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松巖
어떠한 일이 있어도 꿈과 용기를 잃지 말자! 그래, 네 꿈을 펼쳐라.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Tag

1998. 3. 6. 11:10 내발자국[동호회]

제목(65) : [인터넷 홈페이지 명소순례] 문화재관리국
전자신문 날짜 : 97/05/09

우리나라의 국보는 모두 몇점이나 되는지 아세요. 「제야의 종」으로 유명
한 보신각 종의 유래는 아십니까. 「우리 것」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
아지면서 전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대한민국 문화재」의 모든
것을 소개하는 사이트가 정보의 바다 인터넷에 올라와 있다.

문화재관리국 홈 페이지(http://www.ocp.go.kr)에 가면 이 모든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다. 3만건이 넘는 우리나라의 국보 보물 유 무형 문화재들에 관
한 데이터베이스, 각종 통계에서부터 각 문화재에 대한 사진 이미지, 음성해
설과 동영상, 상세한 내력 안내가 제공된다.

특히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히트가 증명하듯 가족간의 레저 행락도 문
화재를 답사하는 테마여행이 유행하고 있어 이 사이트에 접근하면 사이버 문
화여행뿐 아니라 실제로 가볼 만한 곳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여기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가족들의 손을 잡고 인근의 문화유적을 찾아보는 것도 가정
의 달 5월에 해볼 만한 일이다.

정보검색은 매우 간단하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는 어떤 문화재가 있는지
알고 싶다면 「문화재 탐방」코너에 들어간다. 전국지도가 펼쳐지고 이곳(북
한 제외)에서 서울, 부산 등 지역을 클릭하면 다시 각 행정구가 등장한다.

종로구를 선택하면 무려 3백65개의 문화재가 사진과 이름, 지정번호로 제시
된다. 보물 2호로 지정된 보신각종을 클릭하면 조선조 세조 14년에 주조돼 원
각사 터에 있었던 이 종이 선조 때는 명동성당 자리로 옮겨졌고 지금의 종로
에는 광해군 시절에 자리를 잡았다는 설명이 뒤따른다. 종각은 태조 4년에 창
건, 네번의 소실과 중건을 거쳐 고종 때 현재의 「보신각」이라는 명칭으로
부여 받았다.

문화재에 관련된 통계는 「알림마당」 코너에 따로 개설돼 있다. 문화재 자
료통계란에 들어가 보면 97년 1월 1일 현재 우리나라의 국보는 모두 2백93개
가 있고 보물은 1천2백32개가 지정돼 있다. 지역별 현황이 동시에 표시되는데
재미있는 것은 대구와 대전에는 국보가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이 사이트에는 문화재 관리국의 역할, 조직, 전화번호 등도 상세히 안내돼
있다.
<이택 기자>


posted by 松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