 탄 버스를 검색하고 10명의 국회의원을 구속시킴.
휴전회담 진행중에 반공 포로 석방.
채병덕(채병덕, 1915-1950)-일본육사 출신의 대한민국 참모총장.
1937-일본 육사 졸업
1938-동경 육군 포공학교 졸업
1944-일본 육군 소좌(소령)
1945-국방경비대 창설에 참여
1948-국방부 참모총장
1950-육군참모총장으로 있다가 패전의 책임으로 경남지구 편성군
사령관으로 강등됨
최경록(최경록, 1920- )-'최장수 주일대사'의 숨은 뒷얘기.
1944-일본 구마모도 중학 졸업. 지원병 1기 출신으로 일본 도요하시
예비사관 학교를 졸업한 후 소위로 임관
1946-군사영어학교 졸업
1948-제11연대장
1950-수도사단 참모장. 제2훈련소장
1950-헌병사령관
1952-국방부 제1국장. 육군사관학교장
1960-장면 내각때 제13대 육군 참모총장
1980-주일대사
#1989년 5월 일본의 일간신문(산케이 신문)에 '일본의 군사대국화 촉구
'발언으로 파문을 일으킴.
한태연(한태연, 1926- )-지배 권력만을 사랑한 식민지 문화의 전형적인
지식인.일제 시대에 동경 와세다 대학졸업.
고등문관시험 합격.
1949-서울대 법대 교수
1961-내무부 장관 고문
* -제6,9,10대 국회의원
1972-유신헌법 제정관여.
민복기(민복기, 1913- )-'최고 관운'의 인생 허실.
경성제국 대학 졸업.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 합격.
1939-경성지법 판사
1945-경성지법 부장판사. 이후 법무부 검찰국장. 법무국장
1950-대통령 비서관
1951-법무부 차관
1955-검찰총장
1961-대법원 판사
1980-국토통일원 고문 및 국정자문위원
이호(이호, 1914- )-양지에서 보낸 한평생
1940-동경제대 졸업
1942-경성지방법원 검사국 검사
1944-경성고등검찰청 검사
1950-육군본부 민사부장. 육본 법무관. 계엄 부사령관
1953-국방부 차관
1955-법무부 장관
1960-내무부 장관
1971-주일 대사
1979-10.26이후 과도정부의 입법회의 의장
#일본으로부터 '일본훈일등욱일대훈장'이라는 훈장을 받음.
백한성(백한성, 1899-1972)-사사오입 개헌의 주도인물
1923-경성법학전문학교 졸업
1930- 사법관 시보 시험합격
1932-평양, 청진, 광주, 대전지방법원 판사
위해 개헌안 기초, 개헌안
의결 정족수 변칙 해석 처리 등 온갖 술수를 다해 충성심을 발휘.
1945,55-국무총리서리겸 내무부 장관
#이승만의 종신집권을 위한 3선 금지 조항의 제거를 위해 개헌안
기초, 개헌안 의결 정족수 변칙 해석 처리 등 온갖 술수를 다해
충성심을 발휘.
이상범(이상범, 1897-1972)-거장의 향토색에 가려진 친일행적.
1925-제4회 조선미술전람회 3등상 수상 이후 연속 10회 특선
1935-제14회 조선미술전람회 추천 작가
1938-제17회 조선미술전람회 심사 참여
1941-조선미술가협회(국민총력조선연맹 문화부 산하)일본화부 평의원
1942-44:반도총후미술전 일본화부 심사위원
1944-[모던일본]사가 친일 작가를 위해 제정한 제5회 '조선예술상'수상
1962-대한민국 문화상 문화훈장 대통령상 수상
1963-3.1문학상 수상
#일제 말 신문이나 잡지에 군국주의 경향성의 삽화 등을 그림. 그
대표적인 예 가 [매일신보]에 기고한 삽화 '나팔수'임.
윤효중(윤효중, 1917-1967)
1941-일본 동경미술학교 목조과 졸업
1941,42,43-미술전람회 특선
1954-국전심사위원. 대한미술협회 부위원장
1955-예술원 회원
#사상범 전향자 감시 및 교양 기관인 대화숙(대화숙) 미술료(미술료)의
지도 담당.
김경승(김경승, 1915-1992)-일신의 영달과 출세욕으로 가득했던 인생
1939-일본 동경미술학교 조각과 졸업
1943-조선미술전람회의 추천작가
'여명' '제4반' 등이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입상.
* 국전 심사위원. 예술원 회원. 평화통일정책자문위원.
PRINTER/CAPTURE를 OFF 하시고 Enter를 누르십시오.
'내발자국[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회 청원서...통신정책 (0) | 1996.06.08 |
---|---|
좋은게 좋은거야...라고 살아온 인물들 (0) | 1996.06.08 |
[답:117] 단말기의 리셋과 글살리기 (0) | 1996.06.07 |
곱으로 겸허히 수렴합니다. (0) | 1996.06.06 |
[참고] KERMIT 전송하기 (0) | 1996.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