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 6. 3. 06:08
내발자국[동호회]
제목:3.1 인터네트의 구성
인터네트는 TCP/IP를 기반 통신규약으로 하고 전용회선과 라우터로
point-to-point방식으로 연결된다. 인터네트의 중추망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NSFnet은 45Mbps급의 고속전송회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NSFnet으로부터 각 지역
인터네트 접속 서비스 기관에 의해 미국내 각 지역과 유럽,호주, 아시아 등 전세계
의 서브네트웍들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들간의 링크는 대부분 전용회선이며 연결장비로 IP 라우터가 사용된다.이때 각
지역망과 모든 호스트들은 유일한 IP 주소(IP address)를 갖는다.즉, 전세계의 지역
망들이 라우터로 연결된 구조이며 전체 망구성에 관한 정보들을 라우터들이 서로
주고 받음으로써, 항상 정상적인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하게 되고 사용자들은 목적
지 컴퓨터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 필요없이 IP 주소만을 있으면 어느 컴퓨터든 접
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숫자로된 인터네트 주소를 기억해야 하는 불편을 덜기
위해 IP name server를 운영함으로써 IP 주소 대신 이에 매칭되는 호스트 이름만
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라우터 간의 라우팅 테이블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로 RIP,
IGRP, OSPF,EGP, BGP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제목:3.2 인터네트의 서비스와 유용성
인터네트를 이용해서 안될 일이 있을까 할 정도로 인터네트에서 가능한서비스는
아주 다양하다. 또한, 인터네트에서 구할 수 있는 정보는 무한하고, 시간이 감에 따
라 그 정보의 양은 엄청나고 그 질은 차츰 좋아지고있다. 물론 인터네트를 통하여
향기를 맡거나 형체를 가진 물건을 보낼수는 없지만 정보통신이 일반화되어 가는
요즘,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접할수 있는 많은 일들을 인터네트는 가능하게 해준다.
더욱이 국가간의 경계와 거리상의 제약마저 없이, 인터네트는 정보에 대한 평등권
리와 자유를 보장해 주는 정보 민주주의의 새로운 세계를 우리에게 열어주고 있는
것이다. 인터네트에서 가능한 일들을 분류한다는 것은 그리 간단하지 않지만, 다음
은 일반적인 관점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나열한 것이다. 이들 서비스들을 제
공받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도구와 기능 필요한데 이들에 대해서는 다음장에서
얘기하기로 한다.
(1) 쉽고 빠르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음
(2)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쉽게 찾을 수 있고 만날 수 있음
(3) 자기의 관심분야에 대한 최신의 정보를 거의 매일 받아볼 수 있음
(4) 자기의 정보를 전세계의 모든 인터네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
(5) 거리나 사는 위치에 관계없이 공동연구 및 작업을 할 수 있음
(6) 전세계의 수많은 정보를 접근하고 획득할 수 있음
(7) 컴퓨터간에 데이터의 처리 및 전송을 할 수 있음
(8) 혼자 혹은 여러 사람과 같이 게임과 오락을 즐길 수 있음
인터네트 가입자들은 도서정보나 기술 및 상품정보 등 관련 데이터베이스를이용
하고, 인터네트 가입자 상호간에 전자우편, 화일전송서비스 등을 이용할수 있으며,
음성, 동영상 포함한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들이 속속들이 소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네트의 주요 가입기관들로 주요 대학이나 정부 연구기관 또는 기업체 연
구소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인터네트를 이용하여 그곳들에 저장되어
있는 고급정보를 아주 빠른 시간에 얻을 수 있다.즉 인터네트는 세계 최대의 학술
연구 컴퓨터통신망으로 시작되어 이제는 모든 분야의 정보를 구할 수 있는 '정보
의 낙원'(Information paradise) 또는,"꿈의 통신" 이란 말이 무척 잘 어울린다. 그
래서 미국의 엘 고어(El Gore)부통령은 인터네트를 정보의 고속도로 (Information
Superhighway)라고 불렀고, 미국의 정보고속도로(NII: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구축의 바탕으로 삼고 있다. Internet의 가입자들은 자유롭게 각종
서비스용 서버를 설치, 무료로 운영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mail, FTP, news,
WWW, database access, BBS, talk,Internet talk radio 등의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서 Archie,
Gopher, NIS (Network Information Services) 등이 운영되고 있고 각종 프로그램
소스를 상호공개하여 서비스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한편 인터네트의 근본 취지였던
학술연구로부터 상업적 목적의 서비스로의 인식이 확대되어 일반기업의 상업적 트
래픽을 수용해 줌으로써 영업이익을 추구하는 지역 인터네트 액세스 사업자가 늘
어나고 있는 추세로 이미 인터네트의 상업화는 상당히 진척되고 있는 상황이다.
제목: 3.3.1 한국 인터네트 현황
한국 인터네트는 크게 기존의 학술연구를 위한 통신망과, 일반 이용자들의 접속을
위한 상용 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들 통신망들에 접속된 한국의 인터네트
(kr) 도메인 수는 1995년 6월 2일 기준으로 368개 이다. 접속된 전체 호스트 수는
28,171 대인데, ac도메인이 40.24, co도메인이 37.41,re도메인이 18.68,nm도메인이
3.20, or과 go도메인이 각각 0.24 및 0.23를 차지하고 있다.
제목: 3.3.2 학술 연구망
국내에서 운용중인 학술연구망은 한국통신의 하나망 (HANANet), 서울대학교가
운영중인 교육전산망 (KREN), 시스템공학연구소가 운영중인 연구전산망
(KREONet)등 크게 3개로 볼 수 있다. 하나망은 1982년 "전산망간연동화 연구"의
일환으로 서울대와 ETRI간에 구축한 SDN을 모태로 발전하였으며, 한국통신,
KAIST, ETRI, 포항공대를 이사회원으로 하고 48개 교육연구기관이 가입되어 비
영리 회원제 형태로 한국통신이 운용하고 있으며,NASA Ames를 통해 인터네트와
256Kbps로 접속되어 있다.
교육전산망과 연구전산망은 83년 정보산업육성방안에 따라 추진하고 있는 국가 5
대 기간전산망 (행정전산망, 금융전산망, 교육.연구전산망, 국방전산망,공안전산망)
구축 일환으로 교육전산망은 서울대학교가 운용주체가되어 40여개 국내대학이 가
입되어 있고, 일본 동경과학대학을 통해 56Kbps로 BITNet(IBM호스트 컴퓨터 연
결망)와 접속되어 있으며, 한국통신의 하나망을 통해 인터네트를 이용하고 있다.
한편 시스템공학연구소(SERI)에서 운용하고 있는 연구전산망은 슈퍼컴퓨터 운용사
업과 연계되어 대학, 연구소 등 70여개 기관이 가입되어 있고, 미국 CERFnet의 샌
디에고 슈퍼컴퓨터센터(SDSC)를 통해 56Kbps로 인터네트에 접속되어 있다.
HANANET나 KREONET에서 제공중인 인터네트 서비스를 사용할 때는 일반 전
화회선 사용자의 경우는 모뎀을 사용하고 패킷망 가입자는 패킷망을 통하여 서비
스제공 호스트에 접속할 수가 있다. 본 장에서는 이와 같이 일반 전화회선을 통하
여 국내 중추망의 인터네트 서비스에 가입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좀 더 자
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제목: 3.3.3 상용서비스
1994년 6월부터 한국통신주관으로 KORnet라는 이름으로 전국적인 인터네트 상용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DACOM에서도 1994년 10월부터 인터네
트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는데, DACOM은 천리안을 통한 인터네트 접
속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1995년에는 INET에서 인터네트 접속서비스를 시작했
고 INET를 통해 NURINET가 인터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1995년 3월
에는 HITEL를 통한 인터네트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했다.
인터네트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그 효용성이 인식되어 감에 따라 새로운 인터네
트 접속서비스 제공업자들이 등장하게되어, 일반인들이 인터네트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이 매우 좋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 인터네트의 꽃이라고 할 수 있
는 WWW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인터네트 접속을 위한
전송속도가 최소 28Kbsp이상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하루 바삐 고속데이터
통신을 위한 ISDN이 보급되어야 하겠다.
제목: 3.3.4 우리나라 인터네트의 역사
1982년 서울대와 KIET(전자통신연구소의 전신)간의 TCP/IP로 SDN 시작
1983년 미국으로 UUCP 다이얼업(dial-up) 연결
한국과학기술원에 네트워크 운영센터 설치
정보산업육성위원회,국가5대기간전산망 구축계획확정
1984년 유럽으로 X.25회선 이용한 UUCP 연결
1985년 X.400 메일 서비스 (EAN 사용)
전자통신연구소에 유럽 MHS NET의 GATEWAY 설치
1987년 교육연구전산망 추진위원회 구성
1988년 전산망조정위원회, 연구전산망 기본 계획 확정
교육망, BITNET으로 연결
1990년 HANA/SDN, Internet으로 56Kbps 전용선 연결
교육전산망 협의회 구성
1991년 연구전산망, Internet으로 56Kbps 전용선 연결
학술전산망 협의회 (ANC) 구성
1992년 HANA/SDN 운영 한국통신연구개발단으로 이관
교육전산망, BITNET과 MAIL GATEWAY 구축
1993년 HANA/SDN, 해외 접속 회선 56Kbps에서 256Kbps로 확충
HANA/SDN,일반인에게도 계정 개방
1994년 한국통신에서 본격적인 인터네트 상용 접속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미국 SPRINT와 256Kbps로 연결한 Kornet을 구축하여 서비스
제공을 시작 KREONET도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기존의 56
Kbps 링크와는 별도로 256Kbps로 미국 SPRINT사와 연결
DACOM에서 천리안을 통한 인터네트 접속 서비스 제공 시작.
1995년 본격적인 인터네트 접속 서비스 회사인 INET의 탄생과 SLIP 프로
토콜을 이용한 인터네트 접속서비스 제공 시작.
NOWCOM 통한 인터네트 접속 서비스 시작.
하이텔을 통한 인터네트 접속 서비스 시작.
인터네트는 TCP/IP를 기반 통신규약으로 하고 전용회선과 라우터로
point-to-point방식으로 연결된다. 인터네트의 중추망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NSFnet은 45Mbps급의 고속전송회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NSFnet으로부터 각 지역
인터네트 접속 서비스 기관에 의해 미국내 각 지역과 유럽,호주, 아시아 등 전세계
의 서브네트웍들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들간의 링크는 대부분 전용회선이며 연결장비로 IP 라우터가 사용된다.이때 각
지역망과 모든 호스트들은 유일한 IP 주소(IP address)를 갖는다.즉, 전세계의 지역
망들이 라우터로 연결된 구조이며 전체 망구성에 관한 정보들을 라우터들이 서로
주고 받음으로써, 항상 정상적인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하게 되고 사용자들은 목적
지 컴퓨터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 필요없이 IP 주소만을 있으면 어느 컴퓨터든 접
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숫자로된 인터네트 주소를 기억해야 하는 불편을 덜기
위해 IP name server를 운영함으로써 IP 주소 대신 이에 매칭되는 호스트 이름만
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라우터 간의 라우팅 테이블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로 RIP,
IGRP, OSPF,EGP, BGP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제목:3.2 인터네트의 서비스와 유용성
인터네트를 이용해서 안될 일이 있을까 할 정도로 인터네트에서 가능한서비스는
아주 다양하다. 또한, 인터네트에서 구할 수 있는 정보는 무한하고, 시간이 감에 따
라 그 정보의 양은 엄청나고 그 질은 차츰 좋아지고있다. 물론 인터네트를 통하여
향기를 맡거나 형체를 가진 물건을 보낼수는 없지만 정보통신이 일반화되어 가는
요즘,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접할수 있는 많은 일들을 인터네트는 가능하게 해준다.
더욱이 국가간의 경계와 거리상의 제약마저 없이, 인터네트는 정보에 대한 평등권
리와 자유를 보장해 주는 정보 민주주의의 새로운 세계를 우리에게 열어주고 있는
것이다. 인터네트에서 가능한 일들을 분류한다는 것은 그리 간단하지 않지만, 다음
은 일반적인 관점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나열한 것이다. 이들 서비스들을 제
공받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도구와 기능 필요한데 이들에 대해서는 다음장에서
얘기하기로 한다.
(1) 쉽고 빠르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음
(2)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쉽게 찾을 수 있고 만날 수 있음
(3) 자기의 관심분야에 대한 최신의 정보를 거의 매일 받아볼 수 있음
(4) 자기의 정보를 전세계의 모든 인터네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
(5) 거리나 사는 위치에 관계없이 공동연구 및 작업을 할 수 있음
(6) 전세계의 수많은 정보를 접근하고 획득할 수 있음
(7) 컴퓨터간에 데이터의 처리 및 전송을 할 수 있음
(8) 혼자 혹은 여러 사람과 같이 게임과 오락을 즐길 수 있음
인터네트 가입자들은 도서정보나 기술 및 상품정보 등 관련 데이터베이스를이용
하고, 인터네트 가입자 상호간에 전자우편, 화일전송서비스 등을 이용할수 있으며,
음성, 동영상 포함한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들이 속속들이 소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네트의 주요 가입기관들로 주요 대학이나 정부 연구기관 또는 기업체 연
구소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인터네트를 이용하여 그곳들에 저장되어
있는 고급정보를 아주 빠른 시간에 얻을 수 있다.즉 인터네트는 세계 최대의 학술
연구 컴퓨터통신망으로 시작되어 이제는 모든 분야의 정보를 구할 수 있는 '정보
의 낙원'(Information paradise) 또는,"꿈의 통신" 이란 말이 무척 잘 어울린다. 그
래서 미국의 엘 고어(El Gore)부통령은 인터네트를 정보의 고속도로 (Information
Superhighway)라고 불렀고, 미국의 정보고속도로(NII: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구축의 바탕으로 삼고 있다. Internet의 가입자들은 자유롭게 각종
서비스용 서버를 설치, 무료로 운영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mail, FTP, news,
WWW, database access, BBS, talk,Internet talk radio 등의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서 Archie,
Gopher, NIS (Network Information Services) 등이 운영되고 있고 각종 프로그램
소스를 상호공개하여 서비스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한편 인터네트의 근본 취지였던
학술연구로부터 상업적 목적의 서비스로의 인식이 확대되어 일반기업의 상업적 트
래픽을 수용해 줌으로써 영업이익을 추구하는 지역 인터네트 액세스 사업자가 늘
어나고 있는 추세로 이미 인터네트의 상업화는 상당히 진척되고 있는 상황이다.
제목: 3.3.1 한국 인터네트 현황
한국 인터네트는 크게 기존의 학술연구를 위한 통신망과, 일반 이용자들의 접속을
위한 상용 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들 통신망들에 접속된 한국의 인터네트
(kr) 도메인 수는 1995년 6월 2일 기준으로 368개 이다. 접속된 전체 호스트 수는
28,171 대인데, ac도메인이 40.24, co도메인이 37.41,re도메인이 18.68,nm도메인이
3.20, or과 go도메인이 각각 0.24 및 0.23를 차지하고 있다.
제목: 3.3.2 학술 연구망
국내에서 운용중인 학술연구망은 한국통신의 하나망 (HANANet), 서울대학교가
운영중인 교육전산망 (KREN), 시스템공학연구소가 운영중인 연구전산망
(KREONet)등 크게 3개로 볼 수 있다. 하나망은 1982년 "전산망간연동화 연구"의
일환으로 서울대와 ETRI간에 구축한 SDN을 모태로 발전하였으며, 한국통신,
KAIST, ETRI, 포항공대를 이사회원으로 하고 48개 교육연구기관이 가입되어 비
영리 회원제 형태로 한국통신이 운용하고 있으며,NASA Ames를 통해 인터네트와
256Kbps로 접속되어 있다.
교육전산망과 연구전산망은 83년 정보산업육성방안에 따라 추진하고 있는 국가 5
대 기간전산망 (행정전산망, 금융전산망, 교육.연구전산망, 국방전산망,공안전산망)
구축 일환으로 교육전산망은 서울대학교가 운용주체가되어 40여개 국내대학이 가
입되어 있고, 일본 동경과학대학을 통해 56Kbps로 BITNet(IBM호스트 컴퓨터 연
결망)와 접속되어 있으며, 한국통신의 하나망을 통해 인터네트를 이용하고 있다.
한편 시스템공학연구소(SERI)에서 운용하고 있는 연구전산망은 슈퍼컴퓨터 운용사
업과 연계되어 대학, 연구소 등 70여개 기관이 가입되어 있고, 미국 CERFnet의 샌
디에고 슈퍼컴퓨터센터(SDSC)를 통해 56Kbps로 인터네트에 접속되어 있다.
HANANET나 KREONET에서 제공중인 인터네트 서비스를 사용할 때는 일반 전
화회선 사용자의 경우는 모뎀을 사용하고 패킷망 가입자는 패킷망을 통하여 서비
스제공 호스트에 접속할 수가 있다. 본 장에서는 이와 같이 일반 전화회선을 통하
여 국내 중추망의 인터네트 서비스에 가입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좀 더 자
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제목: 3.3.3 상용서비스
1994년 6월부터 한국통신주관으로 KORnet라는 이름으로 전국적인 인터네트 상용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DACOM에서도 1994년 10월부터 인터네
트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는데, DACOM은 천리안을 통한 인터네트 접
속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1995년에는 INET에서 인터네트 접속서비스를 시작했
고 INET를 통해 NURINET가 인터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1995년 3월
에는 HITEL를 통한 인터네트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했다.
인터네트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그 효용성이 인식되어 감에 따라 새로운 인터네
트 접속서비스 제공업자들이 등장하게되어, 일반인들이 인터네트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이 매우 좋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 인터네트의 꽃이라고 할 수 있
는 WWW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인터네트 접속을 위한
전송속도가 최소 28Kbsp이상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하루 바삐 고속데이터
통신을 위한 ISDN이 보급되어야 하겠다.
제목: 3.3.4 우리나라 인터네트의 역사
1982년 서울대와 KIET(전자통신연구소의 전신)간의 TCP/IP로 SDN 시작
1983년 미국으로 UUCP 다이얼업(dial-up) 연결
한국과학기술원에 네트워크 운영센터 설치
정보산업육성위원회,국가5대기간전산망 구축계획확정
1984년 유럽으로 X.25회선 이용한 UUCP 연결
1985년 X.400 메일 서비스 (EAN 사용)
전자통신연구소에 유럽 MHS NET의 GATEWAY 설치
1987년 교육연구전산망 추진위원회 구성
1988년 전산망조정위원회, 연구전산망 기본 계획 확정
교육망, BITNET으로 연결
1990년 HANA/SDN, Internet으로 56Kbps 전용선 연결
교육전산망 협의회 구성
1991년 연구전산망, Internet으로 56Kbps 전용선 연결
학술전산망 협의회 (ANC) 구성
1992년 HANA/SDN 운영 한국통신연구개발단으로 이관
교육전산망, BITNET과 MAIL GATEWAY 구축
1993년 HANA/SDN, 해외 접속 회선 56Kbps에서 256Kbps로 확충
HANA/SDN,일반인에게도 계정 개방
1994년 한국통신에서 본격적인 인터네트 상용 접속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미국 SPRINT와 256Kbps로 연결한 Kornet을 구축하여 서비스
제공을 시작 KREONET도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기존의 56
Kbps 링크와는 별도로 256Kbps로 미국 SPRINT사와 연결
DACOM에서 천리안을 통한 인터네트 접속 서비스 제공 시작.
1995년 본격적인 인터네트 접속 서비스 회사인 INET의 탄생과 SLIP 프로
토콜을 이용한 인터네트 접속서비스 제공 시작.
NOWCOM 통한 인터네트 접속 서비스 시작.
하이텔을 통한 인터네트 접속 서비스 시작.
'내발자국[동호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CTURE FROM CITYNET `INTERNET` (4)-1 (1) | 1996.06.03 |
---|---|
LECTURE FROM CITYNET `INTERNET` (3) (0) | 1996.06.03 |
LECTURE FROM CITYNET `INTERNET` (1) (0) | 1996.06.03 |
LECTURE FROM CITYNET `INTERNET` (P) (0) | 1996.06.03 |
비가 오는데... (0) | 1996.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