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松巖
어떠한 일이 있어도 꿈과 용기를 잃지 말자! 그래, 네 꿈을 펼쳐라.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Tag

1996. 6. 3. 06:46 내발자국[동호회]
제목: 3.5 도메인(Domains)

인터넷을 구성하는 전세계의 네트워크 망들은 도메인으로 먼저 구분된다. 만약 도
메인의 구분없이 네트워크 관리자 마음대로 이름(name)을 지정하게 한다면 인터넷
사용자는 모든 네트워크 명을 외어야 한다는 부담을 가지게 되며,관리상에도 복잡
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은 네트워크 그룹을 이끌게
된다. 그래서 도메인 이름은 계층적(Hierarchical)으로 구성된다.

만약 한 사람이 자신의 집 주소를 말하게 된다면 정확하게 집번지,XX동,XX구,XX
도,XX나라명을 말하여야 한다. 인터넷의 주소 기법도 이와 비슷하다. 단 서구식으
로 주소가 나열된다. 이 나열되는 주소 중 도메인은 마지막 단어이다.

한 예로 미국의 한 호스트의 주소를 보면 다음과 같다.
sunsite.unc.edu
tsx-11.mit.e여
여기서 도메인에 해당하는 것은 edu 이다. edu는 education의 약자로 우리는 쉽
게 이 호스트가 대□교임을 알 수 있다.이 호스트에 대한 이름은 이 호스트에 계정
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주소로도 이용되□데 만약 john이라는 사람이

sunsite.unc.edu호스트(컴퓨터)의 이용이 가능한 사람인 경우 john에 대한 주소는
john@sunsite.unc.edu 가 된다.

즉 한 주소는 user@somewhere.domain이 된다.
위의 것은 미국에만 국한되는 domain기법이다. 미국은 도메인에서 자신의 나라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이것의 의 미는 다른 인터넷 이용 국가는 ㄷ메인에 국명이 들
어감을 말한다. 즉 한국에서 인터넷의 관리 센터인 KREONet의 한 호스트로
garam.kornet.re.kr
으로 한국내에 연구 기관(Research)임을 알 수 있다.

한국내에 서강대학교의 경우는
ccs.sogang.ac.kr
로 된다. 여기서 도메인을 구성하는 것은 ac.kr로 ac는 academy의 양자이고 kr은
korea의 약자이다.(도메인 은 kr이 된다.ac는 kr 도메인을 구성하는 이차 도메인

(Sub_Domain이 된다.)

대표적인 도메인들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미국의 경우이다.
com 일반적으로 회사된 상업적인 기관 조직을 말하낟.
edu 교육기관을 말한다.
gov 정부기관을 말한다.
mil 군대 조직에 관한 것을 말한다.
net 게이트웨이와 다른 네트워크 관리 호스트에 대한 것을 말하낟.
org 사적 조직들에 대하여 예약된 도메인으로 다른 도메인들의 분류들에 적
당하지 않은 경우에 이용된다.
kr 한국을 말한다.각 나라는 하나의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이런 계층적이고 쳬계적인 도메인 이름의 부여는 상당히 이용자에게 편리성을 제
공한다.수많은 호스트들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명의

상위인 도메인 이름과 국가 이름으 약어는 임으적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인터
넷 관리 본부와 상호 약속을 통해 정해지게 된다.현재 한국에는 kist와 한국 통신

연구 본부 인터넷 관리 본부가 있는 것으로 안다.

위와 같이 사람들이 볼 수 있는 ASCII문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들에게 그
리 큰 의미를 가짖 못한다. 컴퓨터들은 다음에서 설명될 인터넷 번호를 통해 진정
한 다른 호스트(컴퓨터)를 인식하게 된다.


제목:3.6 인터넷 번호(Number)

인터넷 상의 모든 호스트들은 두 개의 유일한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첫 번째가 위
에서 설명된 도메인 이름을 기반으로한 계층 이름이다. 다른 하나는 사용자 단계가
아닌 컴퓨터 단계에서 이용되는 정수로 이를 인터넷 번호(Internet Number)혹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IP Address)라 한다.이들은 32bit로 구성된 수이다.이들은 대

부분 마침표(.)로 구별된 4개의 필드로 표현된다.즉 147.31.254.130과 같은 형식이다


2.1에서 제시된 도메인으로 구별된 호스트의 이름은 인터넷 내부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한 호스트의 실제적인 주소화는 이 인터넷 번호를 이용한다. 현재 인터넷 서
비스 중 지명 서버(Name Server)의 기능이 호스트의 이름을 통한 인터넷 번호와
의 연결을 제공하여 주고 있어 사용자가 이용될 인터넷 호스트의 정식 이름
(호스트 이름,네트워크 이름,도메인 이름,국명)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인

터넷 번호까지 알 필요는 없게 된다.그러나 지명 서버가 제공되지 않는 시스템인
경우에는 이 인터넷 번호는 사용자가 한 원격 호스트를 이용하는데 주소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인터넷 번호 체계를 이해한다는 것은 전체 인터넷 쳬계를 이
해하는데 중요한 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자 한다.그리고 지명 서버에
대하여는 4장에서 다루기로 한다.

IP 주소를 표현하는 방법은 32비트 광범위한 IP주소에 의해 표현된다.또한 32bit는
W 8비트씩 4개의 필드(field)로 나누어 진다. W필드는 Octect라 불린다. 이 IP 주
소의 정보는 마침표로 구별되며,다음 Octect로 나누어 진다. 한 필드는 십진법으

숫자이다.십진수는 IP 주소의 정보는 마침표로 구별되며 다음 Octect 나누어 진다.
한 필드는 십진법의 숫자이다. 십진수는 IP 주소의 한 바이트(8bit)에 의해 표현한

다.그리고 이 십진수는 0부터 255(28-1)의 숫자를 가진다.예로 129.144.50.244의
IP 주소의 표현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번호들은 3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진다. 이 등급을 등급(Class)A,B그리고
C라 한다. W네트워크 등급은 어떤 범위안에서 숫자들의 값에 의해 IP주소를 특정
한다. 그리고 이 등급이 표현하는 것은 어떤 상하위의 개념을 의미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 등급 A 네트워크 번호(Class A Network Number)

-등급 A는 네트워크 번호 체계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그러나 등급 A의 IP
주소 방식은 거대한 수의 호스트를 가진 네트워크에 대하여 효과적인 표현이 가능
하다.그래서 전형적으로 등급 A체계의 번호 부여 방식은 대학이나 정부 연구단체
와 같이 거대한 수의 호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용한다.등급 A는 네트워크 번호
의 처음 Octect의 할당값은 0-127안의 숫자만을 가진다.만약 75.4.10.4의 IP주소를

고려해볼 때,75의 값은 등급 A 네트워크 주소를 나타낸다. 그리고 나머지 4.10.4는

호스트 주소(Host Address)를 나타낸다.그래서 이경우,우리는 등급 A 네트워크는
255개만을 볼 수 있다.그리고 W네트워크(0~127)는 자신들의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
트들에 대하여 부여될 수 있는 번호가 나머지 3개의 필드의 할당을 통하여 가능하
다.그럼로 네트워크를 표현하는데 제약이 있는반면 한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들에
대한 번호 부여에는 가장 큰 값을 가지게 된다.등급 A의 네트워크가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값은 255.255.55.254이므로 A등급에 최대 호스트의 수는 16,777,214 호스트

만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 등급 B 네트워크 번호(Class B Network Number)

-등급 B의 네트워크 번호는 네트워크들과 호스트들 사이에 중간 정도의 분산성을
제공한다. 즉 B등급 주소는 그들 네트워크들상에 많은 호스트들로 구성된 중간 크
기의 회사나 기관 등에 적당하다.등급 B네트워크의 처음 Octect는 128-191사이이
다.즉 129.144.50.56의 경우 처음 두 필드는 129.144는 네트워크 줏이다.
그리고 50.56은 호스트의 주소가 된다.한국내에 대부분의 네트워크들이 가지는 통
상적인 네트워크 번호 부여 방식이기도 하다.

● 등급 C 네트워크 번호(Class C Network Number)

-C등급의 네트워크 번호는 많은 서브 네트워크와 적은 호스트의 수로 구성된 네트
워크에서 이용된다.한 네트워크의 호스트의 최대 수는 255개이다.C등급 네트워크의
처음 Octect는 192-223의 범위이다. 예로 192.5.2.5의 경우 여기서 처음 3개의
Octect는 네트워크 주소가 되며,마지막 5는 호스트의 주소가 된다.

위의 3 네트워크 주소 등급에 대한 정리가 다음 표이다.

범 위 네트워크 주소 호스트 주소
Class A 0 - 127 xxx xxx.xxx.xxx
Class B 128 - 191 xxx.xxx xxx.xxx
Class C 192 - 223 xxx.xxx.xxx xxx
[ IP 주소 방식]

그래서 위와 같이 구성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의 주소는 W네트워트 및 네트워
크에 속한 호스트들과 상호 연결이 되게 된다. 즉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의 이름
은 사용자 단계에서,그리고 네트워크 주소 및 호스트 주소는 실제 컴퓨터가 자신들
의 패킷을 전송할 때 전송 호스트의 주소 및 목적지 호스트의 주소를 찾는데 이용
□ 된다.지명서버(Name Server)가 제공되는 곳에서는 이 IP 주소와 호스트의 정식
이름이 같은 의미를 가지게 된다.그러나 지명서버가 제공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IP 주소만이 의미를 가지게 된다.

만약 지명 서버가 제공되는 네트워크인 경우 원격호스트로의 접근(telnet,ftp 등)에

있어 가능한 호스트의 정식 이름을 이용하기 바란다.왜냐하면 관리자의 입장에서
로긴 사용자들의 행위를 관찰하고 싶을 때에 IP 주소만을 이용할 경우 어느 호스
트로 접속하고 있는지를 알아내기에는 몇 개의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인터넷의 네트워크 주소를 관리하는 곳은 SRI(standford Research Institute)의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로 , 한 네트워크□ 구성하고자 하는 관리자는
NIC로부터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고,추가적으로 W호스트의 주소를 NIC
에 등록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인터넷에 가입된 모든 네트워크들이 NIC를 상대로
자신의 호스트 등록을 하는 것은 아니다.자신이 속해인□ 국가의 인터넷 관리 센터
에 통보하면 관리 센터가 이를 담당하여 NIC에 보고하는 형식을 취한다.

우리는 위에서 인터넷을 구성하는 컴퓨터들을 어떻게 호스트 혹은 노드로 주소시
키는 지에 대한 형식을 알아 보았다. 그러면 호스트간에 무슨 방법으로 통신이 이
루어지는 가에 질문을 가지게 된다.즉, 통신에 이용되는 프로토콜에 대한 궁금증이
다. 인터넷에서는 TCP/IP라는 독자적인 프로토콜으 이용하여 상호 컴퓨터간의 통
신이 이루어 진다고 하였다. TCP/IP에 대한 설명은 실제 전문적인 네트워크 분야
로 사용자 단계에서느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그래서 간단하게 TCP/IP가 무엇
이고 ,통신 소프트웨어를 왜 계층화 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제목:3.7 인터넷 프로토콜(IP,Internet Protocol
┌──────────┐ ┌──────────────┐
│ 7. 애플리케이션층 │ │ │
│ 6. 프리젠테이션층 │ │ TELNET,FTP,SMPT,SNMP │
│ 5. 세션층 │ │ MNTP,DNS 등 │
├──────────┤ ├───────┬──────┤
│ 4. 트랜스포트층 │ │ TCP │ IP │
├──────────┤ ├───────┴──────┤
│ 3. 네트워크층 │ │ IP(ICMP,ARP,RARP) │
├──────────┤ ├──────────────┤
│ 2. 데이터 링크층 │ │ │
├──────────┤ │이더넷,FDDI,X.25.ISDN 등 │
│ 1. 물리층 │ │(동축케이블,UDP,광섬유 등) │
└──────────┘ └──────────────┘

우리는 프로토콜을 전송규약으로 정의한다. 즉 통신에서 지켜지는 약속을 말한다.
전송규약의 예로,우리는 옛날에 지리적으로 먼 장소에서 발생되는 사건들을 보고
하기 위해 이용된 봉화나 깃발을 통산 의사 전송을 생각할 수 있다. 즉 한쪽에서
빨간 깃발을 들면 이것은 현재 빨간 깃발을 올린 위치에 왜적이 침입한 것을 나
타내고,파란 깃발을 들면 아무런 사건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그리고 아무런 깃
발이 없는 경우에는 깃발을 관리하는 사람이 없는 것으로 약속된 상황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된 이런 약속들을 통틀어 전송 규약이라 말할 수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도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무언가를 전송하거나 받고
자할 때,상호 컴퓨터 사이에 정의된 약속에 따라야 한다. 즉 통신에 참가된 두 컴
퓨터가 상호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잇는 제반 조건들이 구비되어야 한다. 만약 한
컴퓨터는 100kbyte의 데이터를 전송했는데 수신할 컴퓨터가 10kbytes의 수신 버
퍼만을 준비하였다면 나머지 90kbyte의 데이터의 전송은 무의미하며 이 통신 과
정이 올바르다고 볼 수 없다.

우리는 컴퓨터 네트워크 체계가 올바르고 오나벽하게 작동하기 위하여는 전송의
단계, 즉 전송될 데이터의 준비,전송,수신 그리고 해석의 단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즉 편지의 경우

① 편지지에 내용을 작성
② 편지 봉투에 편지지 넣기
③ 편지 봉투 봉하기
④ 편지 봉투에 주소 쓰기 및 우표 붙히기
⑤ 우체통에 편지 넣기
⑥ 우체국에서 편지의 수신지 결정
⑦ 우체부 아저씨에 의한 편지 존송
⑧ 편지의 수령에 있어 자신의 편지인가를 확인
⑨ 편지 내용 확인
⑩ 만약 수령이 확인을 요하는 내용이면 수령 확인의 행위
(전화로 고맙다고 하거나 답장 형식)
의 단계를 가진다. 위와 같은 단계들이 실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도 필요하게 된
다. 그리고 위와 같은 단계들은 모듈별로 나누어져 구현되어 진다.
인터넷을 통한 통신 프로그램에 대한 모듈화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왜냐하면
통신 프로그램의 모듈화에 대한 정의는 진정한 열려진 시스템(Open System)으로
의 발로를 제시하기 때문이다. 통신 프로그램을 하나의 거대한 프로그램으로 구
성하기 보다 W통신 단계별로 모듈화한 서브 프로그램들의 결합을 여러 이익을
가져온다.

우리가 프로그래밍을 할 결우 큰 모듈을 작은 서브모듈로 나누워 작성할 경우 버
그(bug) 및 오류의 발생시 책임성을 빨리 찾을 수 있다.또한 W 모듈별 연구는
전문성을 한층 높힐수 있다. 그래서 컴퓨터 네트워크의 단계도 몇 개의 단계를
나눠워져 설계되어 진다. 이렇게 단계화된 것을 계층(Layer)이라 말한다.계층화된
통신 프로그램 즉 프로토콜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OSI 7계층과
TCP/IP계층을 생각할수 있다.

인터넷의 경우는 TCP/IP를 사용하고 있음을 위에서 언급하였지만 다□금 자세
한 셜명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아직 OSI의 7계층에 대하여 먼저 이해하□ TCP
와 IP 프로토콜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posted by 松巖